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님
수심 40cm에 길이 40cm짜리 찌를 쓰는게 쉬울까요?
아님 25cm정도위 찌를 쓰는게 쉬울까요?
위상황에선 당연 25cm찌가 훨씬 유리 합니다
수심 2m넘는 곳은 굳이 짧은찌가 필요 없겠죠?
하지만 저수심에서는 짧은찌가 절대적일때까 종종 있습니다
그리고 대물낚시에서는 지금 30-40cm구멍에 던져야 하는데
찌가 길면 일어서는 시간도 시간이 거니와
투척해서 주위 장애물때문에 당연 짧은찌가 유리 하겠지요
특히 산란철이나 새물찬스일때는^^
여러가지 상황에서 필요에 의해서 만들어 진거 같습니다
낚시 스타일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됩니다. 일단 다른 낚시 기법은 차치하고
대물낚시를 염두에 둔다면
수심이 깊은 곳을 자주 다니신다면 30cm 전후로.... 그리고 낮은 수심 공략이 자주 있다면
25Cm 전후의 단찌가 좋겠지요. 부지런한 꾼은 계절에 따라 찌 선택을 달리합니다.
올라붙을 계절엔 단찌, 수온이 낮거나 붕어가 예민해지는 물때라면 깊은수심에 조금 더 긴 찌를 선택하겠죠.
어차피 대물낚시는 손맛 보려는 기법이 아닙니다.
적어도 몸맛..... 조금 더 욕심 부린다면 심장 멎을듯 올라오는 찌불 맛이겠지요.
그래서 못잡아도 좋다. 찌불 맛이 최고다 하여...30cm 전후를 고집하는 분이 계신가 하면,
일년내내 수심이 깊건 얕건 단찌만 달아 다니시는 조사분도 많습니다.
관통, 반관통채비에 맛들이신 분은 아무래도 찌톱의 길이에서 자유롭겠죠. 수심 50전 얕은 곳의 공략을
30Cm 이상의 찌라도 별 무리 없을테니까요. 허나 경험상 관통, 반관통은 찌맛은 별로였습니다. 장점이 있으면 단점이 있는.....
평소에 관통이나 반관통을 쓰지 않으면서도 수심 50전 부들이나 마름구멍 공략시엔 캐미봉지 얇게 뜯어 찌 상단에
묶어 쓰는 편법도 요긴합니다.
부들, 갈대, 마름 등 구녕 만들때 최소한의 크기로 만드는 것도 관건이라 고수분들께서 말씀 했을겁니다.
그럼 크기는 작을 수록 좋은데, 찌가 유동이나 고정 채비이면 찌 길이의 두배정도의 크기로 작업하는게 거의 맞아 떨어집니다.
신들린 앞치기가 아닌 한 최소 10cm정도의 투척 오차는 나게 마련이니까요.
허나 구녕 크기가 찌길이의 두배 정도도 안된다면, 투척해보면 한번더 투척하는 일이 많이 생기겠죠.
봉돌이나 미끼가 정위치에 퐁당! 했더라도 찌의 캐미가 누워있는 부들이나 옆으로 젖혀놓은 마름에 꽂히게 되면 찌가 똑바로 서지 않게 되죠. 그래서 구녕을 파도 좀더 크게해야되고, 붕어 집구석을 좀 더 헤집어 놔야 되겠죠.
그래서 그런지 다들 대물 낚시에서는 찌길이 만한 구녕만 만들어도 찌가 바로 설 수 있는 반관통 찌나 찌톱을 잡아주는 채비를 더하게 되는 분들이 계십니다. 머 많다는 얘기는 아니~죠!!
위 상황 외에 부들 언저리, 말풀 언저리, 마름 언저리 등....수초군 언저리에서 낚시를 즐겨하신다면, 유동채비로 막 던져도 상관 없습니다. 수초 언저리라도 경계까지 바짝 붙여주는건 유동채비도 가능하니까요.
유동채비가 사실상 장점이 더 많습니다. 채비하기도 편하고, 간단해지고...사선입수 없고...
그런데 긴대의 긴찌를 만들때 부력이 생기는 찌몸통이 아주조그마한 저부력의 몸통을 사용하면 찌톱의 무게를 이기지못하고
찌가 발딱?서기전에 이미 몸통이물속으로 사선으로 입수하기시작합니다.
던질때마다 밑밥이 떨어지는 곳이 달라진다는 얘기죠.....
찌는 두가지조건으로 만들어져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위에서 많은분들이 언급하신 바, 긴대라고해도 수심이 1M도 않나온다면 짧은찌를 쓰셔야겠지요...
