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에 목줄 카본, 모노, 합사, 어느게 젤편하구 입질 좋은가요,, 원줄 4호 -5호 기준에 목줄은 각각 얼마를 써야 하는가요,,,,
목록 이전 다음 목줄문의해봅니다. 언제나콜아이디로 검색09-06-27Hit : 2353 본문+댓글추천 : 0댓글 6 공유 인쇄 신고 네이버 밴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https://www.wolchuck.co.kr/월척지식/대물낚시/목줄문의해봅니다 URL 복사 대물낚시에 목줄 카본, 모노, 합사, 어느게 젤편하구 입질 좋은가요,, 원줄 4호 -5호 기준에 목줄은 각각 얼마를 써야 하는가요,,,, 추천 0 연놀부아이디로 검색 09-06-27 19:57 제 경우 생미끼 사용시에는 원줄 카본 5호, 목줄은 모노 4호를 사용합니다. 옥수수 미끼나 콩미끼, 곡물류 떡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줄 카본4호, 목줄은 합사 3호를 씁니다. 추천 0 신고 제 경우 생미끼 사용시에는 원줄 카본 5호, 목줄은 모노 4호를 사용합니다. 옥수수 미끼나 콩미끼, 곡물류 떡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줄 카본4호, 목줄은 합사 3호를 씁니다. 마르샤™아이디로 검색 09-06-27 20:25 밑걸림이 심한경우에는 모노줄을 사용합니다 연밭이나 수몰나무주변을 공략할떄 등등 그외에는 합사로 쭈우욱~~갑니다. 추천 0 신고 밑걸림이 심한경우에는 모노줄을 사용합니다 연밭이나 수몰나무주변을 공략할떄 등등 그외에는 합사로 쭈우욱~~갑니다. 빼빼로아이디로 검색 09-06-27 20:34 안녕하세요... 여러가지 목줄을 다 사용해 보시고 님에게 맞는 목줄을 사용 하십시요... 꾼에 따라 즐겨 사용하시는 목줄이 다 틀립니다...뻘층이 두터운 곳에서는 카본줄이 좀 유리 할것이고 등... 원줄 4~5호수를 사용하시면 통상적으로 한호수 낮은 3~4호를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 이나...더 높은 호수를 사용하는 꾼도 많습니다...저는 원줄카본 5~6호에는 카본5호 줄 또는 케브라 6합사 목줄을 사용합니다... 님에게 맞는 목줄을 선택하여 대구리 하이소........... 추천 0 신고 안녕하세요... 여러가지 목줄을 다 사용해 보시고 님에게 맞는 목줄을 사용 하십시요... 꾼에 따라 즐겨 사용하시는 목줄이 다 틀립니다...뻘층이 두터운 곳에서는 카본줄이 좀 유리 할것이고 등... 원줄 4~5호수를 사용하시면 통상적으로 한호수 낮은 3~4호를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 이나...더 높은 호수를 사용하는 꾼도 많습니다...저는 원줄카본 5~6호에는 카본5호 줄 또는 케브라 6합사 목줄을 사용합니다... 님에게 맞는 목줄을 선택하여 대구리 하이소........... 기맥힌찌올림아이디로 검색 09-06-27 23:43 저는 연주찌 채비를 재외하고는 무조건 합사를 사용합니다... 모노줄의 안좋은 기억이 있어서여~~~ 그러다보니 모노줄은 거의 사용자채를 하지 않구여 열심히 연주찌 공부중이구여 연주찌에는 카본 5호를 사용하구여 원줄 카본 6호와 목줄은 합사 3~4호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바늘과 바닦상황에 따라서 목줄길이는 달리 사용합니다...참고하시길~~~ 추천 0 신고 저는 연주찌 채비를 재외하고는 무조건 합사를 사용합니다... 모노줄의 안좋은 기억이 있어서여~~~ 그러다보니 모노줄은 거의 사용자채를 하지 않구여 열심히 연주찌 공부중이구여 연주찌에는 카본 5호를 사용하구여 원줄 카본 6호와 목줄은 합사 3~4호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바늘과 바닦상황에 따라서 목줄길이는 달리 사용합니다...참고하시길~~~ 잉어군아이디로 검색 09-06-28 02:20 낚시에서 정답은 경험밖에는 없는것 같습니다..~!! 아마도 죽을때까지 낚시대를 잡는다고 해도 다 경험하지 못하는것이 이또한 낚시인들의 비애 일지 모릅니다. 하면..할수록 부족하고.... 알고자 하면 더 멀어지는것 같은것이 낚시라는 생각이 듭니다.. 아마도 위대한 자연섭리를 인간이란 미약합으로 상대하기에..~ 더욱더 그런것 같습니다. 다수인의 경험담은 참고를 하시고.... 정확한 본인만의 기준은 실행해 보시고 기준을 하신다면 .. 만족하시리라 생각 합니다.. 선배님들의 여러기법을 구사해보시고.. 많은경험을 쌓으셔서 본인만의 기준을 세우세요..~ 경험만큼 훌륭한 스승은 없습니다. 추천 1 신고 낚시에서 정답은 경험밖에는 없는것 같습니다..~!! 아마도 죽을때까지 낚시대를 잡는다고 해도 다 경험하지 못하는것이 이또한 낚시인들의 비애 일지 모릅니다. 하면..할수록 부족하고.... 알고자 하면 더 멀어지는것 같은것이 낚시라는 생각이 듭니다.. 아마도 위대한 자연섭리를 인간이란 미약합으로 상대하기에..~ 더욱더 그런것 같습니다. 다수인의 경험담은 참고를 하시고.... 정확한 본인만의 기준은 실행해 보시고 기준을 하신다면 .. 만족하시리라 생각 합니다.. 선배님들의 여러기법을 구사해보시고.. 많은경험을 쌓으셔서 본인만의 기준을 세우세요..~ 경험만큼 훌륭한 스승은 없습니다. 언제나콜아이디로 검색 09-06-29 08:42 답변감사합니다~~~^^ 추천 0 신고 답변감사합니다~~~^^ 목록 이전 다음 하단에 목록보기
연놀부아이디로 검색 09-06-27 19:57 제 경우 생미끼 사용시에는 원줄 카본 5호, 목줄은 모노 4호를 사용합니다. 옥수수 미끼나 콩미끼, 곡물류 떡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줄 카본4호, 목줄은 합사 3호를 씁니다.
