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입니다..
수로 낚시 주 3-4번 짬낚시 가는데 ..
바다물때에 따라 수심변화 있습니다..
짬낚시 하는 시간이 밤11시에부터 새벽 4시까지인데..
가장높을때 물때가 보통 15물에서 2.3.4물때에 가장 높은 수심을 보이며,
8~12물 사이에 최하수심을 보이더라구요..
저희 동네는 바다와 민물이 공존하지만 바다 물때에 따라 민물조황이 영향을 받는다는 소리는 못 들어 봤네요...
기온과 수온의 변화에따라 오름수위 내림수위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는거 아닐런지요...
물때와는 상관없지만 무엇인가 변화하기 시작하는 시점이 조과가 좋은것 같습니다...
가장 대표적인게 대류현상이겠죠...
바다에 인근한 곳은 물때 영향을 받습니다.
내일 출조예정인데 비가 많이 온다네요,,,그건 문제가 안되는데...
내일모래가 그믐쯤이라 물때의 영향을 많이 받네요... 일단 수심의 변화가 너무 생기고 이런 사리나 그믐쯤에는
빠지고 듬이 너무 심해 찌가 떠내려갈때도 있습니다 수로쪽ㅇ,,..
민물 붕어낚시에 있어서 물때의 영향...분명히 있깅 있는듯 싶습니다.
특히, 바다와 수문 및 방조제로 연결된 곳은 가장 중요한 조건 중, 하나 입니다.
전 특히, 남양호와 평택호 출조시에 살펴보는 순서가
물때-날씨-풍향-풍속 입니다.
물때에 따라 입질 집중시간대를 찾고, 풍향에 따라 포인트를 정하게 되지요.
만약 간조시에 배수를 하게되면 다음 만조시까지 휴식을 취하는 것 이지요.
그리고 만조시간대에 월척 만나는 확률 또한 높습니다.(제 경험상...)
물색도 탁한날
물돌이 바람도 없고 고기압에..표층수온 보다 바닥권 수온이 높게 잡히는 시점..ㅋㅋ
늘 행복한 조행 되세요..
바다 물때의 영향을 받는다고 알고 있습니다.
바다 만조시에 민물도 조황이 좋습니다.
이처럼 바닷물떄의 영향을 받는곳을 `저수지의 물떄`라 부른다고 생각 합니다
수로나 저수지의 경우 바닷물의 만조(밀물)일떄 조황이 살아나고
반대로 썰물로 간조 일떄 조황이 떨어 지기도 합니다
그 영향은 보름이나 초하루 전후의 사리물떄에 더 나타나기도 합니다
극단적으로는
바닷물처럼 수로물이 찼다가 빠졌다가 하기도 하고
썰물일떄 수문을 여는 저수지도 있습니다
해안가 저수지의 또다른 특징으로
육풍이냐 해풍이냐에 따라 입질의 빈도가 틀려 지기도 합니다
그 이외 양수형 저수지의 경우 펌핑할떄 수위가 급격히 상승 되기도 하고
펌핑관 주변에 포인트가 형성 되기도 합니다
즐거운 봄 맞이 하시길...
수로 낚시 주 3-4번 짬낚시 가는데 ..
바다물때에 따라 수심변화 있습니다..
짬낚시 하는 시간이 밤11시에부터 새벽 4시까지인데..
가장높을때 물때가 보통 15물에서 2.3.4물때에 가장 높은 수심을 보이며,
8~12물 사이에 최하수심을 보이더라구요..
주로 대형저수지와 댐 중에 동서로 길게 뻗은 형태의 현장에서 보름달일 경우 또는 (이 부분은 정확하지 않습니다만-지구와 달이가까워 졋을 경우)입니다.
동서로 길게뻗은 형태의 중형의 저수지나 수문을 닫은 대형 수로 등에서도 미약하게나 영향은 있다고 합니다.
위와 같은 경우 달의 인력이 지구에 가장강하게 연향을 미치는 날이며, 동에서 서로 이동함에따라 물도 동에서 서로 끌려가게 된다고 합니다.
동서로 길게 뻗은 댐 또는 대형 저수지에서 동쪽 끝 또는 서쪽 끝에 자리잡아 낚시를 하면 수심 변화를 싶여센티 이상 볼 수 있다고 하도군요
여러군데보았습니다 분명히조과에영향주겠지요 실제로 수로에서하다가 물빠져서 접은기억두 남니다
대표적으로 한강이 그러합니다.
물때가 있는 곳은 밀물 때 시간을 맞춰서
낚시하면 조과가 아주 좋습니다.
기온과 수온의 변화에따라 오름수위 내림수위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는거 아닐런지요...
물때와는 상관없지만 무엇인가 변화하기 시작하는 시점이 조과가 좋은것 같습니다...
가장 대표적인게 대류현상이겠죠...
경기 고양, 파주 한강과 근접해 있는 수로는 물때를 확인 하고 낚시하여야 조과에 영양을 줍니다.
이지역은 강화 외포리 밀물 2~3시간 후 수로에 물이 가장 많이 들어오는 시간입니다.
대류현상이 일어날때...붕순이들이 활동을 하죵..ㅎㅎ
비나 바람이 불면 ............
그런것에 저는 걱정 않습니다
무조건 내가 좋으면 출조합니다.
민물도 바다랑 같이 물때가 잇나보네요
딱히 저수지는 물때 영향 받을 까요.
일반 민물에서는 밀물과 썰물이 없기때문에, 한물 두물 이렇게 물때를 부를수가 없지 않을까요..
그냥 민물에서 고기가 잘 잡히는 시기를 물때라고 본다면, 산란특수, 새물찬스, 첫 추위찬스~~~
뭐 이정도 아닐까 생각되네요~~~!!
내일 출조예정인데 비가 많이 온다네요,,,그건 문제가 안되는데...
내일모래가 그믐쯤이라 물때의 영향을 많이 받네요... 일단 수심의 변화가 너무 생기고 이런 사리나 그믐쯤에는
빠지고 듬이 너무 심해 찌가 떠내려갈때도 있습니다 수로쪽ㅇ,,..
그래서 지금 포인트 고민 중입니다...수로에서는 아무래도 힘들듯 하여...
여려 요소가 있지만 저수지, 수로 둥병등 낚시를 하다보면 아침에 잘될때 혹은 밤에등
입질이 왕성 할때를 물때라고 하면 안될까요??????
특히, 바다와 수문 및 방조제로 연결된 곳은 가장 중요한 조건 중, 하나 입니다.
전 특히, 남양호와 평택호 출조시에 살펴보는 순서가
물때-날씨-풍향-풍속 입니다.
물때에 따라 입질 집중시간대를 찾고, 풍향에 따라 포인트를 정하게 되지요.
만약 간조시에 배수를 하게되면 다음 만조시까지 휴식을 취하는 것 이지요.
그리고 만조시간대에 월척 만나는 확률 또한 높습니다.(제 경험상...)
예를 들어서 물살이 있는 곳 보다는 물살이 멈추는 곳을 선호 하고 밝은곳 보다는 어두운 곳에 은신하는 특징등....
양의 성질 보다는 음의 성질이 강하다고 할 수 있죠
바다의 물때가 생기는 원인은 달에 의한 영향인데,
예를 들면 끈을 메단 진자가 좌/우로 반복 자유운동을 한다고 할때 그 진자의 속도가
가장 떨어지고 멈추는 구간은 양 끝 구간입니다.
이 끝 부분이 바로 물때로 말하면 만조와 간조에 해당이 된다는 이야기죠.
더이상 말하면 용왕신이 노하실 듯...
이만, -2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