허나 긴대의 경우 스윙을 할때 3~4푼의 봉돌에 지렁이나 새우를 달면 3.5칸대이상 원하는곳에 투척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대물찌라는것이 나오게되었지요.....
수심이 낮은곳에서 짧은찌를 사용해도 고부력의 찌를 사용하기 때문에 투척이 용이하게 되지요...
그렇다면 수심이 30CM밖에 안되는곳에 찌를 세우려면,그것도 4칸대나 던져야 오리발?포인트에 집어넣을수
있다던가 하는 경우-------(찌 전체의 길이는 30CM밖에 되지않으나 찌톱이 25CM가량되게 만들수 있는 / 몸통아래는
찌고무에 꽂을수 있는 최소한의 길이만 남겨두고.......)
위의 내용을 조합해보면 찌톱이 다른 여러가지의 찌를 보유해야되는 것이아니고
어떤포인트에서 어떤낚시를 할것인가가 어떤찌를 사용해야되는지와 부합되는것이지요......
아시는 분중에 35CM정도의 단찌만을 사용하여 채비를 하시는분이 계십니다.
어떤분은 최하 60CM이상의 장찌만사용하십니다.
항상 한분은 불평을 하시지요....(같이다니시거든요......)
보통 낚시대한대에 두가지의 찌를 보유합니다.
수심이 깊은 곳에서쓰는 장찌와 수심이 낮은곳에서쓰는 단찌.......
그것이 찌톱의 길이를 정하는 조건이 아닌가 합니다.
단찌라고해서 찌톱이 짧으면 입질시 올리다가 몸통이뜨면 납으로인한 이물감을 느껴 먹이를 밷어내는 경우가 있지요.
찌톱은 적어도 20CM이상은되어야 챔질타이밍을 맞출수 있을것같습니다.
낚시할때 찌의선택에대한 30%정도의 조건밖에는 나열하지못한것같습니다.
아니면 낚시를 던졌을때 수면위로 나온 찌톱의 길이를 말하는 건가요..
수심 40cm에 길이 40cm짜리 찌를 쓰는게 쉬울까요?
아님 25cm정도위 찌를 쓰는게 쉬울까요?
위상황에선 당연 25cm찌가 훨씬 유리 합니다
수심 2m넘는 곳은 굳이 짧은찌가 필요 없겠죠?
하지만 저수심에서는 짧은찌가 절대적일때까 종종 있습니다
그리고 대물낚시에서는 지금 30-40cm구멍에 던져야 하는데
찌가 길면 일어서는 시간도 시간이 거니와
투척해서 주위 장애물때문에 당연 짧은찌가 유리 하겠지요
특히 산란철이나 새물찬스일때는^^
여러가지 상황에서 필요에 의해서 만들어 진거 같습니다
대물낚시를 염두에 둔다면
수심이 깊은 곳을 자주 다니신다면 30cm 전후로.... 그리고 낮은 수심 공략이 자주 있다면
25Cm 전후의 단찌가 좋겠지요. 부지런한 꾼은 계절에 따라 찌 선택을 달리합니다.
올라붙을 계절엔 단찌, 수온이 낮거나 붕어가 예민해지는 물때라면 깊은수심에 조금 더 긴 찌를 선택하겠죠.
어차피 대물낚시는 손맛 보려는 기법이 아닙니다.
적어도 몸맛..... 조금 더 욕심 부린다면 심장 멎을듯 올라오는 찌불 맛이겠지요.
그래서 못잡아도 좋다. 찌불 맛이 최고다 하여...30cm 전후를 고집하는 분이 계신가 하면,
일년내내 수심이 깊건 얕건 단찌만 달아 다니시는 조사분도 많습니다.
관통, 반관통채비에 맛들이신 분은 아무래도 찌톱의 길이에서 자유롭겠죠. 수심 50전 얕은 곳의 공략을
30Cm 이상의 찌라도 별 무리 없을테니까요. 허나 경험상 관통, 반관통은 찌맛은 별로였습니다. 장점이 있으면 단점이 있는.....
평소에 관통이나 반관통을 쓰지 않으면서도 수심 50전 부들이나 마름구멍 공략시엔 캐미봉지 얇게 뜯어 찌 상단에
묶어 쓰는 편법도 요긴합니다.
인위적으로 무게중심을 깨트리면 찌가 좀 이상해 집니다. 제 기능을 못합니다.
대물찌는 몸통 자체가 무게중심이 분산되어 있고, 고부력의 봉돌을 사용하기 위해 제작된거라 몸통과 찌다리의 길이에 비해 어느
정도 탄력적으로 찌톱 길이에 변화를 줄수 있읍니다.
