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거의 맹탕에서 낚시를합니다 수초에 걸림도없고 그래서인지 채비를 거의 바꾸질않고
1년넘게 쓰고있네요 초보라 어떤줄이 좋은지도 모르고 바늘을 몇호써야 하는줄도 잘모릅니다 그냥 물에가서 낚시대 펴두고 지렁이꼽던 새우꼽던 합니다
그래서 이번에 월산낚시 떡밥 생미끼 겸용찌를 여러개 구입해서 채비를 바꿀려고합니다 선배님들 떡밥도쓰면서 생미끼도 쓸려면 몆호줄과 멫호목줄 몇호바늘을 사용하시는지요 아는지인께서 너무뚜꺼운줄을 사용해도 낚시가 안된다고 하던데 사실인가요 바늘또한 너무커도 붕어가 입질을못한다고 하던데 과연 적당하먼서 큰놈이걸려도 잡아낼수있는 호수는 몇호일까요궁금합니다
대물낚시 채비좀 알려주세요
-
- Hit : 3259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9
그러다보니 너무 많은 답변이 나올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내가 하는 것이 정답이라고 확정을 갖지 마시고 그렇다고 내가 하는 것이
부정확하다란 생각도 마시길 바랍니다.
통상적으로 원줄 3 ~ 5호 정도에 목줄은 2 ~ 4호 정도 사용하는 줄 알고 있습니다.
그 때 환경에 따라 많이 달라지는 것이 낚시기 때문이라 생각이 듭니다.
바늘 또한 감성돔 바늘부터 시작해서 향어 바늘까지 여러 가지로 많이 사용되는 줄 알고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감성돔 바늘 같은 경우엔 3 ~ 5호 사이 정도로 사용하고
이세형 바늘 같은 경우엔 7 ~ 11호까지 사용 하는 줄 알고 있습니다.
참조로 저 같은 경우엔 이세형 바늘 7호와 10호 정도를 주로 사용하는 편입니다.
찌 또한 3가지 정도 갖고 다니는 편입니다.
30cm 7호 = 케미 빼고 수평 맞춤 <- 배스터에서 사용 <br/>
35cm 8호 = 케미 빼고 천천히 가라 앉게 <- 일반 생미끼 사용이 가능한 곳 <br/>
50cm 7호 = 케미 빼고 천천히 가라 앉게 <- 계곡지에서 사용 <br/>
이렇게 갖고 다니지만 여전히 꽝은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낚시를 하는 듯 합니다.
아니 그 보다 먼저가 낚는 재미는 이젠 별로고 그냥 하루밤 맘 편안하게
자연과 벗삼아 노는 것을 더 좋아합니다.
고라니 울음소리,개구리 울음소리,풀벌레,새벽엔 새 울음 소리 등등...
이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아직 찾질 못 했기 때문입니다.
낚는 것에 너무 빠지시면 낚시 자체가 재미 없어 질 수도 있습니다.
난 취미 생활이고 붕어는 생명을 건 행위입니다.
그러니 너무 조급한 마음에 육체를 지배하시면
대어 낚시 자체가 재미 없어질 수 있으니 최소 1년 동안은 편안하게 맘 갖고
낚시하시길 바랄 뿐입니다.
어느 초보 조사가 ~~~
부력은 6호 정도 되는 거 같네여~~ 위분 말씀대로 정답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찌는 부력 약 7~8호사이구요
대어낚시 또는 생미끼낚시는 기다림에 낚시입니다 공존의이유 싯귀절처럼....
부디 자연과 더불어 즐긴다생각하시길 조과에 연연하지않는...
채비는 정도는 없읍니다 다만 자신의채비에 믿음을가지시고 기다림에 익숙해지는 낚시를 하신다면
그또한 낚시에 매력아니겟읍니까
올해는 498하시길~!~!~!
총장님~~~~~
대명이 너무재밋어요 ㅎㅎㅎ
대명읽어보고 뿜엇습니다
6시내고환 이후 제일 재미잇는 대명이십니다ㅎㅎㅎ
채비란게 정답없다라는게 정답입니다만
여기저기 찻아보시면 본인의 마음에 드는 채비법을
발견하시게 될겁니다
저는 원줄 카본3호 바늘 크기는 눈대중으로
두세가지 가지구 다닙니다 홋수는 잘안보고
이정도면 괜찬겟다싶은거로 챙기는 편입니다
물론 바늘이 너무크면 않되겟지만 살기위해
먹이를 취하는 물고기들은 우리가 생각하는것처럼
연약하지 않답니다
눈만달린 붕애가 무식하게도 큰 바늘에 달려나옵니다
떡밥과 병행하시려면 수평맞춤하시고
생미끼시와 떡밥시 바늘만 교체하면서 사용하셔도
괜찬을것같습니다 ㅎㅎ
그날의 조황이 우지 좌지 하지요.
고수가 별거 있습니까?
그날 대어를 낚는 그사람이 고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