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주신 몇 몇분들 연밭에서 낚시를 해보신 분들인지 궁금합니다.
연밭에서 나오는 대물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바다에 떠 있는 빙하가 보이는 것만이 전부일까요?
눈에 보이는 잎과 줄기는 빙산의 일각입니다.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거센 줄기가 미로처럼 얽혀있습니다.
그렇다면 2호 3호 목줄로 강제집행이 가능할까요?
어림 반푼어치도 없습니다.
원줄, 목줄 최대한 강하게 하시고
바늘을 조절하셔야 합니다.
똑같은 지누 5호라도 강도(H)가 좀 약한 것이 있습니다.
평소에 낚시를 하면서 수초를 걸어 지긋이 땡겨보면 바늘이 휘어서 나오는 것을
경험해 보셨을 겁니다. 바로 그런 류의 바늘을 따로 쌈지에 넣어 두셨다가 사용하시면 됩니다.
바늘의 힘은 허립니다.
바늘에서 강도라 함은 허리힘이 전부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제대로 입질을 받고 제대로 챔질을 하면 바늘은 붕어의 입천정에 밖힙니다.
즉, 제대로 받아서 제대로 후킹을 시키면 바늘의 강도는 무의미합니다.
이 때 바늘이 받는 힘은 파단강도 보다 인장강도가 더 많이 작용합니다.
그리고 원줄은,
전천후로 5홋줄을 쓰세요.
질문의 답글들을 볼라치면 어디서는 3호, 어디서는 4호, 어디서는 5호로 바꿔쓰라?
개 풀뜯어 먹는 소릴랑 집어치우라고 하세요.
내림낚시합니까?
과연 그 사람은 그렇게 할까요?
그런 답변하는 사람들은 채비의 응용이라는 교과서만 보고 헛소리하는 자들입니다.
낚싯터에 도착하면 바늘 하나 바꾸는 것도 성가신데 원줄을 바꾼다니...
원줄 2, 3호와 5호의 차이는 몰라도 4호와 5호의 차이는 사람이 느끼는 이질감일 뿐이지
붕어의 입장에선 별반 차이가 없습니다.
평생에 한 번 오는 찬스 놓치고 남의 498에 침흘리지 마시기 바랍니다.
성서붕어님
혹시 제가 청도에서 한 번 뵈었던 분이 아닌지...
연줄기 다 걷어낸 맹탕에서 1.2, 1.6 등등 2칸 미만으로 깔아놓고 낚시하시던 분...
"강제집행할때도 연줄기에 걸리지만않으면 붕어33까진 1.5호줄까지도 목줄로도 됩니다."
연줄기에 걸릴 일이 없으시니 그렇게 쓰셨겠죠.
연잎 두어장 잘라내고 구멍 만들어 장대로 한 번 해보시길...
저는 개인적으로 연밭을 그렇게 좋아하지는 않습니다.
작년 가을 멀리 해남의 신방지에서 하룻밤 세 번의 좋은 입질을 받아 두 번은 연줄기에
감겨 터지고 한 마리 받아낸 것이 39였습니다.
빵이 어마어마한, 한 마디로 시커먼 조폭이었습니다.
제가 자랑코자 하는 이야기가 절대 아닙니다.
이렇게 무식한 채비로도 강제집행이 어려운데 하물며 1.5호 목줄이라뇨?
소정님 님꼐서 말씀하신 칸수는 제스타일상 1대도없고 안씁니다 -_-;
낚시대를 30~28대?정도 가지고있지만.... 비싼대는 아니지만 2.0칸수 이전은 안씁니다.
시기에맞춰 계절 여건상 써야할때도 있겠지만 2.0칸 이하는 절대 쓰기싫은걸 어찌하겠습니까..
그리고 저 청도는 김전지 1군데 이외 가본역사가없네요..
그리고 위에 글보세요 잉어 60도 잡아냈어요-_-;;기준은 분명히 알고있습니다. 제가잡은거에대한 확답이 33붕어였구요
그리고 대물도 걸어봤네요.. 습작조행기에 사진도 올려놨었는데.. 그결과 조용한저수지망쳐서 공개안하죠
그리고 저도 연밭은 별로라 요즘 성주 벽진 왜관 대가 초전위주로 알려지지않은 터 찾아다닙니다.
