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새우미끼에 대한 고찰~!

자주 가는 저수지에는 참고로 새우가 자생하지 않습니다. 새우가 자생하지 않는다 해도 낚시가 된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만, 해당 저수지의 탐방인들의 말씀을 들어보면 새우는 아예 안된다더군요. 이참에 도전정신이 불타올라 한번 해보자 싶어서 전원 새우를 장전하고 다대편성 (12대)을 하여 9시간 가까이 한 결과..... 입질한번 못받았습니다 하도 답답해서 새우를 면도시키고 옷을 벗겨 달아보아도.... 누군가가 이야기를 했죠.. 대물낚시에서 찌맞춤을 묻거나 새우의 수염을 자른다면 그 순간 대물낚시가 아니라고 말해주어라.... 또 새우낚시를 하려거든 꽝조과에 면역력을 먼저 키워라... 라는 말이 생각나더군요..ㅠㅠ 과연 현지인들도 해당 저수지에 새우낚시가 안된다면 정말 거기에 붕어들은 새우를 먹지 않는것입니까? 참고로 개체수는 많습니다.

새우가 살지 않더라도 물긴 뭅니다 . 다만 뜸할뿐 (제 경험상)

그리고 지금 이시기에 새우입질은 잘 없더라구요 5월달 되면 바리바리 입질 옵니다
저랑 똑같은 경험을 하셧내요 제가 한대는 자생새우 없는곳인대 현지인들이 그러더군요 절대안먹는다구 글루탠만 먹는다구 진짜 밤세 건들지도 안더라구요 오전에 글루탠 달았더니 바로 8치마리수 잡았내요ㅎ 그때깨달았습니다 포기할줄알아야 붕어 얼굴본다는걸요ㅎㅎ이건 어디까지나 제생각이구 경험입니다~
손이많이안탄곳이라면 새우에도 입질받은적있습니다.

손을많이탄곳에서는 참붕어 새우 납자루 자생하는미끼가많았으나,

워낙 옥수수만미끼로사용하고,오며가며 옥수수 수십통을 밑밥으로 부어데다보니 옥수수에 길들여져 옥수수에만반응오는곳도있습니

다.

시기에따라서나 활성도 입질패턴 붕어입크기에따라서 떼떼로 일부러 미지근한물에 새우를 죽여서사용하기도하고,

머리를떼어내기도합니다.서식하는붕어식성에맞춰서 미끼운영이필요하다는걸 절실히느꼈습니다.
2000년대 초반, 대물낚시가 붐을 일으킬 때 나왔던 100여가지 說중 하나네요.
낚시 너무 어렵게 하지 마세요.
스트레스 풀려고 낚시하시는데, 괜히 머리 아프고 스트레스 받습니다. ^.^
낚시는 공부하며 하는게 아닙니다 ㅡ 공부하시면 붕어도 공부해서 똑똑해지고 예민해집니다 ㅡ^^
자연은 그대로 자연일때 아름답듯이 인공먹이를 안쓰시며 낚시를 하면 붕어도 자연 미끼를 좋아하게 되지요
사람이 인공먹이로 길들이니 붕어도 그런걸 선호 하게 되는겁니다 ㅡ 우리 애들이 인스턴트에 길들여지듯 ㅡ^^
그런곳도 가끔 있긴 한데요, 설마 끝까지 안먹겠습니까?
제 생각엔 언젠가 먹는다입니다,,,만,ㅋ
무한 인내심이 필요할겁니다.
예전에 제가 완두콩 입질 받아보려고 수도없이 꽝쳤고, 결국 딱한번 입질 받았네요.
먹던거 줘유.

