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대물낚시 수심에대해서 질문 답변부탁합니다

보통수심이 어느정도에서 월이 마니 나옴니까? 물론 저수지 상태에따라 다를수도있겠지만..... 4~5 미터(물론월 하신분도 계시겠지만) 4~5미터 수심에는 믿음이 안감니다 확율적으로 어느정도의 수심임니까?

저는 60~미터권에서만 덩치 잡아봤습니다.
서찬수님의 갓낚시에서도 수심 80을 권장하시더군요...
2미터 이상되는 못은 개인적으로 비추입니다.ㅎ
저 역시 상류권으로 수심은 60~90정도권으로
추천 합니다!!

낚시전 5분만 주변 청소 합시다!!!
2m 에서 3m 권에서까지는 재미 본 기억이 있습니다.

간혹 수심 깊은 곳이 나을 때가 있는 날이 있더군요...
고기가 잡힌다면................어떤수심이던....ㅋㅋ....
저는 개인적으로......70~1미터50권이 딱 좋던데요.........그것도 어느정도 시기와.....날씨 영향을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아이고 어려운 대물낚수...~~~
저번주 낚수 갔을때.....좌 2대.....수심...2미터정도... 우측 4대 수심....80정도......가운데.....2대....수심미터50정도...
붕어 입질을 많이 받은곳은 좌측 두대입니다.....제 생각엔 더운 날시 관계로 수온이 올라가....약간 수심이 깊은곳에......붕어가 좀더 몰리질 않을까요.....^^*
밤에는 새우나.참붕어.납자루 등이 연안쪽으로 가까이 붙습니다..

덩어리들은 그것들을 사냥하기위해서 과감하게 연안측으로 움직임을 하지요.^^
1m전후가 가장 확률이 높았습니다

요즘은 날씨가 더우니 낯에는 깊은곳

밤낚시에는 얕은곳이 좋지않을까요


월척 캠페인 오분만 청소 합시다

..
뭐..잡아봤어야 대답을 할건데..

거참 난감하네..ㅡ.ㅡ;;

릴로는 마니 잡아봤는데..^^
맥가이범님 의 캠페인
널리 멀리 퍼트려주세요^^
추천한방 쏩니다^^
아울러 낚시줄 낚시바늘 절대로 버리지 마세요...
모 싸이트 조행기에 원앙이 바늘에걸려서 괴로워 하는모습보니
마음이 영 ㅉㅉㅉ...
저는 1m 전 후에서 나왔습니다...
보편적으로 저도 60-1m

상류지역에서 월척붕어

얼굴볼 확률이 놉다생각합니다

498하십시요--
지난주에 청양에서 일기예보에 80~100미리 비온다는 소식에 오름수위 볼라고 15센티 수심에 찌갈고 가다렸습니다
물론 찌도 안서죠 그날밤 물 1센티 불었습니다 ㅠㅠ
그래도 3마리잡았습니다 15센티에서^^
몇년전에는 풍각에서 황토물이 넘실대는 저수지에서 (거의 해질녘에 도착) 선택의 여지도 없이 대를 펴니까 수심이 무려 5미터..
그날은 37한수로 마감한적이 있습니다
낮낚시는 2~3 m 권

밤낚시는 1m 전후권 당연히 밤낚시죠


월척캠페인: 오분만 청소합시다
작년에 나온 녀석들은 희안하게 왜 다.. 2m 권에서 나왔지. ㅠㅠ
35이상 덩어리들도 2m권 가까운 곳에서 나온거 같은디..

허나 계곡지가 아닌이상에는 통상적으로 50~1m 초반을 권합니다.
60-1m20전후

월척캠페인: 오분만 청소합시다
수심50~80정도 아직까지도 한마리도 ㅎ ㅎ
전 마지막 월척이

50에서 나왔습니다.

터진붕어는 70에서 받았구요..

확율로보면 1.5미터 전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1미터20~1미터50정도밤낚시에 못은달라도수심은 거이갓읍니다 작년에 월이 5수했읍니다
보편적으로 낮은 수심에서 나옵니다.
1미터 전후 수심이 제일 무난한 것 같습니다.
1~2m수심권
더운 밤에는 특히 물이 새는 주위에는 붕어의 등이 보이는 곳에서도 월척을 잡은 기억이 있습니다.
무더운 날씨에 안출하시고 건강조심...꾸벅
스심 4~5미터에서 월척잡았다는 사람은 못 봤읍니다
저는 80~1.5미터를 좋아합니다
웬만한 상황이면 ............... 1m 전이 좋더군요
보편적으로 1m내외 에서 많이 나온다고 봅니다
저도 1m 전후에 한표....

제발 자기 쓰레기 만이라도 가져 오시는 센스^^
저는 올해는 조금 깊은 수심층을 공략해 나름 성공한 케이스입니다..

얕게는 2m에서 깊게는 3m층을 공략했는데..(제가 가는 저수지는 상류에도 2m가 넘는 포인트가 많다보니..)

대부분의 월척을 그 수심층에서 올렸습니다..

깊은 물속에서 올라오는 듬직한 체구의 붕어의 손맛은 말씀드리지 않아도 아실겁니다..

때문에 낚시대도 많이 펴야 6대정도..적게는 4대...

깊은 수심의 워리를 끌어내기에 많은 대편성은 오히려 실이 될수 있습니다..
갓낚시 이론에서 가져와서 정리해 봅니다.... 간단히 이해만 하시길~~~

낚시인들은 사각 형태의 새우망으로 새우를 채집해 미끼로 사용하지만

직업적인 전문 새우잡이들은 원형의 '바닥천 새우망'을 주로 쓴다. 흰 무명천 위에 생선을 넣어 쑨 풀죽을 바르거나 가운데에 사료주머니를 달아서 새우를 유인하는 바닥 천 새우망은 접고 펴기가 불편하지만 어획량에선 사각 새우망을 훨씬 앞선다. 그런데 새우잡이들은 천 망을 까는 데 나름대로의 원칙이 있다. 대구에서 2대째 새우 조업을 하고 있는 어부 유만호씨(59)에게서 들은 말을 인용해본다.