그리구요 연밭에서 줄기에 5호원줄 5호목줄 써서 아무리 고기를 잡아도요 4짜를 잡던 월을 잡던 대물을 잡던 5짜를 잡던지요
그렇게 고기를 걸었다칠게요.. 줄기를 욍욍 감았는데 그걸 강제집행해서 뽑아내는건 정말 초릿대나 고기부터 먼저 떨어지겠네요
그리고 소정님 연밭에서 연줄기 감은 고기 뽑는것만 생각하시지마시구요
원줄하고 목줄의 (바란스)가 잘맞게 사용하는것이 중요합니다.
되도록이면 경심줄(일반낚시줄)을 사용하십시요.
2. 원줄 : 4호
목줄 : 2.5호
3. 원줄 : 3호
목줄 : 2호
4. 이정도로 원줄과 묵줄의 (바란스)를 맞쳐서 사용하며 수초나 기타 장애물에 걸림이있으면
목줄과 바늘이 떨어집니다.
5. 원줄에는 아무련 지장을 주지않습니다.
낚시대도 손상이 없습니다.
오늘도 수고 좀 하세요 ^^
출근 인사를 먼저 하십니다.
인사가 늦었습니다.
만나서 반갑습니다.
만나면 항상 반가운겁니다.
다음출조때 준비해서 사용해보겠습니다..
보충하자면 연밭낚시시에 채비손실을 염려에두고
목줄이 가는것 2호~ 1.5호정도로 사용하시면 연밭낚시시 목줄이나 바늘쪽매듭이터지고 원줄과 채비들은 무사히 건져낼수
있습니다.
바늘만 새로달고 하면된다는거죠~!
괜히 원4호 목3호 이상 대물채비로 하시다가 바늘이 줄기에 제데로걸려서 낚시대가 부러지거나 초릿대가 날아가서
채비를 전부 일어버리는 일은 없어야겠죠^^
제경우 원줄4호 목줄 1.5로 놉니다. 그래도 월이잡는데는 문제없더라구요. 바늘만 떨어지거나 목줄만 사라집니다.
연밭에서 나오는 대물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바다에 떠 있는 빙하가 보이는 것만이 전부일까요?
눈에 보이는 잎과 줄기는 빙산의 일각입니다.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거센 줄기가 미로처럼 얽혀있습니다.
그렇다면 2호 3호 목줄로 강제집행이 가능할까요?
어림 반푼어치도 없습니다.
원줄, 목줄 최대한 강하게 하시고
바늘을 조절하셔야 합니다.
똑같은 지누 5호라도 강도(H)가 좀 약한 것이 있습니다.
평소에 낚시를 하면서 수초를 걸어 지긋이 땡겨보면 바늘이 휘어서 나오는 것을
경험해 보셨을 겁니다. 바로 그런 류의 바늘을 따로 쌈지에 넣어 두셨다가 사용하시면 됩니다.
바늘의 힘은 허립니다.
바늘에서 강도라 함은 허리힘이 전부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제대로 입질을 받고 제대로 챔질을 하면 바늘은 붕어의 입천정에 밖힙니다.
즉, 제대로 받아서 제대로 후킹을 시키면 바늘의 강도는 무의미합니다.
이 때 바늘이 받는 힘은 파단강도 보다 인장강도가 더 많이 작용합니다.
그리고 원줄은,
전천후로 5홋줄을 쓰세요.
질문의 답글들을 볼라치면 어디서는 3호, 어디서는 4호, 어디서는 5호로 바꿔쓰라?
개 풀뜯어 먹는 소릴랑 집어치우라고 하세요.
내림낚시합니까?
과연 그 사람은 그렇게 할까요?
그런 답변하는 사람들은 채비의 응용이라는 교과서만 보고 헛소리하는 자들입니다.
낚싯터에 도착하면 바늘 하나 바꾸는 것도 성가신데 원줄을 바꾼다니...
원줄 2, 3호와 5호의 차이는 몰라도 4호와 5호의 차이는 사람이 느끼는 이질감일 뿐이지
붕어의 입장에선 별반 차이가 없습니다.
