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선배 조사님들께 자문을 구하고자 이렇게 문의 드립니다. 낚시를 가서 새우 채집을 하면 이것이 새우인지 징거미 인지 구분을 못하겠습니다. 새우와 징거미를 한눈에 알아볼 방법좀 가르쳐 주십시요. 다가오는 즐거운 명절 보내세요...
새우보다 좀더 크고 못생겼슴 ㅋㅋ
5분만 청소,,, 꼬~옥 ^^
징거미새우류에는 징거미새우, 긴발 징거미새우, 로젠베르기 징거미새우, 왕 징거미새우, 한국 징거미새우
등이 있으며 가장 대형종이며 소형 물고기도 잡아 먹을 수 있어, 수조에서 치어나 소형종과 함께 기르면
위험한 경우가 많다. 징거미새우류중에는 번식기에 기수구역에서 산란하는 종들도 있다.
앞쪽에 달린다리가 길며 가재처럼 집게가 달려 있다
2 줄새우
줄새우류에는 줄새우, 흰새우, 줄새우아제비, 태평줄새우, 붉은줄참새우, 그라비아새우, 밀새우, 긴발줄새우,
미야디새우등이 있으며 가장 개체수가 많고 널리 퍼져있다. 가장 식용으로 많이 사용하며, 낚시미끼로도
많이 사용하며, 밤에 새우망을 넣으면 쉽게 잡을 수 있다. 징거미새우보다는 소형이며 다른 물고기의 먹이가
되기도 하나, 수조에서 치어등은 주로 밤에 잡혀 먹힐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3 부새우
동해안의 하천과 호수(경포,향호,포매호등)에는 부새우라는 아주 소형의 민물새우가 있다. 소금물이 약간
섞인 곳을 좋아하며 최대 1 cm 정도의 아주 작은 소형종이다. 봄에 알을 낳으며 대량으로 번식하여
산란기 물고기들의 아주 좋은 먹이가 되며, 영동지방에서는 식용으로도 사용하여 시장에 팔기도 한다.
분류학상 어떤 과에 속해있는지는 알 수 없으며, 앞으로 연구가 필요하다.
4 새뱅이
새뱅이류에는 새뱅이, 한국새뱅이, 제주새뱅이, 얼룩생이, 왜생이등이 있으며, 장소에 따라서는 서식
개체수가 상당히 많다. 집게발이 없고 공격성이 거의 없어 물고기등에게 많이 잡혀 먹힌다.
5 생이새우
생이새우류에는 생이새우 한종만이 있으며 가장 소형종이다. 새뱅이류와 함께 주로 남부지방에 많이 있으며
일반에는 토하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주로 젓등을 만들어 먹는다.
많은 도움이 되었 습니다...
징거미
윗분 사진 참고하면 한눈에 알수 있습니다....
작은것들은 새우인지 징거미인지 언능 알아볼수 없드라구요;;
제가요즘 즐겨다니는 저수지에 징거미 서식하는데요...
처음에는 크기가 적은건 새우인줄알았는데...
나중에보니 그것도징거미 드라구여.
그래서 징거미를 미끼로 사용해보았는데... 뜻밖에 조과를............
34 36 37 모두 징거미로 거둔조과~^
암튼 징거미 많은곳에선 함써볼만하더군요. 단 집게발은 떼구요^^
고기는 못잡아도 이론적으로는 대물조사에 한걸음더 다가선 기분이 드네요 ㅎ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작은것은 새우와 징거미의 구별이 쉽지 않습니다.
집게발이 있으면 징거미
없으면 새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