빼빼로아이디로 검색 09-06-27 20:34 안녕하세요... 여러가지 목줄을 다 사용해 보시고 님에게 맞는 목줄을 사용 하십시요... 꾼에 따라 즐겨 사용하시는 목줄이 다 틀립니다...뻘층이 두터운 곳에서는 카본줄이 좀 유리 할것이고 등... 원줄 4~5호수를 사용하시면 통상적으로 한호수 낮은 3~4호를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 이나...더 높은 호수를 사용하는 꾼도 많습니다...저는 원줄카본 5~6호에는 카본5호 줄 또는 케브라 6합사 목줄을 사용합니다... 님에게 맞는 목줄을 선택하여 대구리 하이소...........
기맥힌찌올림아이디로 검색 09-06-27 23:43 저는 연주찌 채비를 재외하고는 무조건 합사를 사용합니다... 모노줄의 안좋은 기억이 있어서여~~~ 그러다보니 모노줄은 거의 사용자채를 하지 않구여 열심히 연주찌 공부중이구여 연주찌에는 카본 5호를 사용하구여 원줄 카본 6호와 목줄은 합사 3~4호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바늘과 바닦상황에 따라서 목줄길이는 달리 사용합니다...참고하시길~~~
잉어군아이디로 검색 09-06-28 02:20 낚시에서 정답은 경험밖에는 없는것 같습니다..~!! 아마도 죽을때까지 낚시대를 잡는다고 해도 다 경험하지 못하는것이 이또한 낚시인들의 비애 일지 모릅니다. 하면..할수록 부족하고.... 알고자 하면 더 멀어지는것 같은것이 낚시라는 생각이 듭니다.. 아마도 위대한 자연섭리를 인간이란 미약합으로 상대하기에..~ 더욱더 그런것 같습니다. 다수인의 경험담은 참고를 하시고.... 정확한 본인만의 기준은 실행해 보시고 기준을 하신다면 .. 만족하시리라 생각 합니다.. 선배님들의 여러기법을 구사해보시고.. 많은경험을 쌓으셔서 본인만의 기준을 세우세요..~ 경험만큼 훌륭한 스승은 없습니다.
옥수수 미끼나 콩미끼, 곡물류 떡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줄 카본4호, 목줄은 합사 3호를 씁니다.
연밭이나 수몰나무주변을 공략할떄 등등
그외에는 합사로 쭈우욱~~갑니다.
여러가지 목줄을 다 사용해 보시고 님에게 맞는 목줄을 사용 하십시요...
꾼에 따라 즐겨 사용하시는 목줄이 다 틀립니다...뻘층이 두터운 곳에서는 카본줄이 좀 유리 할것이고 등...
원줄 4~5호수를 사용하시면 통상적으로 한호수 낮은 3~4호를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 이나...더 높은 호수를 사용하는 꾼도
많습니다...저는 원줄카본 5~6호에는 카본5호 줄 또는 케브라 6합사 목줄을 사용합니다...
님에게 맞는 목줄을 선택하여 대구리 하이소...........
모노줄의 안좋은 기억이 있어서여~~~
그러다보니 모노줄은 거의 사용자채를 하지 않구여
열심히 연주찌 공부중이구여 연주찌에는 카본 5호를 사용하구여
원줄 카본 6호와 목줄은 합사 3~4호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바늘과 바닦상황에 따라서 목줄길이는 달리 사용합니다...참고하시길~~~
아마도 죽을때까지 낚시대를 잡는다고 해도 다 경험하지 못하는것이 이또한 낚시인들의 비애 일지 모릅니다.
하면..할수록 부족하고.... 알고자 하면 더 멀어지는것 같은것이 낚시라는 생각이 듭니다..
아마도 위대한 자연섭리를 인간이란 미약합으로 상대하기에..~ 더욱더 그런것 같습니다.
다수인의 경험담은 참고를 하시고....
정확한 본인만의 기준은 실행해 보시고 기준을 하신다면 .. 만족하시리라 생각 합니다..
선배님들의 여러기법을 구사해보시고.. 많은경험을 쌓으셔서 본인만의 기준을 세우세요..~
경험만큼 훌륭한 스승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