질게 말하믄 안졸깨비 짧게 해유. ㅡ.ㅡ;;;
하루 안돼면 이틀하고 이틀안돼면 사흘하고 대물 꾼이라면 그딴 깡다구도없이
저같으면 오기로 해볼겁니더 죽기아니면 까물치기로 하하하하하하
낚시에 중요한 한가지가 미끼선택입니닺.어디에가든잘먹히는 미끼가있습니다. 그걸빨리찾는게 .그날낚시성공하는거지요^^
현지 조사님들 말듣는게 최고에요.사람의 손을 안탄곳이면 모르겠지만 저수지 사람 손타면 먹는것만 먹더라구요..제 경험상 ㅋ
낚시 참 하면할수록 어렵지요

하지만 우린 "어부" 가 아님니다

취미이자 레져문화입니다

기다리면 옵니다 언젠가는 하하하
꽝치고 나서 포인트 설정 잘못하는 실력탓 안하고,
날씨탓, 장비탓, 미끼탓 하는분들의 괴담이라고 생각됩니다.

아침에 동이 터오르기 시작하면, 핑계꺼리를 구상하기 시작하죠.
그러면서 괴담 하나씩 창작하죠.

서리가 와서 고기가 안물었다.
간밤에 달이 좀 컸다.
일본에서 지진이 있었다더라.
간밤에 바람만 아니었다면.
누가 그러는데 어떤 미끼 안먹는다더라.
붕어들이 수면에 떠서 돌아다니더라.
밤새 개가 짖는 통에.
붕어가 못먹는것은 없습니다
올챙이나 심지어 같은 붕어 새끼도 먹습니다
다만 입질 횟수의 차이는 분명 존재 합니다

어디가나 지렁이에 먼저 입질이 닿는게 일반적 현상 이지만,
떡밥에 길들여진곳은 지렁이+떡밥의 짝밥을 줘도 떡밥을 물고 나옵니다

말뚝왕박방랑님이 겪은 상황도 입질빈도의 차이일뿐 전혀 안먹는것은 아니라고 생각 됩니다

다른 시각으로 보면
그 곳에서는 새우가 진정으로 씨알을 차별화될수 있는 미끼일수 있는 긍정적 측면도 있습니다

떡밥,글루텐,옥수수가 도리어 그곳에서는 씨알을 차별화 시킬수 없는 미끼일수도 있는 겁니다

수온이 더 상승되고 포인트를 잘 찾아보고 꺠끗한 바닥을 잘찾아 새우로 재도전 해보면 어떨까~ 합니다

낚시 이후에 죽거나 산새우를 포인트에 지속적으로 뿌려 주는것도 미래 투자적 효과가 있다고 여겨 집니다

보통의 꾼들이 주말낚시인이라고 본다면
로마에가면 로마법을 따라라~란 격언이 잘맞다고 생각 되어 집니다

겨우 시간을 내고, 먼길을 달려가고,빠른 결과물을 봐야하고 ....

그런점에서 미리 정보를 알고 포인트나 미끼로 대처 하는게 현명 하리란 생각이 듭니다

즐거운 주말 되시길...
먹습니다 다만 떡밥이나 지롱이에비해 상대적으로 생소하고 까다로운?상대이기 때문에 시간이 걸리겠죠~~
저수지마다 잘 먹히는 미끼가 있구요,

같은 저수지여도 그날 잘 먹히는 미끼가 다를때도 있습니다.

포인트에 따라서도 잘 먹히는 미끼가 다르더군요.

그래서, 저수지에 대한 정보가 없으면 맨바닥에 해딩이랄까

알고있어도 꽝치기 쉬운데요, 대물낚시는 그래서 어렵습니다.
고기고 먹어본 사람이 잘 먹는다고
붕어도 새우 먹어본 붕어가 새우 잘먹고 떡밥 잘먹는 붕어는 떡밥 잘 먹지요
제 경험으로는 저수지마다 미끼에 대한 특성이 있는 것 같습니다.
소실적 동네형 따라 산속깊은 계곡지에 새우가 살지 않은곳에 새우미끼로 재미좀 봤지요
개울가에서 보기힘든 몸통이 손바닥 많한 놈들이 새우물고 올라오는거 보고 신기하기 그지 없었지요
그후로 새우미끼를 선호하게 되었습니다
아직 까진 새우미끼가 조금 이른듯 하지 않나 싶네요
붕어만 사는 저수지 라면 계속 들이대 보싶시요 낚시 끝나고 그자리에 남은새우 밑밥식으로 뿌려 놓으세요
새우도 자생하게 되고 일석이조의 효과를 볼수있지 않나싶습니다

