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킬러님.....님의 아이디처럼....킬러는 한번에 성공 못시키면......................
깨끗이 포기하고....다음 기회를 노려보세요....수초를 감은 낚시대는 아침에
회수하시고요...대물꾼이 제거기나 뜰채로 고기를 끌어낸다.............................
저 같으면 자존심 상해서 절대 하지 않습니다...
간혹 아침까지 걸려있는 붕어도 있죠...하지만 그게 사짜라도 제가 잡았다는
생각은 안합니다....그게 제가 낚시할때 규칙입니다...^^
공자님, 골대리님,이인님! 감사합니다
몇 해전에 이런적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수초를 감고 있어서 친구에게 들구 있어라 하고
팬티만 입구 잠수 ( 수심 1미터 )......?
수초를 들어 내니....? 빈바늘 만.... 헉?
분명히 달려 있었는데....?
팬티 다 젖구....물 먹구...으이구~ 쪽 팔려~
대물킬러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위에 좋은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낚은 고기가 수초대 를 파고드는 것은 일반적인
일입니다. 챔질된 고기는 불안하거나 위험요소를 감지하면 즉시 은신처인 수초대
쪽으로 방향을 틀어 파고듭니다.수초,장애물지대에서는 빠른 챔질과 신속히
들어올리는 빠른 동작이 필수입니다. 곧바로 수초위로 올려놓아 바로 물가로
끌어내야합니다. 특히 빈바늘은 수초나 고사목,연줄기에 박히지 않게 하는 것이
최고입니다. 요즘은 강한 바늘과 목줄,원줄을 사용하기에 한번 박힌 채비는
빼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모든 장애물에 채비가 홀딩 되었을 때는 서두르지
말고 여유롭게 대처해야합니다.너무 무리하게 힘을 가하면 낚시대의 손상을
초래합니다. 먼저 바늘이 수초에 감았을 때는 원줄을 잡아 끌어낸 후 대를 들어
꺼내고 목줄이 감겼을 때는 받침대나 수초제거기로 수초를 눕혀 원줄을 수초끝
을 벗겨내듯 당깁니다. 바늘과 목줄이 동시에 감겼을 때는 목줄을 끝어버리거나
수초제거기를 이용하여 수초를 정확히 베어내야합니다. 그리고 수초제거기의
칼날을 빼내고 수초나 고사목등의 감긴 부분을 목줄이나 원줄을 돌려감아
당겨야합니다. 무리한 낚시대의 당김은 낚시대가 부러지는 원인이 됩니다.
원줄이나 목줄이 약한 것은 낚시대를 수평으로 하여 당기면 바늘 채비만
분리됩니다. 항상 장애물에 홀딩이 되지않도록 빠른 챔질과 들어내기에
신경 쓰시기 바랍니다. 미력한 답변 도움이 되었으면합니다. 새해에
498의 낚음을 기원합니다. 얼마남지 않은 갑신년에 못다한 좋은 계획
마무리 잘 하십시요.
낚시를 하다보면 간혹이런 일이 생기죠
힘들게 받은 입질에 수초에 감아버리면 난감 하죠
저는 수몰나무에 감아 버리면 그냥 포기하고 목줄 자르고
부들,갈대에 감으면 수초제거기를 사용하여 감아버린 주위부터
수초낫을 바닥부터 잘라 냅니다 근데 되게 이런 경우에 빈바늘만 ㅎㅎㅎㅎㅎ
일반 수초같은 경우는 저는 그냥대를 여유를 주지 않으면서
대를 일직선으로 눕혀 지그히 당기면 어지간한 뗏장등어리까지
다뽑혀 나오드라구요 물론 붕어구경도 하고....
원줄보다 목줄을 한단계 낮게 사용 하시면 줄을 잡고 당겨도 목줄만
터지지 낚시대 및 원줄에 손상이 가질 않죠.....
전, 그냥 받침대를 이용합니다.
긴 받침대 일수록 좋겠죠? 수면 위로 올라온 뗏장에 감기면, 땟장을 받침대로 너무 강하지 않게 치세요. 붕어란 놈은 좌우..혹은 앞이나 뒤로 째죠!. 한손으론 대를 잡고 당기면서, 또 한 한손으론, 받침대로 수초를 치기!! 물 밑 수초는 받침대를 물 안에 담궈 두고, 상 하로 흔드는 식으로 .... 하지만 수중 수초는 그리 단단 하지 않은 것들이 대부분 이므로 ,, 서서히 당겨도 무관 하리라 봅니다.
대물킬러님도 대단한 대물꾼이라 아는데요~ 잘 아실테지만, 모르는 분들도 볼 수 있을꺼란 생각에 몇자 적어 봤습니다.
다음 부터는 뜰채로 수초 통채로 떠야 겠군요!
갈쿠리로 수초통채로 뽑아서 뜰채로 수초 통채로 떠면 되는군요!
감사합니다 ^^*
대물이 수초를 감았을때 난감하죠?
옷벗고 들어가면 젤(?)이지만 그러다간 낚시를 다 망칠거고.
이때는 공자님 말씀처럼 갈쿠리나 수초낫으로
대물이 감고 있는 주변의 수초를 제거해 주면됩니다.
낚시대는 위로 치켜든 채로 말이죠..
수초는 물속에서 얼키고 설켜서 붕어가 수초를 한번
휘감으면 여간해서는 빠져나오지 않습니다.
정확도가 떨어지는 수초제거기로는 제대로 빼내기가 쉽지 않죠.
