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오늘 질문이 많습니다. 예전엔 무심코 지나가다 요즘에 월척 대물낚시Q/A에서 눈팅하다 많은것을 배웁니다.
어제는 낚시점에서 괜찮은 케미가 나왔다라면 사장님 권유게 1박스(50개입)을 샀습니다.
그래서인지 문득 궁금해 지더군여
대물낚시하는데 있어서 야칸케미는 어떤게 유리한지....
3mm케미중 일자형, 미니방울, 일반방울 세가지중 어떤게
허접한 질문입니다만 제가 조금만 궁금하면 못참는 성격이라서,,,
대물낚시에는 어떤종류의 케미가?
-
- Hit : 5908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4
몇주전에 2박스 구입했는데요....
이제 반박스정도 남았군요....이거 다 사용하고 나면 또 3박스정도 구입할려고 합니다.
결론은 제가 사용해본것 중 가장 좋았다는 말입니다.
밝기와 밝기의 지속성 모두 만족하고 사용중입니다..
또하나는 캐미의 속캡슐에 분말형태의 물질이 들어있는것도 있습니다.
저는 구미에 사는데, 원호낚시에 가면 팔거든요...머털에서도 판다고 하더군요..같은 것인지는 확인 못해봤습니다.
사용해본 결과 초반에는 왕방울보다 상당히 밝았구요..
지속시간은 조금 모자라서 새벽에는 희미하더군요...
그래도 이 제품또한 추천할만한것 같습니다....근데, 두 제품모두 가끔 불량이 발생하는 것은 어쩔수 없나봅니다...
야간 대물낚시에 있어서는 빛의 밝기도 소음만큼이나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고 봅니다..
누구나가 그렇듯이 확실한 시인성은 밤낚시에 많은 도움을 줍니다만,붕어의 경계심은
빛의 밝기에서도 많은 영향을 준다고 봅니다..
저도 왕방울및 머털에서 판매하는 변강쇠도 써보았지만 둘다 불량률이 많은점에서
실망을 많이 했습니다..
왕방울은 밝기는 끝내줍니다만 새벽녘으로 가는시간에는 빛이 많이 어두워짐을 확인했습니다..
변강쇠는 밝기는 그다지 밝지않으나 계절별 수온에 민감하게 반응하는것을 확인되었슴다.
변강쇠의 수온의영향이라함은,늦은봄부터 초가을까지 따뜻한 수온에서는 빛의 변화가 거의없음을확인했고,
늦가을부터 이른봄까지 저수온기에는 빛의 밝기가 갑자기 많이떨어짐을 확인했습니다..
저 또한 찌를 수면속에 조금 잠수시킨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이점들을 확인하는데에는
오차나 무리는 없었음을 말씀 드립니다..
개인적으로는 일반방울이나,미니방울이나,저에게는 많이 밝게 느껴집니다..
그래서 저는 일자형미니를 많이쓰고 있습니다..
초저녘에 대물들이 가까운 뭍으로 올라붙는예는 별로 보지못한 관계로
케미꺽는 시간도 남들보다 최소 한두시간은 늦게 꺽는편입니다.
빛의밝기도 지속시키고 새벽녘의 은은함도 맛보기위함이라고나 할까요..
여러 월님들의 생각은 여러분야로 각기 다를수있겠으나 저 개인적인 대물낚시에서
사용하는 케미는 빛의 밝기도 소음만큼이나 많은 영향을 준다고 생각합니다..
암쪼록 님께서 마음닿는쪽으로 선택하시어 대물과 상면하시길 바랍니다...
그래서 저는 아에 케미를 따불로 쓴다고 생각하고 출조를 갑니다...
질문 올리신 취산님에게 도움을 될지는 모르겠으나 저가 지금까지 써본 경험과 현재 쓰고 있는
케미컬라이트의 대해서 몇자 적어 봅니다.이것은 저의 개인적인 성향이고 경험임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이것이 정답이다라고는 말씀 드릴 수 없음을 알려드리는 바 이오니 님들의 오해의 소지가 없으시길 바랍니다.
저가 낚시를 배울 당시의 케미컬라이트는 일자형이 주류를 이루어 왔습니다.
다른것들은 거짐 없었기에 그것만이 케미의 전부 인냥 오로지 일자형만 썼었습니다. 이것 밖에 없다고 생각하면
이것이 제일 편하고 좋은거라고만 생각이 들지 밝기가 문제다..또는 시간의 흐름에 밝기의 지속력이 현저히 떨어진다..
등등..이러한 단점들은 거의 생각나지 않습니다.단점이 있어도 그냥 자기 합리화식으로 넘겨 버릴 뿐이지요..
일단 사설과 서두가 길어진것 같습니다.
일자형과 방울형..형태에 따라서는 분말형도 있죠..그리고 요즘 즐겨 사용하는 왕방을 케미..
일자형은 초저녁 케미를 꺾고 낚시를 하다 보면 그리 밝지 않고 시야에 자극적이지 않다 보니 무난하게 어두워져 저수지에
도착해서 꺾어도 별로 지장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그리고 시간이 흘러 자정이 다 되어 가는 시간에 보면은 밝음이 많이 없어지고
눈의 피로에 조금은 영향을 줄만큼 눈을 크게 떠야 보일정도의 흐릿함을 줄때도 있었습니다.장대의 경우는 한층 더 하였죠..
