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모르는게 많으니 ...원~ 님들~물색.물색(탁도)하시는데... 기준이있나요?? 아님 경험인가요??
목록 이전 다음 물색(탁도) 권형아이디로 검색09-02-15Hit : 2514 본문+댓글추천 : 0댓글 11 공유 인쇄 신고 네이버 밴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https://www.wolchuck.co.kr/월척지식/대물낚시/물색탁도 URL 복사 안녕하세요^^ 모르는게 많으니 ...원~ 님들~물색.물색(탁도)하시는데... 기준이있나요?? 아님 경험인가요?? 추천 0 shimanoman아이디로 검색 09-02-15 02:44 낚수놀이에선,, 탁도 or 물색은.. 흐리멍텅한게~~ 조과에,, 잔뜩~~ 도움을줍니다!! ^^ ps. 걘적으로,, 아주뽀얀~~ 계곡지의 "우유빛물색"을 너무너무 좋아라합니다~~^^ 추천 1 신고 낚수놀이에선,, 탁도 or 물색은.. 흐리멍텅한게~~ 조과에,, 잔뜩~~ 도움을줍니다!! ^^ ps. 걘적으로,, 아주뽀얀~~ 계곡지의 "우유빛물색"을 너무너무 좋아라합니다~~^^ 솔터아이디로 검색 09-02-15 02:59 말 그대로 탁주를 풀어놓은듯한 그런물색이 가장 좋습니다. 깨끗한물엔 고기가 없단말있잖아여.. 반대로 생각하믄 쉽져.^^ 추천 0 신고 말 그대로 탁주를 풀어놓은듯한 그런물색이 가장 좋습니다. 깨끗한물엔 고기가 없단말있잖아여.. 반대로 생각하믄 쉽져.^^ 케브라A아이디로 검색 09-02-15 06:38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냥 물속을 보았을때 물이 맑아 물속이 훤히 보이는 곳은 가급적 피하고 어느 정도 탁도가 있어 물속이 잘 안보이는 곳에서 하룻밤 노숙을 하게 됩니다 이것도 늦은 시간 출조를 하게 되면 완전 무시하고 ... 물색 맑다고 붕어 나오지 않는 것은 아니나 확률적으로 보았을때 조금은 탁한 물색이 나을 겁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추천 2 신고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냥 물속을 보았을때 물이 맑아 물속이 훤히 보이는 곳은 가급적 피하고 어느 정도 탁도가 있어 물속이 잘 안보이는 곳에서 하룻밤 노숙을 하게 됩니다 이것도 늦은 시간 출조를 하게 되면 완전 무시하고 ... 물색 맑다고 붕어 나오지 않는 것은 아니나 확률적으로 보았을때 조금은 탁한 물색이 나을 겁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빼빼로아이디로 검색 09-02-15 09:28 안녕하십니까 권형님. 밤 낮 모두 낚시에서는 물에 탁도는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물에 탁도...물에탁도는 물속에 식 동물성 플랑크톤 즉 영양분에 활성도에 따라서 물색갈이 틀려지는 것입니다. 즉 부 영양화 현상으로 어류들에게 플랑크톤 먹이감이 풍부하고 햇빛을 많이 받는 평지형 저수지 수초또한 많은곳이 초봄에 기준으로 볼때 물색갈이 빨리 돌아오는 현상이 많습니다. 