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툴러서겠지요... 좁은 수초구명을 공략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반관통찌에 관심이 생기는데요....
몇가지 의문점 질문 드려봅니다
1. 투척
- 진짜루 투척이 용이한가요?
=>찌가 봉돌까지 내려오면 봉돌의 하중이 커지는 결과 아닌가요? 그럼 더 투척이 어려울거 같은데요..
=>봉돌 무게 + 찌 무게... 저는 봉돌이 너무 무거워도 대끝이 휘어서 앞치기 어렵던데요
2. 관통부분
- 이물질이 낄 수 있을것 같은데...상관 없는지요?
- 어신전달에 영향 없는지요?
3. 적당한 부력
- 7호미만의 찌를 선호합니다. 반관통찌의 적당한 부력은 어느정도일까요?
반관통찌에 관심이 있습니다
-
- Hit : 2632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7
일요낚시 반관통찌강좌가있습니다~~
거기가시면 질문하신 내용이 다 있습니다...
안출하세요~~
1.투척쉽습니다...반관통찌 보통..7호이하입니다..
2.이물질 잘 안낍니다..어신전달 약간은 있습니다....어차피 수초낚시는 수심이 그리 깊지 않기에 충분한 어신을 전달 받습니다..
3.일요반광통찌..거의 7호미만으로 알고 있습니다...
앞치기 어느정도 되시면 지름 20cm 구멍만 있어도 찌 넣을 수 있습니다.
붕돌을 잡고 앞치기 하는 것이 아니고 찌하단을 잡고 앞치기 하시면 확실히 감 잡을실겁니다.
사선입수가 있는데 뭐 그렇게 조과를 줄 정도는 아닙니다.경험상..
한번쯤은 써 볼만하다고 생각됩니다.
전 올해부터는 다시 유동채비로 해서 쓰고 있습니다.
깊은 수심에서는 좀 아니다 싶습니다.
관통부분 이물질과 관계없이 찌올라옵니다
일단 반관통찌 2~3개 사셔서 짧은대1개 중간대1개 긴대1대 장착하셔서
투척해보시고 손에 익히신후 7호가 부족하다싶으면 8~9호쓰세요
장점도 많지만 단점도 제법 있읍니다
사선입수에 찌탑과 원줄사이 수초걸림, 늘 대에서 불리않되는점 등등
찌톱은 굵은걸로 선명한 찌톱도색이 되어있는걸로 구하세요
저 역시 반관통찌 1년여 사용 하다가 처분 하고 유동찌로 바꾸면서
저수심이거나 수초시에만 반관통식으로 쓸수 있게 만들어서 쓰고 있습니다
아주 만족 합니다..
평상시에는 유동찌처럼 사용하고
수초 빽빽한 곳에서는 고리에 원줄을 끼워 반관통처럼 사용하고요..
근데 요즘은 어디서 판매하는지 도통 알 수 없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