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대물낚시(생미끼) 찌맞춤은 ???

대물낚시(생미끼)주로 하시는 분은 주로 찌맞춤을 무겁게 하는경향이 있는데, 다들 그렇게 사용하시는지 아님 개개인에 찌맞춤법이 따로 있는지 (상황에 맞는 찌맞춤) 궁금하여글을 올립니다.. 선배조사님의 노하우을 몇자적어 주시면 많은 도움이 되겠습니다..^^ 이번주 출조하시는 회원님들 대박,대박 ,대박나시길......^&^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도 초보이지만 제경우를 말씀드릴께요.

저 역시도 무거운 찌맞춤을 하는데 이유는 침수수초를 뚫고 내려가라고

무겁게 맞추고 있습니다.

낚수에 정답은 없다라는 말이 있듯이 하야님께서 제일 편한 방법으로 하시면 좋을것 같네요.^^
저같은경우 수조통에서 케미빼고 봉돌만 달아서 천천히 바닦찍고 올라와 수면과 수평으로 맞춤니다
모든미끼사용(1년사용)
그러다 현장에서 채비끊어지면 대충7호먹으면 그냥8호사용합니다(사용상 별문제 없슴)
전 상당히 무겁게 합니다..아무리 무거워도 찌는 올라옵니다..바닥에 안착이 되야하니까요?
전 무겁게해야한다고 생각하는데도

제 채비들은 다 가볍게 맞춥니다.

1~2시간동안 말뚝찌만 보면 졸립니다. ㅎㅎ

간혹 아주 작은 미동이라도 포착되면 조금의 긴장감이

좋습니다.. 무언가 찌밑에 생명체를 발견한듯한 기분ㅋ

잡히면 좋고 안잡혀도 좋고.. 그냥 찌움직이는것만 봐도 재밌습니다. ^ ^
무겁게 맞추는게 여러모로 장점이 많죠.
저는 무겁게 안맞춥니다...ㅎㅎ 영점에서 케미끼우고 바늘달고 서서히 가라앉게요...
저도 계속 고민하다 캐미만 끼워서 영점 맞춤 합니다. 감성돔 5호 바늘달면
천천히 내려가 바늘만 바닥에 닿습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좀더 빨리 가라 앉겠죠
그리고 대물낚시에서 너무 무겁게 하지 않더라도 바닥권의 수초외에는 뚫고
내려가는데 찌맞춤과는 상관없습니다.
잘 생각해 보세요.
여러 조사님들말씀다 맞네요...^^ 전 그냥 약간 무겁게 맞춥니다 왜?
왜라고 물으시면 ^^ 그냥 맞추기가 편해서요... 이렇게 말합니다
대충이라고 하면 좀 그렇고 제가 맞추기편하데로 합니다
그래도 뭐 쓰는데는 지장이 없던데요^^ 마이너스, 영점 다해봤는데 맞추기 어렵고 귀차나서...^^
찌는 후배가 만들어서 테스트하라고 줍니다... 후배는 찌를 아주 잘만들거든요^^
가끔은 빼아서 쓰고 훔치기도하고^^ㅋㅋㅋ
그래도 후배란 넘은 저한테 찌 잘만들어 줍니다... 낚시를 아주 야물딱지게 하는 넘이죠..^^
제가봐서는 조과는 항상 저를 앞섭니다 근데 올해는 긴찌를 만들어서 사용중인데..
이유는 올해 아마도 가뭄이 심해서 깊은쪽으로 많이 움직일것 같아서 그냥 제 생각입니다...
담에는 월척을 잡았다는 소식을 올리겠습니다 .... 얼마전 선배하분이 낮에 똥피리로 월척 했던데
전가서 꽝 맞고 왔습니다 ^^ 역시 대물낚시는 운칠기삼이란말이 정확합니다^^
올해도 안전운행 하시고 붕어 얼굴 많이 보세요...^^
놓아주기님 저와 같은생각입니다..
바닥 수초만아니라면 뚫고들어가는데 지장이없다고생각합니다.^ ^
일반적으로 모든님들이 조금은 무겁게 쓰리라 생각 합니다.

저의 경우도 약간 무겁게 사용을 하는편입니다만

가끔 짬낚시를 갈때는 영점 부력 정도루

맞추기도 합니다.

아무래도 미세한 입질을 보기위해서는 좀 깍았다가

다시 올밤을 가서는 그곳에 좁살 봉돌 하나 꽉 OK
항상 찌맞춤의 답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르다가 정답인것 같네요.

하지만 자기채비에 믿음을 가지는 찌맞춤이 더욱 좋겠죠^^
찌가 가볍다면 생미끼인 지렁이나 새우, 참붕어에 의해서 찌가 움직일수 있으니 조금 무겁게나 영점 마춤이 좋져~
제가 지금까지 해온 경험으로 보면 바닥낚시인 대물낚시는 무조건 뽕똘이 바닥에 안착돼야한다는 결론.~^^

단......이설이 많은~^^

근데 제가 시험을 해보니 바닦에 닿는게 입질이 확실하는거~ㅋ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