물색이 맑은곳 보다 탁한 물색에 저수지에서 조과가 좋은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이런 초봄과 늦은 가을에 물색이 맑아 지는것은 수온이 떨어저 플랑크톤이 활성화가 않돼다 보니까 수온이 올라가면 물색또한 탁한 색갈로 변해갑니다...이때는 우리 꾼"이 물가로 나설 때라고 보시면 될것 갔습니다 권형님께~~~대구리에 행운을 기원합니다.. 추천 1 신고 안녕하십니까 권형님. 밤 낮 모두 낚시에서는 물에 탁도는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물에 탁도...물에탁도는 물속에 식 동물성 플랑크톤 즉 영양분에 활성도에 따라서 물색갈이 틀려지는 것입니다. 즉 부 영양화 현상으로 어류들에게 플랑크톤 먹이감이 풍부하고 햇빛을 많이 받는 평지형 저수지 수초또한 많은곳이 초봄에 기준으로 볼때 물색갈이 빨리 돌아오는 현상이 많습니다. 물색이 맑은곳 보다 탁한 물색에 저수지에서 조과가 좋은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이런 초봄과 늦은 가을에 물색이 맑아 지는것은 수온이 떨어저 플랑크톤이 활성화가 않돼다 보니까 수온이 올라가면 물색또한 탁한 색갈로 변해갑니다...이때는 우리 꾼"이 물가로 나설 때라고 보시면 될것 갔습니다 권형님께~~~대구리에 행운을 기원합니다.. 은영자아이디로 검색 09-02-15 09:46 폐수로 오염된 간장색만 아니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오염은 안된었으나 너무 맑아도 좋지 않구요. 황녹색이라고 해야 하나? 약간 누런빛을 띄는 물이 가장 좋으며 그다음으로 회색빛이 약간 도는 물색도 좋다고 봅니다. 추천 0 신고 폐수로 오염된 간장색만 아니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오염은 안된었으나 너무 맑아도 좋지 않구요. 황녹색이라고 해야 하나? 약간 누런빛을 띄는 물이 가장 좋으며 그다음으로 회색빛이 약간 도는 물색도 좋다고 봅니다. 출조꽝아이디로 검색 09-02-15 10:33 물의 물색(탁도) 출조시 좋은 미끼와 채비와 포인트만 완벽하게 결정이 되었다고 대상어가 잡히는것이 아니라. 수온,물때,물색,바람,파도 등 그날의... 환경에 따라 조황이 좌지우지 합니다. 특히 물색은 낚시의 80~90%를 찾지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색(탁도) = 수온(물속온도) = 붕어 활성도(붕어의 움직임) 물색은 수온과 관계가 있고 붕어의 활성도를 결정합니다. 물색이 흐린 것은 수온이 적당해서 플랑크톤이 많거나 황토 빗물이 유입됐거나, 비록 맑은 물이 유입되더라도 저수지의 바닥을 뒤집어놨을 때 떠오른 부유물 등이 원인입니다. 비가 오지 않았는데도 물이 흐린 것은 플랑크톤 때문입니다. 수온이 높으면 플랑크톤의 밀도가 높아지고 적당히 흐려져서 낚시가 잘 되지만 그 한계를 넘어서면 고기들은 먹이를 적게 먹게 됩니다. 이걸 부영양화 현상이라하는데 심할수록 더욱 탁해집니다. 이 상태에서 비도 안오고 수온만 높아지면 저수지 수면에 짙은 초록색 녹조가 생기고 플랑크톤 죽은 찌꺼기가 쌓이면 붉은 적조가 됩니다. 이 정도되면 그 물은 죽은 것입니다. 플랑크톤으로 수면에 막이 형성되면 물과 공기가 차단되어 고기들은 완전히 먹이활동을 중단합니다. 그렇다고 물이 너무 맑으면 고기들이 사람을 훤히 보고 있으므로 잘 접근하지 않습니다. 