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새우와징거미..

  • Hit : 3529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4
낚시를 시작한지 3년됬는데 저두 작년부터 마리수보단 4짜의꿈을가진 초보입니다 고수님들 많은지도편달부탁드리고 한가지 여쭤보겠습니다 새우랑 징거미 구별은하겠는데..미끼로서 활용하기엔 부적절한가요 (징거미) 징거미는 새우보다 휄씬 커고 좋던데....너무 초보다운질문이라 죄송합니다

초록벼리님! 반가워요.
징거미도 대물낚시 미끼로 사용합니다. 단 집게발은 제거 하는 것이 대물 붕어의
흡입에 도움이 되겠지요. 새우를 사용한다는 생각으로 미끼를 쓰시면 오히려
새우 보다 큰 씨알의 붕어를 낚을 수 있습니다. 징거미가 많은 곳은 낚시에
있어 어려움이 많으니 포인트로는 조금 아쉬움이 있습니다. 그러나 아깝다는
생각이 드시면 찌 세운 자리 1미터 근방에 큰 사탕 으로 징거미를 모우면
낚시에 도움이 되리라 봅니다. 결론으로 징거미는 훌륭한 대물붕어의 미끼
역활을 합니다. 늘 즐거운 조행으로 자연과 많은 교감 느끼시기 바랍니다.
건강과 안전도 같이 챙기세요...
얼마전 낚시방송에서 들은 이야기인데요.
흰새우와 갈색새우에 비해 검은띠가 나는 새우가 입질이 더디다고 합니다. 증명할수 없지만 낚시꾼의 경험상 그렇다고 합니다.
이유를 따진다면 껍질이 딱딱해서 소화에 부담을 느껴 잘 먹지 않는다는 추측을 하던데요..
분명 한가지 확실한 것은 검은띠가 나는 새우보다 업그레이드 된 놈이 징거미입니다.
4짜 한마리를 노린다면 굵은 징거미로 승부를 볼 만 하겠지만은 일반적으로 월척급 이상을 목표로 한다면 징거미 사용을 그리 추천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아무쪼록 미끼에 대한 믿음을 가지시고 498하세요~~
즐낚하세요
초록벼리님 어서 오십시오.
징거미에 입질을 받는 경우도 가끔은 있지만
징거미를 미끼로 낚시를 하기는 어렵습니다.
몇번의 출조에도 찌가 꿈쩍을 않을 확률이 높습니다.

낙화유수님께서 말씀하신 방송에서 반대로 안내를 한것 같습니다.
새우중에 흰색을 띄는 새우가 나오는 곳이 드물지만 있습니다.
이 흰색 새우는 껍질이 아주 딱딱 합니다.
잡어나 잔챙이의 성화가 심한 때에 흰색 새우를 쓰면 일반새우를
사용할때 보다 긴 시간 동안 미끼가 훼손되지 않고 견딜수 있지요.

잔챙이의 성화가 심한 여름에 이 흰색 새우를 잡으려고
출조전날 밤에 저수지를 헤매기도 합니다.
항상 안전조행 하시고 좋은밤 낚으십시오.
늘사랑님 낚화유수님 물사랑님 감사합니다 ..변변찮은질문에 답변고맙습니다
자연사랑하는 낚시인되겠습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