대물 낚시시 수심이 너무 낮은경우 짧은찌를 준비하지 못했다면, 그 자리에서 바로 찌톱 5~8cm정도 날리고 사용해도 됩니다. 좀
아깝긴 하지만요...
밑에 말씀드렸듯이 찌를 자작할때 한번에 같은 몸통에 소,중,대로 약 50~60여개를 만듭니다.
익숙치 않은곳에 출조 할때는 70~80여개를 가지고 다닙니다.
길이 20~35정도까지에, 부력6~7호,9~10호 정도로요, 다른요인도 중요하지만, 개체수와 바닥상태에 따라 그날 사용할 찌를 선별
하여 사용하고 있읍니다.
그럼 크기는 작을 수록 좋은데, 찌가 유동이나 고정 채비이면 찌 길이의 두배정도의 크기로 작업하는게 거의 맞아 떨어집니다.
신들린 앞치기가 아닌 한 최소 10cm정도의 투척 오차는 나게 마련이니까요.
허나 구녕 크기가 찌길이의 두배 정도도 안된다면, 투척해보면 한번더 투척하는 일이 많이 생기겠죠.
봉돌이나 미끼가 정위치에 퐁당! 했더라도 찌의 캐미가 누워있는 부들이나 옆으로 젖혀놓은 마름에 꽂히게 되면 찌가 똑바로 서지 않게 되죠. 그래서 구녕을 파도 좀더 크게해야되고, 붕어 집구석을 좀 더 헤집어 놔야 되겠죠.
그래서 그런지 다들 대물 낚시에서는 찌길이 만한 구녕만 만들어도 찌가 바로 설 수 있는 반관통 찌나 찌톱을 잡아주는 채비를 더하게 되는 분들이 계십니다. 머 많다는 얘기는 아니~죠!!
위 상황 외에 부들 언저리, 말풀 언저리, 마름 언저리 등....수초군 언저리에서 낚시를 즐겨하신다면, 유동채비로 막 던져도 상관 없습니다. 수초 언저리라도 경계까지 바짝 붙여주는건 유동채비도 가능하니까요.
유동채비가 사실상 장점이 더 많습니다. 채비하기도 편하고, 간단해지고...사선입수 없고...
긴대는 수심이 깊으니까, 짧은대는 수심이 낮으니까.......
그런데 긴대의 긴찌를 만들때 부력이 생기는 찌몸통이 아주조그마한 저부력의 몸통을 사용하면 찌톱의 무게를 이기지못하고
찌가 발딱?서기전에 이미 몸통이물속으로 사선으로 입수하기시작합니다.
던질때마다 밑밥이 떨어지는 곳이 달라진다는 얘기죠.....
찌는 두가지조건으로 만들어져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위에서 많은분들이 언급하신 바, 긴대라고해도 수심이 1M도 않나온다면 짧은찌를 쓰셔야겠지요...
허나 긴대의 경우 스윙을 할때 3~4푼의 봉돌에 지렁이나 새우를 달면 3.5칸대이상 원하는곳에 투척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대물찌라는것이 나오게되었지요.....
수심이 낮은곳에서 짧은찌를 사용해도 고부력의 찌를 사용하기 때문에 투척이 용이하게 되지요...
그렇다면 수심이 30CM밖에 안되는곳에 찌를 세우려면,그것도 4칸대나 던져야 오리발?포인트에 집어넣을수
있다던가 하는 경우-------(찌 전체의 길이는 30CM밖에 되지않으나 찌톱이 25CM가량되게 만들수 있는 / 몸통아래는
찌고무에 꽂을수 있는 최소한의 길이만 남겨두고.......)
위의 내용을 조합해보면 찌톱이 다른 여러가지의 찌를 보유해야되는 것이아니고
어떤포인트에서 어떤낚시를 할것인가가 어떤찌를 사용해야되는지와 부합되는것이지요......
아시는 분중에 35CM정도의 단찌만을 사용하여 채비를 하시는분이 계십니다.
어떤분은 최하 60CM이상의 장찌만사용하십니다.
항상 한분은 불평을 하시지요....(같이다니시거든요......)
보통 낚시대한대에 두가지의 찌를 보유합니다.
수심이 깊은 곳에서쓰는 장찌와 수심이 낮은곳에서쓰는 단찌.......
그것이 찌톱의 길이를 정하는 조건이 아닌가 합니다.
단찌라고해서 찌톱이 짧으면 입질시 올리다가 몸통이뜨면 납으로인한 이물감을 느껴 먹이를 밷어내는 경우가 있지요.
찌톱은 적어도 20CM이상은되어야 챔질타이밍을 맞출수 있을것같습니다.
낚시할때 찌의선택에대한 30%정도의 조건밖에는 나열하지못한것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