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무슨 입질인가요?

선배님들께 여쭙겠습니다. 제가 자주가는 곳에서 새벽 2시쯤 짝밥 채비로 낚시를 하는데,, 이놈의 찌가 슬슬내지는 쭈~욱 올라오는 것도 아니고 무슨 슬로우 비디오 처럼, 아주 아주 천천히, 눈으로 쳐다보면 느낄수 없을 정도로 올라오는 것입니다. 수면에 케미만 나오게 했는데 반뼘 정도는 올라와 있는것 입니다. 그러다가 슬로우 비디오 처럼 또 느끼지 못할정도로 내려가고,, 밤에 두세번 그랬습니다. 그런데 미끼확인을 하면 지렁이도 없고,,, 궁굼합니다. 선배님들! 부탁합니다.

이런 입질의 질문이 예전에 많았었습니다.

그때 정답은 없지만 다수 의견이 우렁이(논고동)로 귀결 되더군요.

저도 예전에 그런 입질에 숨 넘어갈 뻔 한 기억이 있습니다.

참고만 하시고 붕어의 입질은 아닌게 확실할 듯 합니다.

하룻밤에 몇번씩 경험했으므로.........참고되시길,
저수지에 서식하는 잡것으로 치부하면 됩니다[ 징거미,새우,등등]

붕어는 아닌듯하네여 간간히 저런입질들어오면 긴장하게되죠

대물이다냐 하거던요 붕어는 우리를 시험의 들게하지 않습니다

잡것들이 그러죠 ^^
잡것에 한표! ㅋㅋㅋㅋ (확실히 잡것은 맞습니다. ㅋㅋㅋ)
엽기붕어님 말씀처럼 우렁이에 한표~
저도 우렁이에 한표
많이 당해 봤네요
경남권에서는 논고동이라 불리우는데 그놈일 경우가 거의 80%이상일 겁니다.
저두 그놈에게 당해봤는데 사람피를 말립니다.
대물의 입질이랑 유사하게 1





경남권에서는 논고동이라 부르는데 그놈일 확율이 80%
논고동 사람 피말립니다. 대물 입질이랑 비슷하게 1~2마디 가지고 노는데 저두 몇번 당해봤습니다.
징거미~
둬시간 그런 입질과 씨름하다 징거미 잡아낸 기억이...
여러선배님들 답변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붕어는 아닌가 보네요! ^^
날아가는 떵파리에 한표..ㅋㅋㅋ
물방개, 우렁이 입질일 확률이 높은것 같습니다.

징거미는 입질이 완죤히 대물입질입니다~~~~~~
저도 님과똑같은 입질에 대물 우렁이 한마리 걸었던 기억이납니다. 엄청난크기의 바늘에도 걸려나올때도 있더라구요. 무지허탈합니다.
100% 징거미or새우 입니다. 작은 바늘을 쓰면 새우나 징거미가 옆구리도 아니고 주딩이에 걸려서 나올겁니다. 지난주 유료터에서 새끼손가락 반정도 되는 크기의 새우가 찌를 2-3마디 쭉쭉 올려주더군요. 밤새 새우만 잡았네요 ㅎㅎㅎ
붕어와 춤을님이 입낚시한다에 백만스물 세표^^ (지송~~~~꼬르륵)
징거미는 아닌거 같구요.. 징거미 입질은 진짜 대물 입질입니다.. 꿈뻑꿈뻑 천천히 올라 오는데 저도 숨넘어 갈뻔했습니다.. 초긴장 상태로 낚시 두손으로 잡고 챔질하니 그냥 허공만 가르던데요...
우렁이 색시일 가능성이 크네요~

징거미는 완죤 대물입질에 찌를 끝까지 올립니다. 찌의 움직임이 느리지만 눈으로 확인 될 정도로 가지고 놉니다.
물방개도 징거미랑 거의 같은 수준이죠^^ 정말 피가 바짝바짝 마릅니다.

참게는 찌를 살짝 잠기게 해놓고 슬~슬 끌고 가거나 육안확인될 정도로 찌톱 반 정도 올립니다.
참붕어는 찌를 조잡스럽게 깐죽거리죠

비록 재수없게 치부하는 생물이지만 한 밤의 이런 입질이라도 있는 것이 잠을 쫓을 수있는 것이고
이 적군들을 이겨내야 대물을 만날 수 있죠
게가 그럴수도 있어요...지렁이다 짤라먹는동안 찌는 거의 미동두 안할때가 있던데...
정답은 없습니다 수중생물이라고 생각 할수 있습니다~ 포괄적으로
지도 우렁이에 한표 날립니더~~~~~~~~~~~~~~~
우렁이에 한표 더
강진의 사초지 가면 우렁이가 새우건 지렁이건 다 먹습니다.
떡밥낚시 하듯이 미끼 없어집니다.
그냥 무시하시고 낚시하심이 좋을듯~~~~ㅋㅋㅋ^^
ㅋㅋㅋ 다 나오는데 미꾸라지는 안나오네요 ㅎㅎㅎ

미꾸라지도 덤빕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