평생에 한 번 오는 찬스 놓치고 남의 498에 침흘리지 마시기 바랍니다.
개풀뜯어먹는 소리라구요?
목줄 2호 3호? 어림반푼어치없다고요?
님께서 모르시나봅니다. 저는 연밭시에 목줄1.5호 일반수초시에 3호목줄 씁니다
그런데 무조건 높은호수목줄? 님이야말로 정말 초보꾼이시군요..
강제집행할때도 연줄기에 걸리지만않으면 붕어33까진 1.5호줄까지도 목줄로도 됩니다.(연밭낚시로잡아본걸로 확답입니다 )
잉어경우 60까지 걸어냈습니다 1.5호로요!
님은 대물낚시로 얼마나큰 고기를 걸어내시는지 모르겠네요~! 미터급이라도 잡으시나 봅니다?
그리고 연밭에서 높은호수 목줄이 최고? 3호이상돼면 연밭 줄기걸을시에 목줄이 안터집니다.
3호이상 목줄부턴 연줄기 바늘이 제데로 걸리면
원줄이나 초릿대나 초릿대실이나 봉돌부분매듭부터나 어디가 날아갈지모릅니다.
그런데 무조건 높은목줄호수로 하셔야된다고 주장하시고.. 자신의주장과 반대는 다들 개풀뜯어먹는소리하는건가요?
여기에 낚시를 해도 님보다 적게한분은 없다고봅니다. 그리고 대물낚시에 계절에따라 바늘이 바뀌는것이지
연밭가실때마다 바늘 바꾸시나봅니다?
여기에 글을 다 자세히 읽어보시죠?
연밭낚시시에 채비에 손실 가장안주는방법을 설명해뒀습니다.
모르면 배우세요.. 님글을보니 답답할뿐입니다.
님께서 원줄을 무조건 5호? 원줄이야 3호이상 쓰면 됩니다. 보통은 4~5호 마니쓰죠
그런데 원줄까지고 머라고 합니까? 목줄얘기중인데 원줄을 누가바꿔요?
여기댓글중에 원줄 어디에서는 몇호? 어디에서는 몇호? 바꿔라는 글있습니까?
눈이달렸다면 제데로읽고 댓글다시죠.. 짜증납니다.
글도 제데로 안읽고 개풀뜯어 먹는소리라는둥~, 동문 서답을 하지않으시나, 거기다 낚시의이론만 안다구요?
님보다 낚시는 더마니다녔을거같고. 더마니경험해본듯한데. 빈수레가 요란하다고 요란떨지마십시요.
댓글다실때 글부터 제데로읽고 댓글다시죠~! 님이야말로 지금하는행동이 개풀뜯어먹는짓입니다.
낚시대 손상이 가더라도 원줄5호에 목줄 5호 갇이 쓰셔야
연밭에서 대물걸어을때 이길수 있읍니다
바늘이 연줄기에 걸려 두려움이 있다면 연밭에서 대물낚시 포기 하십시여
과감이 공격형으로 낚시를 구사해야 됩니다 원줄5호에 목줄5호 쓰시면 연줄기 뽑혀혀 나옵니다
그정도로 채비 하시길 ~~
혹시 제가 청도에서 한 번 뵈었던 분이 아닌지...
연줄기 다 걷어낸 맹탕에서 1.2, 1.6 등등 2칸 미만으로 깔아놓고 낚시하시던 분...
"강제집행할때도 연줄기에 걸리지만않으면 붕어33까진 1.5호줄까지도 목줄로도 됩니다."
연줄기에 걸릴 일이 없으시니 그렇게 쓰셨겠죠.
연잎 두어장 잘라내고 구멍 만들어 장대로 한 번 해보시길...
저는 개인적으로 연밭을 그렇게 좋아하지는 않습니다.
작년 가을 멀리 해남의 신방지에서 하룻밤 세 번의 좋은 입질을 받아 두 번은 연줄기에
감겨 터지고 한 마리 받아낸 것이 39였습니다.
빵이 어마어마한, 한 마디로 시커먼 조폭이었습니다.
제가 자랑코자 하는 이야기가 절대 아닙니다.
