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하세요.. 제가 자주 가는 곳이 있는데.. 항상 갈때마다.. 긴대.. 40대에서만 입질이 오며.. 대물도 40대에서만.. 잡히네요.. 이상하게도.. 긴대에서만.. 잡힙니다.. 입질도 긴대에서 많이 오고그래서.. 지금 35대 2대, 40대 2대에.. 30대 4대, 25대 2대, 20대 1대 있는데.. 짧은데는 입질도. 잔챙이 입질만 오고 그래서.. 전 피고.. 3~4시간 지켜보고 입질이 긴대에서만 오고 그러면.. 짧은대.. 괜히 폈다는 생각이 들어요.. 수초가 없는 곳입니다.. 짧은대가 무족건 않좋다는 말은 아닙니다.. 의외로.. 수초 많은곳에서는 짧은대가 편하면서도 입질이 잘오기도 합니다. 하지만.. 수초 없는곳에서 낚시를 많이 하는지라.. 40대 이상으로 2대 더 장만 할려고 하는데.. 제가 다이아플렉스조선경조대를 보유하고 있지만.. 40대 까지는 앞치기 할만한데 그이상 올라가면 무게감 때문에 조금 힘들꺼 같아서.. 신수향이 낚시대가 가벼운거 같은데.. 맞나요? 44대는 조금 짧은것 같고.. 47대, 51대, 55대 전부 앞치기 가능 한가요?
줄은 조금 짧게 맬려고 합니다. 앞치기 가능한 가장 긴대 살려고 합니다.. 부탁드립니다.. 사용하고 계신분 조언 부탁드립니다..
혹시 신수향 말고.. 튼튼하면서 가볍고 앞치기 가능한 가장 긴대 추천도 부탁드립니다..
신수향 낚시대.. 47,51,55대 앞치기 가능 한가요?
-
- Hit : 6698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27
44대를 넘어가면 앞치기 어렵습니다.
처음 몇번은 가능할지 모르지만 안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저는 불가능 하다고 생각됩니다
아무리 짧게 원줄을 잡는다 해도 다소 어려울듯합니다..
둘러 치기며 몰라도요~
찌는 너무 고부력으로 가시면 더 힘들어 짐니다...
7호 정도가 가장 좋을듯합니다..
개인소견 입니다.. ^^
대신 잦은 투척시 엘보옵니다.
키가 180이상- 90키로에 거구이신분들은 4.7칸도 거뜬하고 그 이상도 가능합니다.
키가 크시고 떡대가 되시면 4.7칸이상 장대에 도전해보세요.
평균키면 힘듭니다.
그러나 엘보 생각하셔야죠/
한 두달 낚시 하실것도 아닌데....
그렇게 긴대에 입질이오는 포이터이면, 중형 좌대를 설치하시면
40대로 47대 이상 효과를 볼수 있지않을까 싶네요...
44부터가 문제 인데,
많이 사용 하는 드림,큐,독야,신수향, 수향 경조 보다,
설골, 동춘 브이,다이야명파,vip제왕이 조금 편하더 군요
거론 하신 신수향은 40까지만 무난 하다고 생각 합니다
44이상은 생산이 않되는 품목 들이 많은데,
값도 비싸고 수요도 많지 않아서 생산을 안하는 추세라 생각 합니다
44의 느낌이 좋아야 그 이상의 대들의 판단에 참고가 될듯 합니다
제가 보통체격이라 본다면
설골을 52까지 앞치기 합니다
연습이나 요령도 필요 하고
찌를 발사재질로 쓰는데, 찌는 가볍고 봉돌은 무거워 (8~9호)
바란스상 잘 날아 갑니다
원줄도 4호 미만이 캐스팅에 수월 합니다
이른바 고급대들은, 일부 52까지 나오는데
그중 설골이나 체어맨 시리즈, 동춘 브이가 그 나마 낳다고 봅니다
44이상의 대들은 어차피 다루기 쉽지 않다고 생각 하시고
기대만큼 충족되는 대들은 없다고 봅니다
추천한 대들은 그나마 조금 다루기 낫다고 생각 될뿐 입니다...
40까지만 사용합니다 40도 일년에몇번 사용....
즉 맹탕이죠.
맹탕이면 무조건 장대로 준비해야 됩니다.(40대 이상, 최소36대)
앞치기는 일단 44대까지 윗분들 말씀처럼 원줄을 짧게메서 투척하시고, 47과 51 그리고 55대까지 포인트에 사용하려면
아래와 같이 해보시기 바랍니다.
[장대 투척방법]
1. 봉돌 7~8호정도 선택하시고, 원줄을 바턴대(손잡이대)마큼 짧게 메신후 휘둘러치기(후려치기)로 투척.
2. 혹시 휘둘러치기가 불가능하다면(후면 나무, 전선, 석축 등등) 솔채를 이용하여 투척.
3. 솔채도 불가능하시면 낚시대를 받침대에 놓으시고, 찌와 봉돌 즉 채비만 손으로 잡으시고 앞뒤로 흔들어서 원하시는 곳에 투척.
도움이 되었으면 하네요.
현재 48대까지 운용하고있습니다...
바람만 불지 않는다면 할만할뜻 합니다... 저는 신수향은 아니고 독야대 사용중입니다..
줄은 손잡이대만큼 짮게 묵고하는데 할만합니다.. 신수향은 해보지 않아서...
참고로 연습하시면 됩니다... 저는 연습해서 되게 만들었습니다..^^
44 47 앞치기 됩니다. 근데. 원줄 손해보는 느낌있어서...
앞치기 잘되고 뻣뻣한 대 알아보시는게 어떨까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낚싯대 손잡이 밑에를 똥배 위에 바치시고
앞치기 하시면 될때도 있습니다.
하지만 배가 아파요..
봉돌은 7~8호정도 쓰고잇구여 단점이라면 수심맞출때와 잔챙이 덤빌때 몇번 떤지면
나중에 어깨와 팔에 엘보옵니다.. 1박정도는 가능하나 2박 3박 ..??? 죽어요 ㅋㅋ
줄은 낚시대 한절정도 짧게 매시구요
자신감을가지고 해보세요.
저도 184cm 에73kg나갑니다.
신수향 51칸까지는 어쨌거나 앞치기합니다.
신수향 55칸 힘들지요. 수면보다 2m터 높은석축이나 제방위쪽은 바람안불면 가능하구요.
도전해보세요. 장대낚시 아주 묘한매력있지요.
50대 52대 가지도 앞치기가 됩니다.
회전 통초릿대로 바꾸니 밤에 낚시줄의 꼬임도 없어졌습니다.
회전 통초릿대는 천류회사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장대일수록 힘으로 앞치기 하지말고
대탄성을 최대한 이용하세요..
한번에 힘을 주지말고 봉돌이 수면에 수직이 되는 순간
대를 앞으로 쭉 펴주는 느낌으로 해보십시오..
봉돌이 너무 무거워도 밑으로 쳐져서 힘들더군요..
낚시터에 가봐도 신수향 쓰시는 분 들 앞치기 땜에 힘들어 하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