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법날씨가 시원(??)합니다^^
방한 장비 잘 챙기시고 안전출조 하시길 바랍니다
한가지 궁금한것은
물빠진 저수지에 지금다시 물이 찬다면 어떤곳이 포인트가 될까요?
어제 출조해서 4치 한마리 ㅎㅎ 동자개 4짜 2마리
지렁이 떡밥 옥시기 콩 무엇을 사용해도 안되더군요
물이 유입된지 언제인지 모르나
저수율 50%에서 80%정도까지 유입되었는데요
냉수대가 형성 되었는지 새벽이 되어도 물안개가 거의 안피더군요
이런상화에서 포인트를 어디로 잡아야 할지
참고로 전 무너미권에 앉았습니다
수심 80-2.5M 까지 공략이 가능한곳에 ^^
그리고 지금시기 수위가 오르면 언제쯤이면 안정이 될지...
물빠진 저수지 다시 물이 차 올랐을때 포인트는 어디로???
-
- Hit : 3947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3
저보다는 지식이 더 많을듯 싶어서 글쓰기가 좀 부담되기는 하네요
그래두 제가 아는것만 적을게요 참고하세요
붕어포인트는 대체적으로 깊은곳보다는 얕은곳이 명당으로 알고 있어요 (여기는 대물방^^)
이유는 붕어는 3m 이상의 깊은 수심대보다 1m를 전후한 얕은 수심대에서 휠씬 더 자주 만나는거 같아요
그것은 붕어의 취이 습성 때문인거 같아요 붕어는 연안가까이로 접근해야만 붕어가 좋아하는 새우나 참붕어 등 수서생물이나
플랑크톤을 양껏 취할수 있어서 인듯합니다
물이 불어날때는 아주 얕은 수심도 좋은듯 합니다 예로 30센찌의 수심층이라도 바닥만 훤히 보이지 않으면 좋은 포인트가
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그런포인트에서 월척을 낚은적두 있어요^^
포인트는 수초가 발달한 지역이 거의 포인트라고 보면 될듯합니다
다만 예외두 있지요 과도하게 밀행한 수초대라든지 아님 수초 밑동에 물때가 낀 곳또는 청태가 있는곳도
좋은 포인트는 아닌거 같습니다 물도좀 탁해야 좋은 포인트가 될듯합니다 (탁한거하고 오염된건 구분하시기 바랍니다 )
수심깊은곳이 포인트가 될때는 아무래두 배수 상황이나 고수온의 한여름 낚시가 될듯합니다
포인트를 정하겠습니다 아무래도 지금의 시기라면 볕이잘드는곳이 유리하지 않을까 합니다
언제나 안출하시고 즐낚하십시요
이미 오래되었다면 일반적인 관점에서 낚시를 하면 되겠고, 얼마 되지 않았다면 물이 빠졌을 때 보아둔
(1)물골자리나 (2)물골과 언덕진 곳의 경계를 노려보심이 좋을 것 같네요.
아직 수초가 삭아내리는 중이라서 가스도 많이 차고, 바닥 상태도 좋지 않습니다.
그래서 오히려 수초에 바짝 붙이는 것 보다 약간 떨어져 포인트를 삼는 것이 더 좋을 듯 합니다.
다만 물이 언제 유입되었는지 알수 없고
채집망에 새우나 참붕어도 들지 않았습니다
즉 붕어의 먹이가 되는 수서생물들이 물가로 나오지 않았다는 .....
물론 볕이 그나마 가장 오랫동안 비추는곳에 앉았는데요
문제는 물 유입부쪽에 최근에 물이 유입 되었다면 아마 냉수대일꺼 같아서
제일 먼쪽에 앉아 보았습니다
정말 알수가 없는 노릇입니다 ㅋㅋ
담주또 가볼려 합니다
안정이 되면 좀 나아 질려나요
아마도 입질이 없는건 님의 추측대로 냉수대 형성일 가능성이 많아보입니다.
평균적으로 수심이 깊은곳이었다면 낮은수심대는 이시기에 수초가 잘 발달하지않고서는 고기가 붙지는 않을거 같네요..
몸매 이뻐요 ....
동자개가 많은곳은 여러어종이 서식한다는것과
물이 꽤 맑은편이지요.물이 차오르고 있으면 기압현상땜에 낮은바닥은
다소 기포현상도 생겨나구요.
아마 수심깊은곳을 공량하신다면 대물 만날것같은 생각이 듭니다.
안출하세요...홧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