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1
저는 낚시를 시작한지 얼마되지 않는 초보 낚시인입니다.
동영상 대물찌맞춤을 보고 몇가지 의문점이 있어 이렇게 글을 올리게되었습니다.
보통 일반 낚시에서의 찌맞춤은 현장 수평마춤으로 알고있었는데, 동영상을 보니
일딴 대물용찌가 있다는것과, 생각보다 상당히 무겁게 찌맞춤을 한다는 것입니다.
오동나무찌 경우 무겁다고 생각할 정도로 찌맞춤을 한다고 하는데, 이 무겁다고
생각되는 정도가 어느정도인지 말로 표현하시기 어렵지만, 답변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가령 시원스럽게 바닥까지 내려가 다른 분 말씀처럼 몇차례 콩콩 친다는가 하는
일상적인 표현들로 부탁드릴께요.....
왜냐면 제가 오동나무찌로 대물낚시를 시작해 볼까해서 말입니다.
그리고, 주로 콩, 옥수수, 새우를 즐겨 사용 할려면, 목줄 길이를 떡밥낚시 때와 길이
보다 좀 길게 사용한다고 이야기 하시는데요.... 보통 대물 낚시에서 바늘종류 및 바늘크기는 어떤것을 사용하며,목줄 길이는 어느정도로 사용해야 시원한 찌올림을 체험할수 있는지 ? 초보의 궁금증을 속시원히 풀어주셨으면 하는 작은 바램입니다.
"물사랑님 답변 부탁드립니다."
-
- Hit : 4076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2
많은 님들의 다양한 경험을 들어 보시는것도 좋은일인데
물사랑을 지칭 하시니까 다른분들이 의견을 내어주실지
모르겠습니다...ㅎㅎ
오동찌와 스기찌의 비중의 차이는 아주 큽니다.
떡밥찌보다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대물용찌에서는 손으로 들어 보아도
오동찌와 스기찌의 무게차이를 느낄 정도 입니다.
오동찌의 경우는 수조에서 찌에 봉돌만 달아서 조금은 빠르게 바닥에
내려가서 바닥을 2-3회 통통 치고 앉는 정도의 맞춤을 하시면
채비내림이나 찌놀음에서 더 낳은 효과를 보실수 있습니다.
대물낚시에서는 감성돔바늘 4-6호를 주로 사용 하는데
대물낚시용 바늘의 문제점은 대물낚시에서는 생각보다는
제걸림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잦다는 것과
강한 챔질시 바늘이 조금 뻗는 경우가 잦다는 점인데요
이러한 이유로 저는 이세형바늘 11호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세형바늘은 품이 넓고 목이 짧아서 챔질시의 제걸림에 조금은
득이 있고요 강한 챔질에도 뻗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목줄길이는 보통 8-9cm를 많이 사용 합니다.
저는 이물감을 줄임으로써 시원한 흡입과 좋은 찌올림을 볼 목적으로
목줄을 더 길게 사용 하는데 12-13cm를 주로 사용 합니다.
특히 대물낚시에서 찌나 바늘의 종류및 목줄의 길이가
찌놀음에 미치는 영향 보다는 그날의 활성도가 미치는 영향이 큽니다.
'붕어마음'이란 말이 그래서 생긴것 이지요.
다만 채비법이나 낚시법등에서 자신이 하는 방식에 대해서
'왜 이렇게 한다'는 근거를 생각하는 것은 낚시의 발전과 함께
더욱 즐거운 낚시를 하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생각 입니다.
앞으로도 본란에서 자주 문답을 하셔서 많은 님들과 다양한
경험을 나누시기 바랍니다.
항상 안전조행 하시고 좋은밤 낚으십시오.
물사랑님께 여쭈어 본 이유는 다름이 아니오라.... 찌관련하여
물사랑님의 답면이 명쾌하고, 상세하여 여쭈어 보았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