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대물 찌맞춤이란??

이제 시작한이 갓된 새내기 입니다. 대물 찌맞춤 요즘은 어떻게들 하시는지 문의 드려 봅니다. ? 처음엔 봉돌 무겁게 햐여 찌에 봉돌 달고 수조통 넣으면 슝~ 하고 가라 앉게 했었는데.. 요즘 들어 좀더 가볍게 맞춤 하는게 좋을것 같은데... 어떤 분들은 수면에 케미만 나오게 세팅 하라 하고 어떤 분들은 바늘 달고 봉돌 살짝 뜰 정도 하라고 하고 들 하는데... 잘 모르겠네요 선배님들 조언 부탁 드립니다. 완전 초보다 보니 상세 하게좀 풀어서 설명 부탁 드려 봅니다.

1.삼나무(스기목)

삼나무는 일반적으로 쓰이는 찌재료중에 가장 비중이 무거운 재료입니다.
따라서 부피에 비해서 부력이 약한 편이며 움직임 또한 둔중 합니다.
삼나무찌가 많은 꾼들의 사랑을 받는 사연이기도 한데 찌맞춤을 제대로 하여야
그 맛을 십분 만끽하실수 있습니다.

삼나무찌는 봉돌만 달아서 수조에서 서서히 내려가서 봉돌이 바닥에
한번에 안착하도록 맞추거나
서서히 내려가서 봉돌이 바닥을 한번 치고는 아주 느리게 올라와서
찌톱이 수면과 일치하는 맞춤이면 좋습니다.


2.발사와 부들

발사나 부들로 만든 대물찌가 있더군요.
부들찌라면 찌에 봉돌만 달아서 수조에서 맞추었을때
서서히 떨어져서 봉돌이 바닥에서 두번 툭 튀어 올랐다가 멈추는 정도의
맞춤이면 가장 이상적인 찌놀림을 보실수 있을것입니다.

반면 발사찌라면 그보다 더 무거워서 바닥을 세번이상 툭툭툭 튀어 올랐다가
멈추는 정도의 찌맞춤을 해야 할것입니다.

이보다 더 가볍게 맞춘다면 찌가 수시로 한두 마디씩 오르락 내리락 하여서
느긋하게 좋은밤을 낚기 어렵게 될것이며
챔질을 할 정도의 입질이라도 찌올림이 빨라서 대물낚시 특유의 느릿하고
묵직한 좋은 솟음을 보기 어렵게 될것입니다.


3.오동

오동찌는 부들찌와 거의 비슷한 성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엄밀히 따지자면 부들보단 약간 무겁다고 볼 수도 있겠으나
질 좋은 참오동으로 도포를 두껍지 않게 잘 올린 찌라면
부들보다 결코 무겁지 않습니다.

따라서 오동찌는 부들찌에 준하여 찌맞춤을 하여보고
움직임이 좀 둔하다면(오동의 질이나 도포상태에 따른 차이로 인해서...)
그보다 약간 더 가볍게 맞춤을 하면 될것입니다.

이상 찌의 재질에 따른 찌맞춤을 알아 보았는데
찌에 따라서는 접착제나 도포를 두껍게 만들어서 위의 설명보다 상당히 둔한
움직임을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는 위의 설명보다 약간 더 가벼운 찌맞춤을 하십시오.

분명히 강조 하지만
징거미가 덤빈다면 찌부력의 두 배에 달하는 봉돌을 달아도 눈뜨고 미끼도둑질을
당할 염려는 없습니다.
찌의 움직임이 있을 것입니다.

반대로 올챙이나 미꾸라지가 덤빈다면 떡밥찌로 현장맞춤을 한대도
눈뜨고 미끼도둑질 당하는 것을 면할 길이 없습니다.
찌의 움직임이 거의 없을 것입니다.

대물낚시에서 작은 공격에 일일이 찌가 한두 마디씩 껌뻑거린다면
대물낚시 매니아가 지금보다 상상수 줄어들 것이라고 저는 믿습니다.

미동도 없던 찌가 어느 순간 번쩍하고 올라오고 이내 몸통까지 느릿하게
밀어 올리는 이맛을 진정으로 원하신다면 위의 맞춤에 대해 한번쯤
생각을 해보시길 권합니다...


출처지 ((행낚))
저는 그냥 무겁게 씁니다 그래도 바닥이지져분해 안내려가면 가지바늘로하지요

저도 옛날에는 많은 고민을했지만 이제 그냥 무겁게 씁니다

앞치기했을때 너무 무거우면 찌가 다잡겼다가 봉돌이 바닥에닿으면 찌가 그때서야 올라옵니다

유동찌고무고리가 작을수도있겠지만 봉돌을 조금씩 깍다보면 그런현상이 안나타납니다

그렇게 너무 무겁지않게 사용하지요

무거운채비를해도 7치가 정말 멋지게 올려줄때도있고 8치가 지저분하게 올릴때도 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찌올림은 붕어들의 컨디션에 따라 다르다 생각합니다

망구 내생각이니 그냥 흘려들으시는게 ㅋㅋ
일반떡밥낚시는
부력 도래봉돌
최대 1.5호 미만에 캐미끼고 수면과 일치..

대물 떡밥 낚시는
캐미없이
최대 2호 미만

대물낙시는

동계는 수면과일치
그 외는 서서히 가라앉게...

좁살봉돌을 물려 활용하든지
따로 2개를 준비 하시던 개인 취양에 맞게...

