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정도 떡밥낚시만하다 대물을 시도해보고자 문의드립니다.. 떡밥찌맞춤은 수심체크후에 봉돌방향으로 찌를내려 봉돌을 가감하여 찌톱이 살짝보이면 다시 위로 올려 맞추는데 대물찌맞춤은 어떻게하는지 모르겠네요.. 일부 조사분들은.. 케미끼고 봉돌만달고 투척하여 수심체크하고 봉돌은 조금씩 가감하여 천천히 가라앉게만하면 끝이라고하던데 이게 정말 맞는 대물 찌맞춤인가요?
그리고찌몸통의 재질에 따라 맞춤법이틀리는대
이러케하면 힘들고요
그냥 봉돌달고 찌케미꽂이에 케미꼽아서 천천히 바닥에 닳도록 하면 무난할거 같습니다
저는 무겁게 해서사용합니다..그냥던지면 풍덩...
될수있는대로 무겁게 쓰시는게 유리합니다.
수조에서 케미꼽고 봉돌만 달고 서서히 내려가서
바닥에 닿게 마추시고 현장 가서 그대로 쓰시면
됩니다.
2b봉돌 하나 추가로 달아서 했었습니다.
찌도 기냥 떡밥찌쓰고요
요즘은 최소 5호 이상의 봉돌에 찌맞춤은
던져서 너무 빠르게만 안내려가면 무거운맞춤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직접해보시면 누가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 이런말 아니어도
스스로가 좀 무거운 맞춤으로 가게될겁니다
위에분 말씀처럼 잔챙이나 잡어성화때문에라도 무겁게 가게되더군요..
집에서 수조통에 케미도 안달고 봉돌만 달고 내려갓다 천천히 올라와서 케미고무가 수면과 일치하면 됩니다.
그런후 케미 끼우고 다시 수조통에 넣으면 찌가 천천히 내려갑니다.
그상태로 현장에서 바늘달고 낚시하시면 됩니다.
저의 찌맞춤법입니다.
전 캐미 달고, 봉돌에 바늘 달아서 바늘이 바닥에 닿도록 씁니다.
조금 예민한 듯하지만, 요새는 붕순이들이 만나기 힘든관계로 자꾸 ....쩝...
예전엔 잔챙이 성화때문에 무거운채비를 섰으나 요즘은 잔챙이 보기도 힘들다 보니
예민한 채비로 최대한 이물감 없이 낚시하고 있습니다~
찌마춤엔 정답이 없습니다. 여러번에 시행착오를 현장에서 몸소 채험해야 정답이 나오는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