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대물낚시 풀셋트 기준

  • Hit : 4029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3
제가 498 풀셋트 장만중입니다 현재 22-1 24-2 26-2 28-2(구입예정) 30-2 32-2 34-2 총 11대 보유하고 있거든요 여기서 별로 사용빈도가 적은것하고 더 구입해야할 것은 무엇무엇이 더 있으면 되겠습니까. 총 22대 정도로 예상해서요 고수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가끔 4.0칸대 사용할 필요가 있을때가 있으니 3.6칸대 4칸대도 구입해 보심이... 어떨듯... 특히 노지에서 좀 떨어져있는 수초대를 노릴때 장대가 필요합니다. (장대의 경질대로 수초 구멍치기 할때도 필요하구요. ) 그리고 보통은 2.8 ~ 3.2칸대가 주력이라고 그러죠? 제 경험상으로도 그 칸대의 낚시대가 연중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주력칸대의 낚시대는 1대정도 더 필요할듯...
그렇지 않으면, 밑걸림이나 기타 문제로 인한 채비 재구성시 대체 낚시대가 없을경우 그만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그 시간대에 다른 낚시대의 입질을 못보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따라서 제 생각엔 장대구입 그리고 주력칸대 추가구입을 조심스레 권해 봅니다. 참고로, 저는 약 30대이상 보유하고 있습니다. 사구팔 자수정드림 장독대VIP/골드 EX포인트 신풍 연풍 엑셀런트골드2 하하하.. ( 마눌님이 아파트에 더 이상 낚시용품으로 디딜곳이 없다고 제가 낚시용품 구입때마다 죽이려 해요... 흐 억! )

이래저래 테스트겸 욕심이 나서 구매하다보니 어느덧 30대가 넘어가고 그동안 낚시대 구입에 들어간 비용만 100만원이 훨씬 넘었습니다. 암튼, 개인의 자금적 여유 그리고 낚시 패턴에 따라 여러가지로 고려하시고 구매하시는게 좋을듯 싶네요. 어차피 구매하고 나서 다시 중고로 팔려면 왠지 속이 쓰리쟎아요. 낚시대는 자동차와 와이프처럼 빌려주는게 아니듯 자기가 정말 애지중지 할 수 있는 제품과 수량을 맞추시기 바랍니다.

그럼... 어복 충만 하시길... ^^
장비 새로 사시는 분들 보면 참 부럽습니다. 제가 지금 금강대로 4셋 쓰고 중간중간은 드림과 가람 그리고 맥스포인트로 보강하여 쓰고 있는 데...24대부터 31대 사이가 많이 필요하여 그 안에 집중적으로 많은 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로 24대-4, 25-3대, 26-두대, 27-4대, 28대-두대, 29대-두대, 30대-두대- 31대 4대)이렇게 보니 23대 이네요...좀 많구나...싶네 이로고 보니...^^;;;; 여튼...그 칸수의 길이에 대가 대물낚시시에 많이 사용되더라구요...그리군 20대 4대, 16대 두대, 32대-두대, 33대-두대, 36대-5대, 40대-3대 이정도 됩니다. 욕심이 많은 것도 있지만...아마도 24부터 31이나 32사이에 대가 다루기도 편하고해서 아마도 많이 쓰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냥 참고만 하시구요...와 부럽네요..
욕심이라 생각마시고 고루 갖추심이 옭은듯 합니다.
주대가 22~30정도 되는 이유는 수초분포가 대부분 이 범위선에서 이루어 지는 경우가 많고...
수초작업도 이정도 길이에서 할수박에 없는 이유도 있겠지요. 10미터 수초제거기도
바닦까지 긁는 작업이 요하는 경우 33대 길이 이상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낚시를 다니다 보면 어떤이는 대와 대사이 간격이 1~1.5으로 ...
어떻게 보면 회유로를 찻기보단 폼?위주로 한다는 생각도 들더군요.
하지만 맹탕에서 이런 방법으로 부채형으러 대편성 할경우 효과를 봅니다.
하루밤에 입질을 수차례 받는것도 아니고 어짜피 하루밤 지새울 낚시라면 최대한 회유로를
차단하고 활용 할 수 있는한 긴대 짧은대 가리지 말고 골고루 갖추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제가 낚시를 하면서 대편성할시 제일 중요시하는것이 수초분포에 따른 대편성과
중복되는 대편성은 피하는것이 좋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뚝방 갖낚시를 한다고 치면...
분명 땟장경계지점을 양쪽 혹은 한쪽으로 7~9대(저의 경우) 펴지요.
이렇게 대편성을 하다보면 너무 중복된 대편성이라는 생각을 지울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전 사이사이에 2대정도는 1~2m정도 저수지 중심부로 투척합니다.
완전 연안으로 붙는 대물들 말고 그외의 고기를 공략한다는 생각에서 이렇게 합니다.
한층더 맘이 편하고, 2가지 낚시를 한다는 느낌에서...

다루기 편한 중절의 장점보단 않은 자리에서의 포인트를 최대한 활용하는것에 점수를
주는것이 저의 생각입니다.
그날 잡은 포인트에서 분명 저수지 중간부분에 부들,땟장이 듬성히 있거나...
골자리에서 멀리 있는 곳부리 자리를 공략하자면 장대가 필요로 합니다.
대편성의 편의와 다루기 쉬운 짧은대를 중복 공략하기 보단 중간중간에 한대씩을 빼고
또다른 포인트를 점령하는 기분으로 장대를 이용합니다.
장대는 칸수마다 50대까지는 한대씩 준비하시는것이 어떨까 생각합니다.