물이 너무 차서 플랑크톤이 적으면 물은 맑더라도 고기들은 살 수가 없습니다. 대충 이렇게 정리됩니다. 기준은 없고요. 저수지나 둠벙등 낚시할때 고수분들은 경험상 알수있습니다..... 만약 물색(탁도)측정기를 발명하면 아마 대박날수도 있을까 생각합니다. 월척 캠폐인: 오분만 청소합시다. p/s 요사이에 월척이 몇몇 못된 놈들로 인하여 뒤숭숭합니다....... 중고거래시 충분한 생각과 한번더 확인하시고 거래하시길 바랍니다. 추천 1 신고 물의 물색(탁도) 출조시 좋은 미끼와 채비와 포인트만 완벽하게 결정이 되었다고 대상어가 잡히는것이 아니라. 수온,물때,물색,바람,파도 등 그날의... 환경에 따라 조황이 좌지우지 합니다. 특히 물색은 낚시의 80~90%를 찾지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색(탁도) = 수온(물속온도) = 붕어 활성도(붕어의 움직임) 물색은 수온과 관계가 있고 붕어의 활성도를 결정합니다. 물색이 흐린 것은 수온이 적당해서 플랑크톤이 많거나 황토 빗물이 유입됐거나, 비록 맑은 물이 유입되더라도 저수지의 바닥을 뒤집어놨을 때 떠오른 부유물 등이 원인입니다. 비가 오지 않았는데도 물이 흐린 것은 플랑크톤 때문입니다. 수온이 높으면 플랑크톤의 밀도가 높아지고 적당히 흐려져서 낚시가 잘 되지만 그 한계를 넘어서면 고기들은 먹이를 적게 먹게 됩니다. 이걸 부영양화 현상이라하는데 심할수록 더욱 탁해집니다. 이 상태에서 비도 안오고 수온만 높아지면 저수지 수면에 짙은 초록색 녹조가 생기고 플랑크톤 죽은 찌꺼기가 쌓이면 붉은 적조가 됩니다. 이 정도되면 그 물은 죽은 것입니다. 플랑크톤으로 수면에 막이 형성되면 물과 공기가 차단되어 고기들은 완전히 먹이활동을 중단합니다. 그렇다고 물이 너무 맑으면 고기들이 사람을 훤히 보고 있으므로 잘 접근하지 않습니다. 물이 너무 차서 플랑크톤이 적으면 물은 맑더라도 고기들은 살 수가 없습니다. 대충 이렇게 정리됩니다. 기준은 없고요. 저수지나 둠벙등 낚시할때 고수분들은 경험상 알수있습니다..... 만약 물색(탁도)측정기를 발명하면 아마 대박날수도 있을까 생각합니다. 월척 캠폐인: 오분만 청소합시다. p/s 요사이에 월척이 몇몇 못된 놈들로 인하여 뒤숭숭합니다....... 중고거래시 충분한 생각과 한번더 확인하시고 거래하시길 바랍니다. 공병붕어아이디로 검색 09-02-15 15:15 잘 배우고 갑니다. 님들 항상 건강하시고 안출하세요. 추천 0 신고 잘 배우고 갑니다. 님들 항상 건강하시고 안출하세요. 진도붕어빵아이디로 검색 09-02-15 16:51 고 못된놈들 언제쯤이면 사라질런지 원....쯔쯔쯔.... 추천 0 신고 고 못된놈들 언제쯤이면 사라질런지 원....쯔쯔쯔.... 붕어와춤을아이디로 검색 09-02-16 11:11 반가버요 권형님! 나름데로의 기준은 없습니다. 저수지 결정하고 달려가서 자리만 있다면 물색 무시하고 낚시합니다. 물 맑은 곳에서도 손맛본 경험이 많아서요. 정답은 없는것 같습니다. 단지 조과는 물색 좋은 곳이 조과는 더 좋겠죠. 물 맑은 곳은 그 물이 좋아서 걍 전피고 즐깁니다. 추천 0 신고 반가버요 권형님! 나름데로의 기준은 없습니다. 저수지 결정하고 달려가서 자리만 있다면 물색 무시하고 낚시합니다. 물 맑은 곳에서도 손맛본 경험이 많아서요. 정답은 없는것 같습니다. 단지 조과는 물색 좋은 곳이 조과는 더 좋겠죠. 