그래서 새벽 1시를 전후에 케미를 다시 바꿔주곤 했었습니다.이러하기 때문에 시력이 좋지 못한 분들은 5미리 일자형을 쓰신
분들도 더러 있었습니다.이렇게 세월에 순응하며 낚시를 하던 중에 방울형이라는 케미가 나왔습니다.가히 선풍적인 인기였고
추세가 모두 방울형으로 시선이 모아지고 집중되곤 하였습니다.제가 써보아도 대만족이라는 표현 밖에는 설명할 수가 없었습니다.
일자형에 비해 훨씬 밝고 지속력 또한 거의 배가 되었기 때문이였습니다.시력이 좋지 못한 분들의 입에서 탄성이 나올 정도의
인기상품으로 차지 하게 되었지요.너무 밝아 대물을 노리는 일부 꾼들에게는 미덥지 못한 상품이 되기도 하였구요.
그러나 저가 써본 결과는 극히 수심이 낮은 지역을 빼면 거짐 조황은 일정하였습니다.수심이 70~80정도의 얕은 상류지대에서도
2~3센치 수면에 잠기게 하였습니다.그래도 찌솟음은 확실하고 환상적이였습니다.
그날의 자연현상과 여건이 어느 정도는 부합이 되어서 붕어의 활성도와 근접성이 맞아 떨어졌을지도 모르나 출조 할 때마다
거짐 이러한 찌솟음과 붕어들의 얼굴을 상면 하였습니다.
그리고 너무 밝아 조금은 미덥지 못하다는 분들이 계십니다.그렇다면 이러한 방법도 있습니다.
저도 여름철에는 출조지에서 날이 어두워질 무렵 케미를 꺾습니다.그러나 가을로 접어들고 일찍 어둠이 내리기 시작하는 시기에는
출발시간이 조금 늦었다 싶으면 출발전에 아예 케미를 꺾어서 조끼주머니에 미리 넣어 둡니다.대부분이 이렇게 하실테지만요..
밝기가 문제는 되지 않는것 같습니다.너무 밝다면 일찍 케미불을 꺾어 두면 되는 것이구요..
이렇게 일자형과 방울형을 써보았습니다.그런데 얼마전에 새로 출시된 왕방울이라는 케미가 있습니다.
저도 처음에는 왕방울이라 하여 너무 밝지는 않을까..신기하기도 하지만 애써 쓰지는 못하고 그냥 주위의 경험담만 듣곤
하였습니다.그런데 별로 차이가 없고 밝기가 너무 밝아 지장을 줄 정도는 아니라는 지인의 말을 듣고 행낚에서 한박스 구입하고
써보았습니다.일단 그냥 방울형과 왕방울의 차이는 방울밑 부분의 장단 차이 였습니다.그냥 방울형은 밑부분이 조금 길고
왕방울은 방울은 크나 밑부분이 짧았습니다.케미를 꽂을 수 있는 부분에 왕방울 케미는 꽂으면 방울만 나오게 되는데 이것이
저에게는 아주 매력적이고 아주 강렬한 인상을 심어 주었습니다.빛이 발산하는 부분이 방울에만 한정이 되어 있고 발산부위도
극히 지금까지 써본 케미와는 다르게 극히 일부분이였습니다.그곳은 왕방울 부분이였죠.
이제 실험에 들어가 보기 위해 출조를 하여 봅니다.
5월말경 초저녁에 왕방울을 꺾어 봅니다.밝기는 그냥 방울형보다 밝았습니다. 저수지는 연밭으로 연잎이 아주 무성하지 않은 시점
이였고 거짐 만수상황에 자리가 협소하다 보니 뚝위에서 극단적인 갓낚시를 구사하였습니다.
바로 앞 수심이 90~110센티.. 가상자리만 이러한 수심이 나오다 보니 갓낚시를 선택했습니다.
그리고 극단적인 경사지역이 아니고 3칸데 정 중앙 지점이 수심이 1미터50정도가 나오는 아주 완만한경사 지역이였습니다.
그리고 왕방울 케미는 수면에서 2~3센치 가라 앉게 했습니다.미끼는 참붕어로 했는데요..
초저녁 케미가 끝까지 점잖게 올리며 더 올리다 못해 끝까지 털더군요..이러한 입질을 쉴세 없이 받았고 거짐 다 월척이 넘는
것으로만 걸어 냈습니다.찌불이 너무 밝아 지장이 많았다는 말은 이해가 가질 않는 대목이지요..
그래서 그 이후에는 저도 오로지 3미리 왕방울케미를 사용하고 있습니다.아주 대만족입니다.
아주 칠흑같은 어둠이 있을때 수면에 잠겨놓은 왕방울 케미는 예신과 본신이 이루어 질때 아주 보름달이 떠오르는것 같은
착각을 할 정도로 시야가 보기 편해 대물낚시의 피곤함을 덜어 주는것 같습니다.
그리고 밝기의 지속력은 그냥 방울형보다 월등하구요..날이 밝을때까지의 지속력은 일자형과 방울형보다는 왕방울이
훨씬 앞선다고 자신있게 말씀 드릴 수 있으니 취산님을 비롯하여 케미컬 라이트의 밝기와 지속력..또는 대물낚시에 지장을
초래하는가의 궁금증이 있으신 분들이 있다면 어느정도의 궁긍증이 해소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일단 그리 민감하게 생가 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