자칫 님의 말씀처럼 채비가 걸려서 터지기 쉽상이죠.
떨채로 떠낼때도 주변수초가 잘려져 있지 않으면 뗏장 같은데선
쉽지가 않죠. 뜰채로는 거리가 안나올수도 있고요...
건강하고 즐거운 낚시생활 이어가시기 바랍니다.
깨끗이 포기하고....다음 기회를 노려보세요....수초를 감은 낚시대는 아침에
회수하시고요...대물꾼이 제거기나 뜰채로 고기를 끌어낸다.............................
저 같으면 자존심 상해서 절대 하지 않습니다...
간혹 아침까지 걸려있는 붕어도 있죠...하지만 그게 사짜라도 제가 잡았다는
생각은 안합니다....그게 제가 낚시할때 규칙입니다...^^
몇 해전에 이런적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수초를 감고 있어서 친구에게 들구 있어라 하고
팬티만 입구 잠수 ( 수심 1미터 )......?
수초를 들어 내니....? 빈바늘 만.... 헉?
분명히 달려 있었는데....?
팬티 다 젖구....물 먹구...으이구~ 쪽 팔려~
위에 좋은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낚은 고기가 수초대 를 파고드는 것은 일반적인
일입니다. 챔질된 고기는 불안하거나 위험요소를 감지하면 즉시 은신처인 수초대
쪽으로 방향을 틀어 파고듭니다.수초,장애물지대에서는 빠른 챔질과 신속히
들어올리는 빠른 동작이 필수입니다. 곧바로 수초위로 올려놓아 바로 물가로
끌어내야합니다. 특히 빈바늘은 수초나 고사목,연줄기에 박히지 않게 하는 것이
최고입니다. 요즘은 강한 바늘과 목줄,원줄을 사용하기에 한번 박힌 채비는
빼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모든 장애물에 채비가 홀딩 되었을 때는 서두르지
말고 여유롭게 대처해야합니다.너무 무리하게 힘을 가하면 낚시대의 손상을
초래합니다. 먼저 바늘이 수초에 감았을 때는 원줄을 잡아 끌어낸 후 대를 들어
꺼내고 목줄이 감겼을 때는 받침대나 수초제거기로 수초를 눕혀 원줄을 수초끝
을 벗겨내듯 당깁니다. 바늘과 목줄이 동시에 감겼을 때는 목줄을 끝어버리거나
수초제거기를 이용하여 수초를 정확히 베어내야합니다. 그리고 수초제거기의
칼날을 빼내고 수초나 고사목등의 감긴 부분을 목줄이나 원줄을 돌려감아
당겨야합니다. 무리한 낚시대의 당김은 낚시대가 부러지는 원인이 됩니다.
원줄이나 목줄이 약한 것은 낚시대를 수평으로 하여 당기면 바늘 채비만
분리됩니다. 항상 장애물에 홀딩이 되지않도록 빠른 챔질과 들어내기에
신경 쓰시기 바랍니다. 미력한 답변 도움이 되었으면합니다. 새해에
498의 낚음을 기원합니다. 얼마남지 않은 갑신년에 못다한 좋은 계획
마무리 잘 하십시요.
힘들게 받은 입질에 수초에 감아버리면 난감 하죠
저는 수몰나무에 감아 버리면 그냥 포기하고 목줄 자르고
부들,갈대에 감으면 수초제거기를 사용하여 감아버린 주위부터
수초낫을 바닥부터 잘라 냅니다 근데 되게 이런 경우에 빈바늘만 ㅎㅎㅎㅎㅎ
일반 수초같은 경우는 저는 그냥대를 여유를 주지 않으면서
대를 일직선으로 눕혀 지그히 당기면 어지간한 뗏장등어리까지
다뽑혀 나오드라구요 물론 붕어구경도 하고....
원줄보다 목줄을 한단계 낮게 사용 하시면 줄을 잡고 당겨도 목줄만
터지지 낚시대 및 원줄에 손상이 가질 않죠.....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고견 부탁드립니다
경산 그린조우회의 송년회는 잘 보내셨는지요 ^^
애 많이 쓰셨습니다
항상 건강 하시고 왕성한 활동 부탁드립니다
물이좋아님 좋은 글 감사 드립니다
그래도 잘라 버릴려니 아까버서리.....!
괴기가 없는 상태라면 가감히 시도해 보겠지만 ....
괴기가 달려 있는 관계로 무조건 어떤 놈인가 궁금해서 말입니다
담 부터는 빠른 챔질로 이런 낭패를 당하지 않게 하겠습니다
긴 받침대 일수록 좋겠죠? 수면 위로 올라온 뗏장에 감기면, 땟장을 받침대로 너무 강하지 않게 치세요. 붕어란 놈은 좌우..혹은 앞이나 뒤로 째죠!. 한손으론 대를 잡고 당기면서, 또 한 한손으론, 받침대로 수초를 치기!! 물 밑 수초는 받침대를 물 안에 담궈 두고, 상 하로 흔드는 식으로 .... 하지만 수중 수초는 그리 단단 하지 않은 것들이 대부분 이므로 ,, 서서히 당겨도 무관 하리라 봅니다.
대물킬러님도 대단한 대물꾼이라 아는데요~ 잘 아실테지만, 모르는 분들도 볼 수 있을꺼란 생각에 몇자 적어 봤습니다.
이건, 순전히 제 방식이니깐 이해 하시고 읽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