물 맑은 곳은 그 물이 좋아서 걍 전피고 즐깁니다. 물트림아이디로 검색 09-02-16 12:47 일년내내 맑은 물색? ....참 붕어 잡기 어려운 곳입니다. 단..봄이면 ....틀립니다. 일단 얕은곳으로 나와야 되니깐요...^^ 추천 0 신고 일년내내 맑은 물색? ....참 붕어 잡기 어려운 곳입니다. 단..봄이면 ....틀립니다. 일단 얕은곳으로 나와야 되니깐요...^^ 버들지기아이디로 검색 09-02-16 12:59 대체로 평소에 물색이 맑은곳은 자원이 적을 가능성이 많읍니다. 또 밤낚시에 씨알이 많이 나올 가능성도 많구요..아니면 깊은수심이 좋지요.. 저는 간혹 그런경험이 있어 말씀드립니다. 뭐던지 정답은 없지만 정답을 찾아다니고 있지요...그러다가 정답에 가까워지면 ....ㅎㅎ 추천 0 신고 대체로 평소에 물색이 맑은곳은 자원이 적을 가능성이 많읍니다. 또 밤낚시에 씨알이 많이 나올 가능성도 많구요..아니면 깊은수심이 좋지요.. 저는 간혹 그런경험이 있어 말씀드립니다. 뭐던지 정답은 없지만 정답을 찾아다니고 있지요...그러다가 정답에 가까워지면 ....ㅎㅎ 목록 이전 다음 하단에 목록보기
shimanoman아이디로 검색 09-02-15 02:44 낚수놀이에선,, 탁도 or 물색은.. 흐리멍텅한게~~ 조과에,, 잔뜩~~ 도움을줍니다!! ^^ ps. 걘적으로,, 아주뽀얀~~ 계곡지의 "우유빛물색"을 너무너무 좋아라합니다~~^^
케브라A아이디로 검색 09-02-15 06:38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냥 물속을 보았을때 물이 맑아 물속이 훤히 보이는 곳은 가급적 피하고 어느 정도 탁도가 있어 물속이 잘 안보이는 곳에서 하룻밤 노숙을 하게 됩니다 이것도 늦은 시간 출조를 하게 되면 완전 무시하고 ... 물색 맑다고 붕어 나오지 않는 것은 아니나 확률적으로 보았을때 조금은 탁한 물색이 나을 겁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빼빼로아이디로 검색 09-02-15 09:28 안녕하십니까 권형님. 밤 낮 모두 낚시에서는 물에 탁도는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물에 탁도...물에탁도는 물속에 식 동물성 플랑크톤 즉 영양분에 활성도에 따라서 물색갈이 틀려지는 것입니다. 즉 부 영양화 현상으로 어류들에게 플랑크톤 먹이감이 풍부하고 햇빛을 많이 받는 평지형 저수지 수초또한 많은곳이 초봄에 기준으로 볼때 물색갈이 빨리 돌아오는 현상이 많습니다. 물색이 맑은곳 보다 탁한 물색에 저수지에서 조과가 좋은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이런 초봄과 늦은 가을에 물색이 맑아 지는것은 수온이 떨어저 플랑크톤이 활성화가 않돼다 보니까 수온이 올라가면 물색또한 탁한 색갈로 변해갑니다...이때는 우리 꾼"이 물가로 나설 때라고 보시면 될것 갔습니다 권형님께~~~대구리에 행운을 기원합니다..
은영자아이디로 검색 09-02-15 09:46 폐수로 오염된 간장색만 아니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오염은 안된었으나 너무 맑아도 좋지 않구요. 황녹색이라고 해야 하나? 약간 누런빛을 띄는 물이 가장 좋으며 그다음으로 회색빛이 약간 도는 물색도 좋다고 봅니다.
