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보기엔 현재 상태의 낚싯대 칸수 구성이라면 3벌은 준비하셔야 처녀지에도 자신있게 출조할 수 있습니다.... 지금의 구성은 짧은 대 위주의 대편성은 불가하고요 중간(?) 칸수위주의 대편성 아마도 어느 저수지에 출조하셔도 포인트를 둘째치고 무조건 부채살 형태로 대편성하시어 낚시하실 것으로 보여집니다.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현재의 상태에서 딱 한 대라는 단정은 어렵다는 것입니다....... 낚시를 하다보면 짧은 대만 들어가는 포인트가 있고 긴 대만 펼 수 밖에 없는 낚싯터, 포인트를 만나는 경우가 비일비재 입니다.
현제 보유 중인 칸수 중 40 아래로 한대를 추가 하신다면 2.8 칸 이나 3,6 칸 둘중 하나로 하겟습니다.
특별한 이유는 없구요~ 가장 활용도가 ( 많이피는 칸수..) 높으며 가장 재미를 많이 본 칸수 입니다 ^^
행복한 고민 ~ 즐기시길~
30이나 34대를 구입하겠습니다..
30 이상 긴대 한대 값이나 20.24 대 짧은대 두대 가격이 크게 나지 않을것도 같구요.......
고민후 멋진 구성 하시길 바랍니다.
대물을 하신다니 떡밥사관학교 출신인 저하고는 방식이야 다르겠지만요.
36대 넘어, 38이나 40을 쓰면 뭐 얼마나 쓰겠어요?
물론 긴대 좋아하시는 분들도 계시지만요. 제 경우는 긴대를 들었다 놨다 생각만 해도 피곤합니다.
저 같으면 무조건 칸반입니다. 짧은대로 하는 낚시 매력있습니다. 박진감 있고 말로 하기 어렵죠.
고기가 반드시 멀리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이거 새삼 요즈음에 와 닫는 말입니다.
요즈음 수로 갈 때는 아예 칸반 하나만 들고 갑니다. 올해도 여지없이 칸반으로 큰 놈 걸었습니다.
눈앞에서 까딱 까딱... 이게 뭐가 와서 이러나.. 이게 뭐여? 워매.... 수염이 없어야 하는데...
제 경우는 짧은대 없으면 허전하더군요. 그 다음으로는 손이가는 길이가 두칸반 이지만요.
짠짠짠. 눈 앞에 떠있는 찌를 보면, 눈 앞에서 움직이는 반의 반 매디 입질을 보고 있으면 이거 참... 환장합니다.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현재의 상태에서 딱 한 대라는 단정은 어렵다는 것입니다....... 낚시를 하다보면 짧은 대만 들어가는 포인트가 있고 긴 대만 펼 수 밖에 없는 낚싯터, 포인트를 만나는 경우가 비일비재 입니다.
즐낚^^
포인트는 죽이는데 뒤에 나무땜에 짧은대로만 편성할경우...... 환장하죠^^
저는 지금 상태에서 추가하면 20,22,28,32,36,40 이렇게 추가하려고 그래도 젤 땡기는 칸이 28대더군요.
저라면 한대 추가라면 28대를 생각해 볼것 같네요..
전 20-2, 24-2, 25-1,27-1, 28-2, 32-3, 36-2, 40-1 현재 이렇게 있는데
현재 추가는 22-1, 30-2, 34-2 를 준비할려고 합니다.
님같은 경우는 24-1, 34-2대 정도를 구입하시는게 좋을듯..
저의 기준입니다
새우대물낚시에 꼭 필요한 칸수입니다...
17,22,26,30,34,38 각 하나씩 더 구입하겠습니다.
딱 1대를 먼저 구입한다면 30이나17을 먼저 ,,,,,,,,, ^^
저같으면 30대사겠습니다.
대물낚시 특성상 수초를 끼고 낚시하는경우가 많습니다.
대물낚시엔 쌍포도 중요하지만 길이다른 낚시대가 꼭 필요할때가 있더군요.
28대는 너무짧고 32대넣기에는 너무 먼 그런곳이 대물낚시하다보면 꼭있습니다.
그래서 30,34대는 꼭 필요할것 같습니다.
지극히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지금에서 딱한대만 사신다면
저같으면 17대 구입하고 싶네요 ^^
특히나 겨울철에는 장대가 유리합니다.
둘중에 하나 선택하면 26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