꾸준히 반복하다보면 좋은결과가 있을수 있읍니다^^
새우가 나오지 않는 곳에서도 새우낚시가 됩니다 다만 구역마다 특성이 있으니 확인차 지렁이 떡밥 새우 등 이놈 저놈 달아서 입질 잘하는 놈으로 쓰심이 좋을듯 해요 ^^
제의견은 이렇습니다. 요즘 시기는 새우가 아직 작습니다. 큰붕어(작은붕어들은 새우에 크게반응 안함은 아실듯) 들은 아직 새우에대한 먹잇감을 굳이 찾으러 다니지 않고 참붕어가 있다면 아마 참붕어 먹잇감을 찾으러 낮엔 물가쪽로 밤엔 깊은곳으로 들어가겠죠..? 그시기에 그먹잇감이 익숙하고 그저수지에는 새우도 없으니 새우에는 낫설어하지 않았을까 합니다.. 그리고 저수지에 새우가 없나요..? 혹 참붕어는 많은가요..? 저의 경험담 및 팁을 말씀드리자면 한때 둠벙탐사(100여군데는될듯)때도 월척급 붕어들이 나오는곳은 새우보다 참붕어류가 많았습니다. 새우도 참붕어도 없는 둠벙은 7치이상 나오질 않는다는 저만의 답을 내렸습니다. 붕어들의 천적 및 경쟁어(쏘가리,잉어,베스등)들이 있다면 붕어역시 풀을 먹던 플랑크톤을먹던 경쟁어알을 훔쳐먹던 몸집을 키우게끔 진화해버리구요.. 즉~ 새우도 참붕어도 경쟁어도 없으시면 큰기대는 안하시고 떡밥 및 지렁이로 가는게 좋지 않을까 합니다.
저는 새우 대물낚시만 고집하고 하는데요. 새우가 없는 곳은 낚시가게나 근방 소류지에서 잡아서 하는데요.
새우가 자생하지 않는곳도 잘먹습니다.
요새 새우 엄청 커져 감성돔 7호바늘로 어제 밤낚시에서 사용했읍니다. 참고 하세요. 소류지마다 달르겠지만. 평지형 소류지 새우는 엄청 큼니다. 알도 꽉 차있고.
현지에 자생하는 미끼가 좋다고들 하지만... 낚시에 정답이 과연 있을까요.
언제 어디서나 붕어들이 즐겨하는 지렁이.
자연상태에서 과연 붕어들이 지렁이를 먹을 기회가 있을까요?
그 무엇보다 변수가 많은 붕어낚시의 조과.
채비, 미끼, 장소(어느 저수지인지 어느 포인트인지),
수온, 물색, 시간대, 바람, 물때(바다근처의 경우), 달의 밝기, 소음.
단지 어디서 어떤 미끼를 쓰니까 잘 되더라, 안되더라고 말하는 것도
미끼의 종류와 다른 원인들의 절묘한(?)조합이 만들어낸 결과가 아닐까요?
윗분들 의견이 모두 옳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새우가 없는 유료터에서 던져본 경험이 있습니다. 떡밥 사용때 보다는 현저하게 입질이 줄어들었고 주로 작은 미끼에만 입질이 있었습니다. 또 죽은 새우가 조금 더 입질을 받았던것 같습니다. 입질을 받기는 하되 조과는 떨어지는것 같았습니다. 저도 새우 없이는 뭔가 불안한것 같아 출조때 마다 구입해서 사용하지만 요즈음 너무 옥수수에 길들여져 있어선지 조과가 옥수수에 미치지 못한것 같습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