출조꽝아이디로 검색 09-02-15 10:33 물의 물색(탁도) 출조시 좋은 미끼와 채비와 포인트만 완벽하게 결정이 되었다고 대상어가 잡히는것이 아니라. 수온,물때,물색,바람,파도 등 그날의... 환경에 따라 조황이 좌지우지 합니다. 특히 물색은 낚시의 80~90%를 찾지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색(탁도) = 수온(물속온도) = 붕어 활성도(붕어의 움직임) 물색은 수온과 관계가 있고 붕어의 활성도를 결정합니다. 물색이 흐린 것은 수온이 적당해서 플랑크톤이 많거나 황토 빗물이 유입됐거나, 비록 맑은 물이 유입되더라도 저수지의 바닥을 뒤집어놨을 때 떠오른 부유물 등이 원인입니다. 비가 오지 않았는데도 물이 흐린 것은 플랑크톤 때문입니다. 수온이 높으면 플랑크톤의 밀도가 높아지고 적당히 흐려져서 낚시가 잘 되지만 그 한계를 넘어서면 고기들은 먹이를 적게 먹게 됩니다. 이걸 부영양화 현상이라하는데 심할수록 더욱 탁해집니다. 이 상태에서 비도 안오고 수온만 높아지면 저수지 수면에 짙은 초록색 녹조가 생기고 플랑크톤 죽은 찌꺼기가 쌓이면 붉은 적조가 됩니다. 이 정도되면 그 물은 죽은 것입니다. 플랑크톤으로 수면에 막이 형성되면 물과 공기가 차단되어 고기들은 완전히 먹이활동을 중단합니다. 그렇다고 물이 너무 맑으면 고기들이 사람을 훤히 보고 있으므로 잘 접근하지 않습니다. 물이 너무 차서 플랑크톤이 적으면 물은 맑더라도 고기들은 살 수가 없습니다. 대충 이렇게 정리됩니다. 기준은 없고요. 저수지나 둠벙등 낚시할때 고수분들은 경험상 알수있습니다..... 만약 물색(탁도)측정기를 발명하면 아마 대박날수도 있을까 생각합니다. 월척 캠폐인: 오분만 청소합시다. p/s 요사이에 월척이 몇몇 못된 놈들로 인하여 뒤숭숭합니다....... 중고거래시 충분한 생각과 한번더 확인하시고 거래하시길 바랍니다.
붕어와춤을아이디로 검색 09-02-16 11:11 반가버요 권형님! 나름데로의 기준은 없습니다. 저수지 결정하고 달려가서 자리만 있다면 물색 무시하고 낚시합니다. 물 맑은 곳에서도 손맛본 경험이 많아서요. 정답은 없는것 같습니다. 단지 조과는 물색 좋은 곳이 조과는 더 좋겠죠. 물 맑은 곳은 그 물이 좋아서 걍 전피고 즐깁니다.
버들지기아이디로 검색 09-02-16 12:59 대체로 평소에 물색이 맑은곳은 자원이 적을 가능성이 많읍니다. 또 밤낚시에 씨알이 많이 나올 가능성도 많구요..아니면 깊은수심이 좋지요.. 저는 간혹 그런경험이 있어 말씀드립니다. 뭐던지 정답은 없지만 정답을 찾아다니고 있지요...그러다가 정답에 가까워지면 ....ㅎㅎ
흐리멍텅한게~~ 조과에,, 잔뜩~~ 도움을줍니다!! ^^
ps. 걘적으로,, 아주뽀얀~~ 계곡지의 "우유빛물색"을 너무너무 좋아라합니다~~^^
그런물색이 가장 좋습니다.
깨끗한물엔 고기가 없단말있잖아여.. 반대로 생각하믄 쉽져.^^
그냥 물속을 보았을때
물이 맑아 물속이 훤히 보이는 곳은
가급적 피하고
어느 정도 탁도가 있어 물속이 잘 안보이는 곳에서
하룻밤 노숙을 하게 됩니다
이것도 늦은 시간 출조를 하게 되면
완전 무시하고 ...
물색 맑다고 붕어 나오지 않는 것은 아니나
확률적으로 보았을때 조금은 탁한 물색이 나을 겁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밤 낮 모두 낚시에서는 물에 탁도는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물에 탁도...물에탁도는 물속에 식 동물성 플랑크톤 즉 영양분에 활성도에 따라서 물색갈이 틀려지는 것입니다.
