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뗏장밭...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얼마전 제가 낚시를 갔습니다. 한1000평정도 되는 소류지인데.. 상류엔 아주 조금의 갈대밭 이있고. 여기를 중심으로 양쪽 가장자리론 뗏장밭이 있습쬬..??? 한데 갈대밭에 않을려고 했으나 수심이 ..바닥이 훤히 들려다 보여서 바로 밑에 자리를 하고 대를 펼쳤답니다. 여기서 의문입니다.. 전 뗏장밭을 넘겨서 대를 편성했는데.... 월님들이시라면.. 저와같이 하시겠습니까 아님 뗏장에 구멍을 내어서 공략하시겠습니까? 구멍을 파신다면 어떻게 파야 되는지 좀 알려 주세요.... 구멍 파기가 참 힘이 들더라구요... 위에만 판다고 되는게 아닌것 같던데....? 한수 알려 주셨음 합니다.... 얼마전에 구멍 판다고 청??.. 하나 장만 했습니다.. 비싸더만요. ㅋㅋㅋ 좀 알려 주세요.. 항상 안출들 하시구요.

제 같은면 뗏장에 구멍을 파지 않겟습니다....그냥 뗏장 가까이 찌를 세우겠습니다...
반갑습니다.
뗏장밭에서의포인트는 인위적으로만든 뗏장가운데 구멍보단 자연적인상태에서의 뗏장 넘겨치기가 효과를볼수있다하겠습니다.
저도 뗏장밭에서 공략을해보면 활성도가좋을땐 뗏장 안쪽까지 파고들지만 그렇지않은경우엔 뗏장 바깥에서 고기가 회유하는걸
많이 경험했습니다.
될수있으면 뗏장 안쪽보단 바깥쪽을 공략하시는게 유리하며 구지 뗏장안쪽을 공략하시려면 뗏장이 터져있는자리
다시말해 뗏장연결부위의 빈공간 붕어가 들어 올수있는공간이 확보된자리가 유리하다고할수있게습니다.
독립된뗏장수초보단 뗏장수초와 다른 정수수초 부들,갈대 가있는곳이면 틀림없는 대형붕어가 낚이는 포인트라고 보셔도 틀림없을겁니다.
지게작대기님! 안녕하세요.
위의 미끼머스꼬님과 달사랑님의 의견에 공감합니다.

뗏장밭은 넘겨치는 게 정석이라고 하더군요.
본인이 소유한 낚싯대가 뗏장을 넘쳐쳐서 대편성할 수 있으면 넘겨치는 게 좋습니다.

뗏장에 구멍을 내는 것은 숙련된 낚시꾼도 힘들어 하는 작업이고 어지간히 크게 뚫어도
다소 오므러집니다
오므라들면 야간 투척이 힘들며 잘못 던져 가장자리 뗏장을 걸기라도 하면 독립뗏장인
경우에는 근처 뗏장 전체가 움직이는 경우도 있으므로 득보다 실이 많다 하겠습니다.

무엇보다도 뗏장에 구멍을 뚫어 재미보았다는 얘기는 별로 들어본 기억이 없고
새가 빠지게 뗏장밭에 구녕을 만들어 밤새도록 쪼라봐도 잔챙이 일색이더라는
푸념은 많이 들었습니다.
더구나 밀생한 억센 뗏장밭에서 작업을 하다가 수초제거기를 부러트리는 경우도 가끔
보았습니다.

관심을 가지시는 소류지를 직접 가보진 않았지만 몇 년전 제가 접한 바 있는 영천화남
부근의 작은 소류지와 조건이 유사하여 저의 공략 경험담을 간단히 적어 보겠습니다.

갈대와 뗏장이 만나는 지점 근처에 자리를 닦아 앉아서 갈대와 뗏장 경계지점의 갈대밭에
쐐기형 구멍을 뚫는 약간의 작업을 하여 두 대를 포진하였고, 나머지는 전부 뗏장을
넘겨쳐 공략을 하였습니다.

결과는 모두 골고루 입질을 받았습니다만 구멍뚫은 갈대밭에서 좀 굵은 넘으로 몇 수
건진 바 있습니다.
골짜기 외진 곳이고 차량진입이 힘든 곳이라 낚시인의 접근이 어려웠던 곳이라 그 해
봄부터 가을까지 여러차례 공략하여 재미를 솔솔하게 본 곳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좀 오래된 못이고 무넘이쪽에 뗏장밭이 형성되어 있고 수심이 1~2M 정도되면
그 곳도 훌륭한 공략포인트가 될 것입니다.
제가 접한 곳이 위와 같은 조건이였고 저의 오래된 조우는 무너미에서 하룻밤에 척급이상만
무려 다섯마리를 올린 적도 있습니다.
그 곳은 바닥이 마사토였던 지라 새우가 잘 먹혔었다는 기억도 나네요.
즐낚하십시요.
http://www.wolchuck.co.kr/img/best05.gif>
뗏장은 건들지 마십시요,

단지 최대한 가까이 붙이는것,,,,조과가 좌우됩니다.
난 건들였는데 ;; 조과도 좋았고~
당일 작업했는데도 그렇더군요. 괴기가 많아서 그렇겠지 라고 생각하시면 할말 없네요 ㅎ
밤새 서너번 입질받은 저수지가 때를 잘마추니 좋은 조과가 있었네요.
땟장을 넘겨치면 연안가까운 회유로를 공략못할수도 있으니...
땟장이 약간이라도 듬성하고 끈키는 지점을 조금만 작업하여...
두어대는 공략하시는걸 적극! 추천합니다. 15대 전후로 말입니다.
저 개인적으로 늣봄부터 현제까진 소음진동에 신경을 써서 그런지...
수많은 대중 짧은 15대에서 입질을 많이 받았습니다. 땟장넘겨치는 정도가 연안에서 1~1.5미터 내외라면
수초를 건들지 않는것이 좋겠지요... 땟장 바닦토질이 마사 모래가 주를 이루므로...
다른수초에 비해 당일작업에도 곧잘 입질합니다.

땟장의 모양과 분포를 보고 수심과 바닦형태를 대략 예측할수 있는데요...
뚝방은 땟장이 연안에서 2미터 안쪽으러 분포하지요. 수심또한 예측가능하구요. 경사도 급한...
중류나 상류쪽에 땟장이 널찍하이(사투리^^;;) 크게 분포되어 있으면 땟장부분은 완만하며 주변보다 수심도 낮습니다.
저수지 중간에 독립땟장이 있는 부분은 물마름이 있을때 바닦지형을 보면 조금이라도 볼록한 부분이더군요.

급한일.....쑹~ 허접글이였습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