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산속작은소류지 낚시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얼마전 작은 소류지를 하나 발견했는데 지렁이 미끼에 아주 작응 붕애님만 살고 있는지 작은 붕애만 입질하네요. 밤새 새우 통발엔 아주 작은 새우만 한마리 잡힌게 다 네요. 혹 아직 대물이 움직일 시기가 아닌가요. 음력 윤달이라 더한가? 경험 많으신 조사님들 조언 좀 부탁드려요. 수심은 약 50-70cm정도인데 낮에도 작은 붕애님들 잘 뎀빕니다. 큰 붕애 어른들은 한번도 아직 보질 못했네요.

미끼 운영을 바꿔보시는걸 추천드리구요 주변 마을사람이나 현지분께 물어보시는게 최고입니다
계곡지면 물이 마르지는 않겠지만 일반 작은 소류지라면 물도 마르거니와 동네분들이
물빼서 고기를 잡는경우가 많습니다 저수지정보를 먼저 알아보시고
작은놈들이 있다면 어른들도 분명있을것입니다 새우나 옥수수로 함 계속 찔러보세여~
저도 예전 전남 강진의 아주 작은 둠벙? 같은 저수지에서 붕어뉨과 같은 상황이었습니다.

분명 물을 뺏을것 같고 부들이며 땟장 너무 맘에 들고 그래 물을 뺏어도 큰놈들은 뻘속에 있었으니까

월척들 분명 있을거야. 해서 지렁이 떡밥 새우 다 써봤지만 잔챙이만 50여수 이상 하다 온것 같습니다. 나중에 아버지가 말씀하시

길 한해전에 물을 뺐다고 하시더라구요. 분명 덩어리는 있을겁니다. 다만 물을 최근에 뺏다면 몇해는 월척들이 있어도

크게 먹이활동을 안할걸로 보입니다. 딱 한번의 경험이라 그리고 지금은 서울이다보니 그 뒤로 가보질 못했네요.

지금은 어떨지 ~!
첫째 주변분들께 소류지정보를 여쭤본다.
둘째 나올때까지 들이댄다.

저는 이것밖엔 모르겠네요 ;;

확실히 날풀리면 한번더들이대보세요 ^_^ 화이팅 !!
저도 나올때까지 ㅎ 가긴하는데

10번정도가서 꽝치면 ㅎ 그냥 접습니다 ㅎㅎ
정보가 가장 중요하겠죠... 그런데 동네분들은 그렇게 자세히 안가르쳐 주드라고요

전북김제꾼님 10번이면 아주 많이 가는거네요....

전 2번까지는 가볼것 같습니다..
4짜혹부리님 그 둠벙 지가 확인해볼께요 ^^

붕애가 있는 오래된 소류지면 월척급도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현지에서 정보파악이 매우 중요할것 같습니다.

물마름도 중요하지만 그물질도 우려되구요. 작은 소류지의 믿음이 없어지는건

그물질이 우려되더라구요. 그냥 그물도 아니고 밧데리와 그물질을 동시에 한다니

작은 소류지 붕어가 남아날지 의문이죠.
계속쪼다보면나오게되어있읍니다
아직덜쪼우신거같은데요
저두 얼마전발견한곳으로 계속 쪼고있습니다..
아직까진 붕애들만....주구장창 파볼생각입니다^^
똑 같은 크기에 붕애들만 바글바글 하다면
한번 정도는 생각해봐야 할것 같습니다...
문론 현지인의 정보도 중요하고요 ~~
하지만 최소 저는 세번 정도는 놀아 봅니다..
작은 둠벙낚시 주의 할점
1. 소음은 쥐약 입니다
2. 불빛도 쥐약 입니다
3. 분명히 딱맞아 떨어지는 계절이 있을 것입니다.
제가 알고 있는 2백평정도의 작은 둠벙
봄, 여름 낚수 않됩니다. 어떤 미끼 어떤 채비도
가을 됩니다.(제가 본 월척만해도 6~7마리)
가을 시작되고 몇주간만 됩니다.
그것도 어설프게 불빛 보인다던지 소음있다던지 하면 그날을 꽝
미끼는 오로지 콩만들어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