" 해거름에 물가에서 발바닥 거리(20~30cm)에 첫 망들을 깝니다. 해거름엔 새우들이 가장 얕은 곳으로 나오기 때문이죠. 그리고 저수지를 한 바퀴 돌아 1차로 망을 턴 다음, 50~60cm 거리에 2번째 망을 깝니다. 새우들이 더 안쪽까지 분산되기 때문이죠. 망을 놓는 위치는 수심에 상관없이 연안과의 거리를 보고 결정하며, 씨알은 2번째 망의 3배에 달합니다. 두 바퀴 돌고 난 시간이면 새우가 더 안쪽으로 들어가 잡아봐야 낱마리입니다. 천 새우망은 모두 회수하고 깊은 수심에 사각 새우망을 던져놓고 철수합니다". 유씨의 조업방법은 수 십 년간 터득해온 새우의 시간대별 이동에 따른 것이다.

그의 경험은 갓낚시 이론과 정확히 일치하고 있다. 그렇다면 새우를 사냥하는 붕어들 역시 새우 무리를 따라 이동하지 않을까? 즉 초저녁엔 가장 얕은 연안으로 나왔다가 밤이 깊어가면서 조금씩 깊이 들어가는 패턴으로. 낚시꾼들은 가끔 밤에 랜턴을 비춰 새우가 있나 없나 확인해본다. 그러나 매 시간마다 비춰보며 새우의 움직임을 관찰한 사람은 드물 것이다. 야행성인 새우는 낮에 돌 틈이나 가라앉은 나뭇잎 속에 숨어 있다가 어둠이 깃들면 먹이감이 많은 연안으로 이동한다. 배를 채운 새우들은 조금씩 깊은 수심으로 물러나 밤11시~12시 이후엔 랜턴으로 비췄을 때 보이지 않거나 낱마리만 보일 정도로 잠적해버린다.

야행성인 붕어도 새우와 다를 바 없다. 낮에 깊은 은신처에 숨어 있다가 어두워지면 사냥감을 찾아 연안으로 접근한다. 초저녁 연안엔 새우가 우글대며, 새우 아니라도 작은 치어나 참붕어 등 기타 먹이들은 연안에 몰려 있다. 그래서 새우가 없는 못에서도 새우미끼가 먹히고, 갓낚시가 통한다. 2002년 6월호에 취재한 마산 용내무재못은 바닥새우가 없는데도 새우미끼 갓낚시로 마릿수 조과를 거두었고 역시 밤11시 이전에 모든 조과가 배출됏다. 새우가 없더라도 ' 초저녁 연안' 엔 각종 먹이감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를 따라서 혹시 대물이 출몰하는 시간대와 수심에 차이가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대형지 및 저수지의 특성차이는 약간있으나
대체적으로 연안가까이 낮은수심대에서 수초형성이 됨으로 먹이사슬을 위하여 1M-1.5M전후권에서

대형 대물들이 포획이 잘되며 , 밤낚시에 주로 연안으로 붙는 대형붕어는 실제로 1M-1.5M 전후에서 ...

경험적으로 2M이상권에서 35을 본적이 별로없으나 초봄 배수기철에 수문을 열면 상류의 고기는 실제로
뚝방, 제방권에서 수초많은 곳으로 회유하여 수심이 약간있는 0.8 -1.5M 권에서 월척타작을 많이합니다
배수기제외 시즌이 끝나면 낮은수심대 회유를 많이하므로 밤낚시엔 정숙을 철저히준수하시면 ......

다소의 경험을 토대로 서찬수씨의 갓낚시를 필독하시면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되며, 실제는 저는 이렇게
1M 전후에서 갓낚시를 한지 좀 됩니다 .요즘은 도통 꽝이지만서도

꼭정답이라고는 못합니다 지금처럼 무더운날에 수심 3M-4M권에서 출몰도 합니다
저수지의특성을 잘이해하심이 .........

월척 휀님들 건강관리 잘하시고 요즘은 윗조사님들 처럼

월척켐페인 : 5분만 청소합시다 에 동참합니다
그리고 보물들은 되가져옵시다
나의 첫 워리는 40센치(봉돌과 찌가 거의 붙은상태) 에서 오후 3시에 나왔어요.

수초사이에 아슬아슬 작은 구멍에 넣어서요...
안녕하세요...^^ 수심... 별생각없이 낚시했는데.... 낚시가 참 어렵네요...^^

전 사실 수심 깊은곳 4미터 넘는 곳에서 콩에도 받아보았구요 수심이 얼마되지 않는곳.40정도에서도 받아보았구요

미끼는 모두 통하더군요 하지만 수심이 조금 얕은곳에서 조금더 활발한 입질을 받았으니 확률은 수심이 얕은곳이

조금더 유리하지 않을까요... 그냥 제 경험입니다... 참고하세요
어제 월만 13수 했습니다... 총 나온 붕어 35마리.. 수심 1m50~ 90사이...
감사히 잘배웠슴다
항상 안출 하시고 즐^^
작년... 거기서 총월급을 100수 이상했는데....

희안 하죠... 남들 다 얕은곳에서 꽝...

대물의 70~80프로는 2미~3.5미터권....

저는 새우를 붕어가 먹는게 아직도 신기한 초보입니다...ㅍㅎㅎㅎ
붕어 맘 아니겠습니까

개인적으로는 1미터 전후 수심을 제일 좋아합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