이렇게 무식한 채비로도 강제집행이 어려운데 하물며 1.5호 목줄이라뇨?
참고로 대물낚시에서의 통상 대물은 35센티 이상을 말합니다.^^
낚시대를 30~28대?정도 가지고있지만.... 비싼대는 아니지만 2.0칸수 이전은 안씁니다.
시기에맞춰 계절 여건상 써야할때도 있겠지만 2.0칸 이하는 절대 쓰기싫은걸 어찌하겠습니까..
그리고 저 청도는 김전지 1군데 이외 가본역사가없네요..
그리고 위에 글보세요 잉어 60도 잡아냈어요-_-;;기준은 분명히 알고있습니다. 제가잡은거에대한 확답이 33붕어였구요
그리고 대물도 걸어봤네요.. 습작조행기에 사진도 올려놨었는데.. 그결과 조용한저수지망쳐서 공개안하죠
그리고 저도 연밭은 별로라 요즘 성주 벽진 왜관 대가 초전위주로 알려지지않은 터 찾아다닙니다.
그리구요 연밭에서 줄기에 5호원줄 5호목줄 써서 아무리 고기를 잡아도요 4짜를 잡던 월을 잡던 대물을 잡던 5짜를 잡던지요
그렇게 고기를 걸었다칠게요.. 줄기를 욍욍 감았는데 그걸 강제집행해서 뽑아내는건 정말 초릿대나 고기부터 먼저 떨어지겠네요
그리고 소정님 연밭에서 연줄기 감은 고기 뽑는것만 생각하시지마시구요
소정님꼐서는 낚시하실때 연밭사이에 구멍에서 낚시하실때 실수로 연줄기나 연잎 거신적 없으신가요? 밤이든 낮이든
바람이불든 어떤때든지요. 그럴때 5호목줄 5호원줄 4호목줄로도 줄기 뽑히기도 합니다
그런데 제데로 걸려서 죽어라해도 안떨어지면 그떄는 어떻게 하십니까? 물에들어가시나요?
연밭치기님꼐서 채비 손실없게 하고싶다고 질문을 던지셨습니다. 방법을 알려달라구요.
그래서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그런데 어느한분은 채비손실 걱정이면 대물접어라
또 소정님꼐서는 연밭치기님의 고민을 읽으셨음에도 낚시말로만 하냐는둥 비판만 하셨자나요...
줄기에 걸리면 5호든4호든 강제진압경우 수릿대가 날아가거나 고기가 떨어지거나 입니다.운좋으면 잡겠죠
고기가 줄기를 풀고 딸려올경우 강제진압이 성공돼죠. 그게아닌이상 강제진압으로 고기 + 연줄기를 다같이 뽑아낼수있을까요?
안걸리거나 연에서 빠져나와야 뽑아내겠죠? 그렇게따지면 케브라합사 1.5목줄로도 줄기에 걸리지만않으면 60잉어도 걸어냅니다.
설사 걸려도 기다려보거나 , 낚시대방향을 틀어본다던지해서 감은 줄기를 풀고 나오길 기다리는 방법도 있잖아요?
제말뜻은 이뜻입니다. 연밭치기님은 채비손실걱정돼서 묻는질문에 저나 다른분들이 드린답변이고
그런데 님꼐선 저나 다른분의 글을 보고 반박하셨고, 또다른분은 채비손실 겁나면 대물낚시 접어라 라고 말씀하시고
글을 이해를 못하셨는지 저로서는 답답하네요.
만약에 제가 글을 올렸다고 치죠
님들 제가 찌가 고가라서 연밭낚시하는데 연에 걸려서 자꾸 원줄 5호 목줄4호인데도 채비에 손실와서 고가의 찌를 잊어버립니다
채비에 손실없고 찌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낚시할방법 없을까요? 라고 묻는다면
님께서는 방법을 알려주시지않으시겠어요? 위에 다른한분답은 대물낚시 접어라 라고 말씀하시네요.
그러니 제가 흥분해서 위에 글처럼 올렸네요..
제글 기분나쁘셨다면 죄송합니다... 저는 지식을 얻어가는곳에서 상대방이 원하는 지식중 하나를 줄뿐!
싸우자고 댓글다는건 아니니 오해는 없으셨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