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하나 질문 드립니다. 4571번과 비슷하지만
궁금하여...
다름이 아니라 발밑 3m ,,옆으로(갓낚시) 2.5m
의 아주 깊은 수심대 입니다.
정방향 옆방향 수심 비슷하여 정방향을 계속 고집하는데
새우로 5회이상 출조하였으나 입질조차 無
떡밥사용시(걍 대물채비에서) 는 잦은 수확이 있었습니다.
왜 생미끼와 떡밥에서 조황이 차이가 날까요????????????
궁금합니다.^^
수심 깊은곳
-
- Hit : 3424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4
토종붕어의 경우는 보통 바닥층에서 먹이활동을 합니다.
대물급일수록 새우등 생미끼를 선호합니다.
그이유는 같은양의 먹이를 먹더라도 생미끼가 더 높은단백질흡수를 할수있는것을
붕어도 알고있는듯합니다.
어두운밤..새우는 보통 연안으로 나옵니다
그래서 수심이 깊은층보다는 새우나 기타수초..육초에 붙어잇는 미생물섭취를 위해 연안에서
먹이활동을 하는것입니다
수심3m 권에서 간혹 생미끼에두 입질오는 경우도 있으나
아주 가끔입니다
보통의 경우는 2m가 넘어가면 생미끼 입질은 보기 힘들다는게 제 견해입니다
수심이 깊은경우에는 생미끼보다는 건탄등의 곡류에서 입질이 활발합니다.
붕어 입장에서 봤을때는 새우는 먹기가 불편했던것 같습니다.
이럴때는 새우를...
머리. 등껍질. 꼬리등을 뜯어내고 새우의 속살만가지고 미끼로 사용을 하십시요.
새우의 속살은 먹기가 부드러우며 떡밥같은 효과가있어 잦은 입질을 유도해낼수 있습니다.
2. 떡밥은 ...
붕어 입장에서 봤을때는 떡밥이 먹기가 훨씬 쉬웠던것같습니다.
떡밥을 먹을때는 그만큼 다루기가 쉽다는겁니다.
그래서 떡밥에는 잦은 반응을 보였던것 같습니다.
그곳의 저수지는...
새우 미끼보다는..
떡밥에 잦은 입질이 있으니 떡밥콩알낚시 위주로 낚시를 해야할것 같습니다.
저수지마다 잘통하는 미끼가 있습니다.
그곳에서 잘통하는 미끼를 알았다면 그미끼를 주 미끼로 사용을 하십시요.
그러다가 상황이 여의치 않을때는 다른 미끼를 사용하십시요.
저 같은경우도 생미끼 입질이 거의 없고 심지어 떡밥도 입질이 거의 없더군요...거기다 수몰나무나 수초가 있어서 낮은지역을 공략하지도 못하고 .......하여 저 같은 경우는 비가 오고 난후 흙탕물이 가라앉은후 다시 공략할려고 합니다...
그리고 이것저것 미끼 다 사용해 본후 특히 잘 통하는 미끼로 밤낚시 공략 해 볼까 합니다....
오늘도 밤낚시 갈텐데 거긴 아니고 다른 작은 소류지로 갈려고 합니다...수초는 없지만 수심이 얇고 새우가 많아서 생미끼 잘 통할듯 하네요...함 공략해 봐야겠어요
특히 쪽지 주신분 더더욱 고마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