떡밥따로, 저수온기 따로....
전천후 찌맞춤은 무리라는것이
개인적 생각 입니다

아묺튼
예민한 떡밥 낚시로
낚시를 시작하시면
일취월장 하실걸로 믿습니다

낚시의 기본은
떡밥 콩알 입니다
찌 맞춤은 개개인마다 편차가있는듯합니다
아주무겁게 맞춰서 시원한입질로 대물 한마리걸면 그찌맞춤법이
나에게맞다고 생각하여 계속할것이고
가볍게 찌맞춤을해서 워리 한마리 구경하면 또역시 가벼운 채비가 맞는것같고...
미끼역시 그런식인것같습니다.. 오로지 새우만쓰는사람 새우.옥수수.콩 갖가지 쓰는사람
다들 다른것같습니다 하느님가깝소님도 여러 방법을 써보신후 자신에게 맞는
채비법.찌맞춤을하시는게 맞을듯싶습니다.. 소신을가지시고 자신에 채비에 믿음을가지세요
그럼 반드시 큰넘이 찾아와줄것입니다... 이상 허접한 답변이었습니다,,,,
처음 시작하신다니 간단한 팁하나만 드리겠습니다..

수초가 밀생한 평지형을 즐겨다니시면 무거운 찌 맞춤이 좋고, 수초가 없는 준계곡지나 계곡지를 다니시면 수평찌 맞춤이

좋습니다... 또 미끼가 옥수수나 곡물류 일때는 수평으로 새우나 참붕어일 경우는 무거운 찌맞춤이 좋습니다..

저는 1년에 한번...게을러지면 2년에 한번 전체적으로 찌맞춤을 하고 있습니다...^^

거의 모두다 무거운 찌맞춤으로요...그래서 고기를 못잡나봅니다..
수조통 바닥치고 상승하여 수면과 일치하게 찌맞춤하고 있읍니다.

저정도 맞추려면 하려면 봉돌을 사포로 갈아야 됩니다.
무겁다고 4치 3치들 장난안치는거 아니고 가볍다고 4짜 안잡히는것아닙니다
너무 찌맞춤에 신경쓰지 마세요
단 자기만의 기준을 설정하시는거 잊지마시구요
저같은 경우는 이것저것 다빼고 한마디 물밖으로 나오게 맞춥니다
너무 가볍지요 ㅎㅎㅎㅎ 그쵸 그러나 좁살봉돌은 폼으로 나옵니까
상황상황에 맞추어서 체비 운영하는것도 나쁘지는 않겟죠
전천후로 바늘 달지마시고 케미 꼿구 수면이랑 수평 마춤하세요..
노지 낚시하시는데 찌마춤가지고 고민하실 필요 없습니다..
막말로 대물낚시는 미끼로 대물잡는거지 찌로 잡는건 아니거든요..
뭐 무거운 찌마춤하면 잔챙이 입질 걸러준다구요? 요즘같이 뜨신날에는 6호 부력찌에 7호 봉돌 안깍구 그냥 써보세요 10센치만 넘어도 잘 올립니다..
대물낚시는 잔챙이가 잘 못건드는 미끼를 어떤걸 쓰냐가 관건이지 찌가지고 고민하실 필요는 전혀~ 없다고 생각합니다.
몇일전에 ftv 붕어학교 303에서 대물낚시 찌맞춤방영햇었는데...
하여간 잘 기억은 나지않는데..영점맞춤은 아니더라고요.
아는사람말듣고 영점맞춤다해놨더니 3치붕어가 찌를 가지고 쌩쇼를 하는거보고 잘못맞춘거같더라고요.
오동찌인가 볼록한 찌는 빠르게 내려가게 맞춰야되고 빨대처럼 생긴건 찬찬히 가라앉게 맞춰야된다고하더라고요.
두찌를 비교하는데 속도차이가 현저하게 나던데...
현재 제찌는 영점맞춤인데요..생긴걸로봐선 오동찌처럼 생겼는데 영점을 맞춰놨으니 어쩌면 좋나요..
첨엔 빠르게 입수하게 맞춰놨는데 괜히 만져서 근사한 입질을 영점맞추기전엔 받았는데 지금은 조잡한 입질만..
귀찮아서 올해는 넘어가고 내년엔 무거운찌맞춤으로 다시 바꿔야겠어요.
입질이 너무 방정맞고 시원한맛이없는거같아요..
개인차가있겠지만 전문가의 말도 수렴해보는게 낫지않을까란 생각이 드네요.
전 무조건 내년부턴 무겁게...대물낚시 영점맞출필요없다는게 제 생각...
양어장 낚시를 한참 다닐때는 찌맞춤에 목숨걸 정도였지만 요즘은 귀차니즘의 극치인 까이꺼 뭐 대충
봉동달아 찌가 물속으로 잠기기만 하면 낚시합니다 물론 대물낚시이죠
점점 게을러 지는것도 같고 아님 낚시의 깊은맛을 이제서야 알았다고도 할수있겠죠 저만의 생각입니다..
모두 월님들의 내공에 한수 아니 여러수 배웠나 봅니다..
분명한건 예전엔 꽝이나 저조한 조과에 안달복달 했지만 요즘은 입질이 너무와도 싫은건 무슨 조화인지...
낚시....... 할수록 묘한 매력....... 오래오래 건강하게 낚시해야겠습니다.
찌맞춤을 하는 이유는 본신을 읽고 챔질타이밍을 파악하기에 쉽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가볍게 하면 찌에 반응은 빠르겠으나 어떤 타이밍에 챔질을 해야하는지 갈피를 잡지 못하고 헛챔질이 되기 쉽습니다.
반대로 무겁게 하면 확실히 삼키고 봉돌을 여유있게 들어올린녀석들만 본신을 보이기때문에 헛챔질이 거의 없죠.
아마도 수초가 많고 개체수가 많은 곳이라면 행낚의 찌맞춤이 좋을것 같습니다.
상황에따라 베스터나 입질이 약한 대물터에서는 반대로 가볍게 맞추는게 좋겠죠.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