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새우와 징거미의 차이?

10월8일날 밤낚시를 갔습니다. 상류 수초대에서만 낚시를 하다가 이번엔 중류 새물자로 포인트를 옮겨서 했지요. 채집망을 중류 수초에 넣었는데. 상류에서 채집할때는 3~4cm 크기의 징거미가 많이 채집되더니 중류수초대에서 채집을 하니깐 징거미는 없고 2cm정도되는 작은 새우만 무지 많이 채집 되더군요. 상류에서 낚시할때는 붕어는 거의 없고 잉어가 징거미를 물더니 중류에서 낚시를 하니깐 붕어 8치가 한마리 물었습니다. 질문1, 징거미와 새우의 서식처가 이렇게 확연히 다른겁니까? 질문2, 붕어는 징거미와 새우중 어떤것을 더 좋아하는지? 질문3, 징거미가 새우를 더 좋아한다면 이 저수지에 포인트는 중류뗏장수초가 있는 곳인지? 질문4, 무너미는 어디를 말하는 것인지?

안녕하십니까? 험한꾼님!
징거미와 새우의 차이점에 대해 문의를 하셨는데요 일단 징거미도 새우의
한 종류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민물새우의 종류에는 크게 새뱅이새우 종류와 징거미새우 종류로 나뉘어 진답니다.
차이점을 확인하기 위해 각각 나누어서 기술해 보겠습니다.
1. 새뱅이새우 : 새뱅이 새우는 낮에는 수초에 붙어 있다가 밤이 되면
먹이활동을 활발하게 하며 야행성으로 잡식성입니다.
소형의 곤충이나 연한 수초의 줄기 및 뿌리도 잘먹고 그 이외도 밑바닥에 깔려
있는 유기질도 섭취합니다.
산란은 주로 7월~8월에 하며 수명은 1년~1년 6개월 정도입니다.
2. 징거미 새우 : 징거미 새우의 몸길이는 5~6cm,큰 것은 10cm까지 자라며
몸길이의 1.3배 정도 되는 긴 집게발을 가지고 있습니다.
진흙이나 모랫바닥에 서식하고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야행성이기 때문에 밤이
되면 나뭇가지, 돌밑 등 은신처에서 기어 나와 먹이 활동을 합니다.
특히 죽은 물고기나 패류를 좋아하므로 물밑 청소부라고 불립니다.
산란은 주로 5월에 합니다.
* 새뱅이새우와 징거미새우의 차이점이라면 위에서 보신것과 같이 몸길이와
집게다리, 먹이에서 차이가 있다고 보여지네요.
*아래는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질문1 : 징거미 새우와 새뱅이 새우의 서식처는 다르지 않습니다.
그러나 상류에서 징거미가 많이 잡혔던 것은 아마 먹이활동 특성상 죽은
물고기나 기타 징거미가 좋아하는 먹이가 그때 당시 상류에 존재했던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질문2 : 붕어는 징거미 새우나 새뱅이 새우 모두를 먹이로 합니다.
하지만 징거미 새우의 특성상 붕어가 접근할 때 집게발을 사용하여
대적을 하기 때문에 저의 경우는 징거미 새우 사용시에는 집게발을
제거하고 껍질을 약간 벚긴 후 사용을 합니다.
-질문3 : 붕어는 둘 모두를 먹이로 하기 때문에 님이 말씀하신 저수지의 형태,
수심,계절에 따라 포인트를 선정하시는게 맞을 듯 합니다.
-질문4 : 저수지를 보면 물을 저장하기위해 둑을 쌓아 물을 저장합니다.
둑을 쌓아 놓고 둑의 한쪽은 낮게하여 물이 넘쳐서 흘러가게합니다.
비가 많이 오거나 할 경우 물이 넘쳐야 저수지 한계수위를 막을 수
있으니까요.
이 물이 흘러 넘치는 곳을 무너미라고 합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