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뽕치기 낚시 찌맞춤은?

제가 붕어낚시 채비는 다해봤습니다 조력은 얼마안되는 초보지만 대물바닥 방랑자 옥내림 떡밥바닥 내림 중층까지 그리고 저만의 채비인 빠는 채비까지... 지금은 옥내림 빠는채비 방랑자을 자주하고있습니다 사람들마다 뽕치기 찌맞춤이 다른데 어떻게 맞춰야 하는지 가장 무난하게 쓰는 찌맞춤은 무엇인지 고수님 답변 부탁합니다

기본적인 직공채비의 찌맞춤은 약간 무겁게 하는게 정석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좁은 수초구멍으로 찌를 세우기 위함이죠

저는 조금 다른생각인데요 그런 형태의 낚시를 하는 시기는 활성도가 많이 떨어진 저수온기에 주로 하기때문에

현장에서 표준찌맞춤을 하여 나름 예민하게 하고 있습니다
뽕치기 예전에는 풍덩 채비로 그대로 했는데요..

요즘 트렌드는 뽕치기도 영점맞춤으로 하더군요..
저부력 찌에 예민한 채비가 월등히 유리합니다.
까꿍붕어님게 한표던집니다....짝짝짝
상황에따라달리해야합니다..
바닥상황이안좋으면 무거운 봉돌을달아야 미끼가 제대로 안착이됩니다

무작정 가벼운채비쓰심 낭패보십니다..
상황에 따라서 다르게 쓰기도 하지만...
자기 취향대로 가는것 같습니다
저는 내년 봄부터는 수초밭에서 옥내림뽕치기에 도전해 볼까 합니다

옥내림을 수초에 붙여서 하면서 조과가 좋은 걸 알고 생각이 그리 흐르더군요
저의 경험상으로다 한말씀드리자면 일딴봉돌무게가8~10호정도 그러니까고부력찌죠 왜냐면수초구멍이나 부들 갈대를 비롯해 구녕에넣기가 바람의영향이나흔들림없이 잘들어갑니다.
그리고 찌맞춤은 야간무거운바닥찌맞춤으로하시고 현장가서그때그때 조정해서쓰시면되고요 가벼운찌맞춤은반대합니다
고부력 8-12호 로영점맟춤하시면 됩니다
꼬작대기님한표 드림니다
동절기에는 중저부력 찌 영점마춤이 용이하지안을까요
저수지 환경마다 바꿔야 겠더라구요 예전엔 마냥 풍덩이였는데 조과가 꽝이라서 바꾸기로 했어요ㅋ
그냥 바늘크게 수초를 뚫고 안착이 되어야 하니까 무겁게 그래도 잘 올립니다^^
저는 생각이 다릅니다. 안착이 되어야겠지만요... 중요한 것은 그렇게 안착 되는 것보다 물 속 상황이 어떤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무거운 채비를 했다가 미끼가 함몰되어 버린다면 말짱 꽝이 되어 버릴 듯 합니다. 그런 것을 먼저 알아 본 후 채비를 그에 맞춰 쓰심이 좋을 듯 합니다.

낚시 동호회 선배님이 말씀하시더군요... 부지런해야 한다고요... 그리고 상황에 맞추어 낚시를 해야 한다고요. 꼭 그렇게 해야 하는 건 없는 듯 합니다. 상황에 맞추어 바뀌어야 겠지요
들어뽕은 자주 옴겨다녀야합니다..(제 경험으론)
또한 수초구멍이나 연안수초에 가깝게 붙여야합니다..물론 채비가 바닥에 빨리 안착되어야하고 수심측정이 빨라야합니다//
찌맞춤 또한 영점 보단 무거워야 편하더군요...(다만, 제 경험이고 생각입니다..)ㅎㅎ
허접한 답변 추가드립니다.
우선 제 찌는 머털에서 개당 천원하는 그 무식한 찌입니다.
영점 맞춤으로 하고 있구요...
살얼음이 있을때도 그걸루 입질 본적 있지만...점잖지는 못합니다.
입질 표현보다는 내구성이 중요하다고 생각이 됩니다.
뽕채비 강한챔질에 모가지 부러집니다.
입질할때 천천히 들어올리시는 습관들이시면 저부력찌도 문제없이 사용하실거라 생각 됩니다.
이번 시즌도 이제 막바지로 수추구녕 팔려면 이제 뽕치기로 해야겠군요...
오늘도 남양만서 꽝치고 왔으니 낼은 뽕치기로 손맛좀 보고 싶네요...
저는 대물낚시랑 똑같은 찌마춤 합니다 붕어야 놀자 ...
저수온기에 붕어의 활성도가 아주 낮은 상황임으로 예민한 찌맞춤이 맞는것 같은데요
실제로 얼음낚시에서 예민한 찌맞춤에 적은 바늘이 유리합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