저의 글에 오류를 범하지 않았음 하는 뜻에서 한가지 더 말씀드리고 싶네요.
한곳의 특정저수지에 칸수를 마추는 것은 금전적인 부담도 뒤따르고,
골동품처럼 그곳 저수지 외에는 전혀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더군요,(경험)
올봄에 제가 아는 소류지에서 제일 유력한 포인트에서의 공략대길이가 40~70 대 위주였습니다.
물론 월척은 했으나 그자리가 아니더라도 잘 낚였던 터라... 후회도 되고...
지금은 40대는 2회출조에 한번은 쓰여도... 그외 장대는 아예 쓰임쇠를 잃었습니다.
또 한가지 반전이라면...다가오는 겨울철에 낮 지렁이 직공낚시에 장대를 쓸 예정입니다.

이상 제가 사용한 장대 쓰임에 대한 장단점을 말씀드렸습니다.
성격, 안도감 등등에 따라 개개인의 생각이 다를수 있습니다.
전 당일 편한 자리보단 불편하더라도 좋은 포인트가 보인다면 발품을 팔고 새롭게
포인트를 만들어 하는 성격입니다^^;;

허접한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주절주절 ㅡ,.ㅡ;;
월님들 마감되는 시즌이네요. 마지막까지 포기 마시고 월척들 하십시오.
저라면 22부터 30까지 3대
그위로 각 2대
20아래 각 2대
꿈같은 얘기네요 ㅎㅎ
대물입질 확률이 가장 높은대는? 제 경험으로는 짧은대 입니다.보기엔 넘 짧다고 볼수도 있지만,,1.0, 1.2,1.4,1.6,1.7,1.9,2.0,2.1 요정도의 대중에 최소 4~5대 정도는 있어야하며 1.2,1.6,1.7,1.9 정도는 필수 입니다.(강한챔질에 견딜수 있는 종류의 대)
그리고,,3.6,4.0,4.5 쌍포면 좋지만 한대씩.2.8대는 한대사시고 한대는 2.9대 사세요 .
그리고 2.6대한대는 통초릿대를 쓰시거나 줄을 짧게 매서 2.5로 사용하시구요.

기준이라하면
어떤수초에서 하느냐에따라 달라지는데
가령 부들밭 수초제거기10.2로작업하는범위내에선2.0칸3.2칸까지
뗏장밭에서 넘겨치기혹은 독립뗏장에 근접해서칠려면3.2칸이상~긴 낚시대도 많이
필요로하더라구요.그리고 저수지 특성상 긴 낚시대로 공략할 곳도 많기에 3칸 이상 4칸미만의 낚시대도 많이 필요로 하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저는..
12 -1
15-2
17-3
21-5
25-5
29,30-4
32-3
35~6-3
40-2
45-2
47-2
51-2
55-2
60-3
65-1
70-1대 이렇게 가지고 있어도 필요한게 더 있다고요...^^
크억... 집한채 살 돈 들어가신것 아녜요? ^^
와! 대단하시네요 얼마나 드셨나여...
아무리 대물낚시도 좋지만 저거들고 가다가는 저는 가방무게에 눌려 압사합니다...
대물낚시 안하고 말지...^^;

그냥 짧은데 15,17,19 한대씩하고 36,40한대 정도 더 있으면 웬만한데는 다 통할듯합니다..
낚시도 좋지만 너무 무겁게 들고 다니면 난중에 어깨,무릎통증때문에 고생 좀 할깁니다..ㅋㅋㅋ
낚시에 목숨걸일 없으니 그냥 가볍게 즐기는 마음으로 짐무게를 가능한한 줄입니다...
이상 초보생각입니다...
위 권군님게 의문인데요 도대체 7칸대를 어디에 쓰나요? 그런 어처구니??
새우 대물낚시에서 도대체 그런게 있스니까? 7칸대 던지니 닐을 던지지!!
낚대 자랑하는것도 아니고...어처구니가없군 초보아닙니꺼???
대부분 17에서 32까지 각3대씩정도에서 각4대정도에서 36,40정도 있습니다 무슨 60,70이고!!!!!!!!!!!!!!!!!!!!그러니 닐을 던지겠다 무식한놈
22대밑으로3대정도34대위로40까정3대정도면 충분히 할꺼라고봅니다....
전 짧은 대를 많이 사용합니다. 될수 있으면 2.6칸 이상은 피지도 않는데.. 갓낚시 형태라고 할까요? 그냥 제 스타일입니다. 가끔 3.0 3.2 도 쓰지만.. 3.6 4.0은 아예 드롭뽕 채비만을 해놓고 스윙낚시는 하지 않습니다.

1.5 2대 1.7 2대 1.9 2대 2.0 2대 주력 낚시대입니다. 여분으로 1.5 1.9 글라스대도 가지고 다닙니다. 2.3 2대 2.4 2대 2.5 2대 2.6 3대. 이렇게 가방에 넣고 나녀요.

총 19대정도 만을 가방에 지참하고.. 트렁크 안에 3.0 3.2 3.3 3.6 4.0 1대씩 보관하고 다닙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