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붕어가 있을까요?

후미진 산속 2,000평 가량의 소류지인데 접근이 용이하지 않아 여름에 밤낚 한번, 봄.가을에 한번씩 낮낚 2번 해 보았으나 붕어구경을 못하였습니다. 소류지 여건은 계곡형에 가깝고 굵은 사질바닥이 많으며 1급수 수질을 유지하고 가래류와 검정말이 상류와 전체 연안으로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만수시 상류수심 1m, 제방권수심 3m 정도이며 못아래 몽리면적이 적으며 그나마 대추,감나무밭이라 배수가 필요없어선 지 몰라도 못쫑이 없고 물이 차면 제방우측 무너미로 넘어가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확인한 바 있는 어류는 가물치인데 지렁이,새우는 밀어 넣으면 입질이 들어오고 칼자루만한 가물치가 물고 늘어지며 콩,옥수수,보리,떡밥류에는 반응이 없었고 채집망을 던지니 새우만 들어왔으며 고디(농고디가 아닌 다슬기)가 많이 서식하고 있었습니다. 총 낚시시간은 밤낚시 포함 3차례에 약 30시간 가량인데 유일하게 가물치만 확인된 바 있습니다. 가물치가 있으면 먹이사슬의 하위계층인 피라미나 붕어가 있을 법한데...... 과연 붕어는 있을까요? 있다면 어디에 있을까요?

안녕하세요,체게바라님.사질 바닥에 다슬기까지 있다니 수질이 상당히 좋고
산 속의 소류지라니,주변 풍경도 좋을 듯 합니다

그 곳의 형태나 수심 등,자세하게 잘 설명하여주신 저수지 아래 밭의 여건 등 으로
미루어,좋은 씨알의 붕어는 충분히 있을법 합니다
채집망으로 포획하신 새우만 하더래도,붕어에겐 좋은 먹잇감이지요

의아하게도 그러한 곳 대부분이,냉수성에 강한 피라미나 갈겨니 등등도
잘 서식하고 계체수도 많을법하여
떡밥류 미끼에도 잘 반응하는데,그러한 현상이 없는 듯 합니다

오히려 뻘층이 많고 수초대가 많은,평지형이나 준계곡형 찌든 수초대에서나
많이 볼 수 있는 칼자루만한 가물치가 잘 달려든다니
맑은 수질로 미루어,방생한 것은 아닌가 생각도 해봅니다

그러한 곳 대부분이,주변에 절이 있가나하면 방생한 가물치/자라/남생이/청거북/
향어/잉어 등등이 꽤 분포해있더라구요

그것이 아니라면,가물치의 개체수는 평지형 수초대가 많은 곳에 비하여 적은데
산란 후 그 알이 부화하여 떼지어 다니던 가물치 치어의 공격은 아닌가 싶습니다


그 곳 붕어의 서식 여부를 가장 쉽게 보기 위해서는
예민한 채비를 잘 셋팅하여,잦은 채비 투척으로 집어력을 충분히 살린
떡밥 콩알낚시가 좋을 듯 하며

대물붕어낚시를 즐기기 위해서는,현장 미끼인 새우를 주 미끼로하여
밤낚시 전,삶은 겉보리를 좀 뿌려준 뒤
한 번 기다려 보심도 좋을 듯 하지만
포인트가 더 중요하겠습니다

사질 바닥 보다는,마사토바닥이 더 유리할 것이며
지금 이 시기에 공략하실 생각이시면
그 곳 중,볕이 가장 잘 들고 물색이 탁도가 좀 있는 곳을 택하시어
그 여건을 갖춘 곳에 붕어의 은신처나 산란처가 될만한
억센 수초대나 바닥 큰 돌 등 수몰된 큰 나무 가지류가 없다면
임의로 주변 산에 큰 나무가지 쓰러진 것 등을
낚시하실 연안 물속으로 살짝 걸쳐준 뒤
겉보리 밑밥을 좀 주시거나 안주셔도 되고
며칠 뒤 날 좋은날 한번 공략해 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붕어의 경계심을 줄이기 위함이지요

밤낚시가 아니고,낮낚시를 하실 생각이시면
여름철 떡밥낚시터로 좋은 곳 같습니다

그럼,참조만하시어 즐거운낚시 즐기세요

달비4짜님! 감사합니다.
날좋은 밤낚 피크시즌인 5월 중순경에 함 쪼아볼 예정입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