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대물낚시를 시작한지 얼마안된 초보조사입니다.
수초와의전쟁을 펼쳐야 하는 계절이와서 채비를 좀 무겁게했습니다
그런데 초에는 잘내려가는데 입질이 오지도 않았는데 미끼가 없어지는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잔챙이 입질은 표시도 없이 미끼가 사라지더라고요.....
그래서 한번씩 확인하기 위해 낚시대를 당기게 되더라고요.
낚시대를 자주 당기면 안좋은줄은 알면서도 미끼가 또 없을까봐 불안한 마음에..
선배님들 뭐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미끼를 지킬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아님 채비를 무겁게 해도 잔챙이 입질을 알수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미끼도둑에 대하여....
-
- Hit : 4563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5
굉장히 피곤하거든요...
껍질이 두껍고 오래살아있는 보리새우(이틀동안 살아있는놈들도 있어여...),
햇빛에 말린 쫀득쫀득한 엄지손톱만한 메주콩...등등...내구성있는 미끼
사용하시면 잘버텨 줄껍니다...
대물 .대어 낚시를 처음 시작하면 되부분 찌맞춤을 무겁게 (+) 찌 맞춤을 합니다.
처음에 + 찌 맞춤 보다는 (표준) 케미꽂이 와 수면이 일치한 표준 찌 맞춤으로 하여 사용하다가
어느정도 시간이 흐른다음 + 찌 맞춤을 하시면 더 쉽게 대물.대어 낚시를 즐기실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해온 찌맞춤으로 대물 . 대어 낚시를 하시다가 나중에 + 찌맞춤으로 하여 낚시를 하시면
기존의 해왔던 기법에서 크게 법어나질 않아 정확한 챔질을 하실수 있으며 미끼가 유실 되는걸 파악할수
있을 겁니다.
새우를 사용하신다면 꼬리와 등 꿰기를 살짝 하신다면
어느정도 새우가 버텨 주리라 생각 합니다.^^*
대부분 움직임이없거나 살짝 잠기는 정도에서 바늘의 미끼가 유실되기 때문이지요.
설령 표준찌맞춤이나 가벼운 찌 맞춤을 한다해서 미끼도둑을 피해간다거나 좀 더 명확히 알수는 없습니다.
하기에, 미끼 도둑이 극성을 부리는 저수지라면 기존의 미끼를 탈피해 좀 더 오래 견딜수있는 미끼가 필요합니다.
예를들어 알이 꿁고 딱딱한콩,튼실한 옥수수 여러알꿰기, 다소 크다싶은 새우..
하지만 이 마저도 소용이 없다면 채집한 다소 큰 참붕어 또는 우렁이 미끼도 대안이지 싶네요.
지금 시기엔 미끼도둑이 굉장히 극성을 부리는 시기여서 그에 대비하여 좀 더 투박한 미끼를 염두에 두시는것이 좋은 방법일것입니다.
그리고 저녁 6시쯤에 굵은 새우 달고..기달립니다...
좌측 32대가 캐미끝만 움찔움찔 합니다...
두어시간 지나서 9시쯤 살짝 들어보니 새우 다리 머리 꼬리 다 따먹고 몸통만 쪼금 남았습니다...
이때, 미끼를 다 갈아주는 우를 범하면 대어를 보기 어렵습니다....
대어가 큰 새우나 큰 콩만 먹는게 절대 아니기 때문이죠...
새우 손톱반만큼만 남아 있어도 시원스레 올려 줍니다...
즉, 새우나 참붕어를 사용할때 미끼가 아주 조금만 남아 있어도 갈아 주지 마라~!! 이것이 대어를 보기위한 철칙이라고 봅니다.
여기 저기 손대는 것보다 차라리 미끼 없이 한시간 보내는 것이 좋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플라톤님에 말씀에 절대공감합니다.
생미끼낚시에 여기 저기 손대는것은 실이많다고 봅니다
깔짝거리는 예신이 왔던 대에는 순서대로 한대식 1~2시간에 간격을두고 미끼확인합니다.
추천한방 꽝합니다~~~
많이 배우고 갑니다 ㅋㅋ^^
대물낚시는 기다림에서 시작이 된다고 봅니다
미끼 도독이 심하시면 좀더 큰바늘에 큰미끼를 사용을 권합니다
대물낚시에서 다대편성을 하는이유는 한두대의 손실에도 다른대의 입질을 기다리느여유가 있기 때문입니다
한번 던져 놓은 낚시대를 한시간이 멀다하고 들었다놨다 한다면 그날 입질보기가 더 힘들다고 봅니다
잔챙이나 미끼 도독 극성에 시달리면서 기다린입질에 대물를 낚느다면 한층더 대물낚시의 흥미를 느낄것입니다
내가 던진 미끼에 믿음을 가지시고 기다린다면 좋은 찌올림이 있으실겁니다
안출 하시길 ~~~
대물 낚시의 기다리는 여유때문에 밤을 꼬박 지새우는 거 아닐까요?
늘 즐거운 낚시되시고 장마철 안전에 유의하시길...
크고 단단한...호두는 아닙니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