즉 부 영양화 현상으로 어류들에게 플랑크톤 먹이감이 풍부하고 햇빛을 많이 받는 평지형 저수지 수초또한 많은곳이 초봄에
기준으로 볼때 물색갈이 빨리 돌아오는 현상이 많습니다.
물색이 맑은곳 보다 탁한 물색에 저수지에서 조과가 좋은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이런 초봄과 늦은 가을에 물색이 맑아 지는것은 수온이 떨어저 플랑크톤이 활성화가 않돼다 보니까
수온이 올라가면 물색또한 탁한 색갈로 변해갑니다...이때는 우리 꾼"이 물가로 나설 때라고 보시면 될것 갔습니다
권형님께~~~대구리에 행운을 기원합니다..
출조시 좋은 미끼와 채비와 포인트만 완벽하게 결정이 되었다고 대상어가 잡히는것이 아니라.
수온,물때,물색,바람,파도 등 그날의... 환경에 따라 조황이 좌지우지 합니다.
특히 물색은 낚시의 80~90%를 찾지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색(탁도) = 수온(물속온도) = 붕어 활성도(붕어의 움직임)
물색은 수온과 관계가 있고 붕어의 활성도를 결정합니다.
물색이 흐린 것은 수온이 적당해서 플랑크톤이 많거나 황토 빗물이 유입됐거나, 비록 맑은 물이 유입되더라도
저수지의 바닥을 뒤집어놨을 때 떠오른 부유물 등이 원인입니다.
비가 오지 않았는데도 물이 흐린 것은 플랑크톤 때문입니다.
수온이 높으면 플랑크톤의 밀도가 높아지고 적당히 흐려져서 낚시가 잘 되지만 그 한계를 넘어서면
고기들은 먹이를 적게 먹게 됩니다.
이걸 부영양화 현상이라하는데 심할수록 더욱 탁해집니다.
이 상태에서 비도 안오고 수온만 높아지면 저수지 수면에 짙은 초록색 녹조가 생기고 플랑크톤 죽은 찌꺼기가 쌓이면
붉은 적조가 됩니다.
이 정도되면 그 물은 죽은 것입니다.
플랑크톤으로 수면에 막이 형성되면 물과 공기가 차단되어 고기들은 완전히 먹이활동을 중단합니다.
그렇다고 물이 너무 맑으면 고기들이 사람을 훤히 보고 있으므로 잘 접근하지 않습니다.
물이 너무 차서 플랑크톤이 적으면 물은 맑더라도 고기들은 살 수가 없습니다.
대충 이렇게 정리됩니다.
기준은 없고요. 저수지나 둠벙등 낚시할때 고수분들은 경험상 알수있습니다.....
만약 물색(탁도)측정기를 발명하면 아마 대박날수도 있을까 생각합니다.
월척 캠폐인: 오분만 청소합시다.
p/s 요사이에 월척이 몇몇 못된 놈들로 인하여 뒤숭숭합니다.......
중고거래시 충분한 생각과 한번더 확인하시고 거래하시길 바랍니다.
님들 항상 건강하시고 안출하세요.
나름데로의 기준은 없습니다.
저수지 결정하고 달려가서
자리만 있다면 물색 무시하고 낚시합니다.
물 맑은 곳에서도 손맛본 경험이 많아서요.
정답은 없는것 같습니다.
단지 조과는 물색 좋은 곳이 조과는 더 좋겠죠.
물 맑은 곳은 그 물이 좋아서 걍 전피고 즐깁니다.
....참 붕어 잡기 어려운 곳입니다.
단..봄이면 ....틀립니다.
일단 얕은곳으로 나와야 되니깐요...^^
또 밤낚시에 씨알이 많이 나올 가능성도 많구요..아니면 깊은수심이 좋지요..
저는 간혹 그런경험이 있어 말씀드립니다.
뭐던지 정답은 없지만 정답을 찾아다니고 있지요...그러다가 정답에 가까워지면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