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초낚시라고 하시니 낚시대는 당연히 경질대일거라고 생각되네요
이방인님이 이야기 하신대로 낚시대가 혹시나 부러지질 않을까 하는 생각은 버리시고, 완전 강제집행으로 끄집어 내는 방법뿐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다만 강제집행은 확실한 대물입질일 경우에만 하시길 바랍니다.(붕어 주둥이 찢어집니다 ㅎㅎ) 올해는 498하실길....
얼굴보고파님! 안녕하세요.
먼저 대물사랑님의 좋은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보통 붕어는 챔질이 되면 안전한 수초대나 은신처가 될 수 있는 곳으로
신속히 이동합니다. 주변에 장애물이 많은 곳의 낚시에서는 챔질과 동시에
수직으로 들어올려야 주변의 장애물에 홀딩되지 않습니다. 강력하고 빠른
동작으로 들어올리는 방법 밖에 없습니다. 느긋함을 주다가는 대물붕어는
그대로 장애물로 파고 들어가므로 채비의 손실을 감당해야합니다.
그리고 뒤로 물러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강하게 수직으로 들어올려
수초대위에 올려 놓는 것과 공기를 두어번 마시게 하면 붕어는 항복을 하게
되어 있습니다. 모든 챔질에 신속함이 요구됩니다.
경질의 낚시대와 강한 줄과 강한 바늘의 사용으로 먼저 장비에 대한 자신감을
부여하시어 항상 빠르고 강한 수직의 챔질과 들어올리기를 권합니다.
미력한 답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올해 498의 낚음을 바랍니다. 늘 조행에 무탈과 즐거움을 함께 누리십시요.
줄을 최대한으로 짧게 매셔가지고 입질과 동시에 두손으로 뽑아버리십시요
그럼 날아올것같은데
이방인님이 이야기 하신대로 낚시대가 혹시나 부러지질 않을까 하는 생각은 버리시고, 완전 강제집행으로 끄집어 내는 방법뿐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다만 강제집행은 확실한 대물입질일 경우에만 하시길 바랍니다.(붕어 주둥이 찢어집니다 ㅎㅎ) 올해는 498하실길....
첫째는 입질이 왔습에도 불구하고 찌가 옆으로 끌때 챔질을 하시면 분명히
수초대로 돌진합니다.
뒤에 언덕이 있고 앞에 땟장수초가 있다면 대물을 끌어내기가 조금 힘들어 지는
게 사실 입니다.
둘째 타이밍을 잘잡아야 합니다. 입질이 오면 분명히 예신이 들어오고 곧이어
본신이 들어옵니다. 본신이 올때 대물은 두마디 정도 느리게 올립니다. 찌가..
두마디를 올리고 멈출때 챔질하시면 대물을 끌어낼수 있습니다.
두마디를 올리고 멈칫할때는 대물이 미끼를 흡입하고 주둥이를 물밖으로 일직선
과 같은 방향 즉,, 물의 저항을 가장 적게 받는다는 것입니다. 이때 챔질하시면
물밖으로 대물이 별저항없이 쉽게 나올수 있지만..
찌를 옆으로 끌때는 대물이 새우를 흡입하고 머리를 돌려서 강한 저항을 하기때문
입니다.붕어들은 옆으로 째는 습성이 강하기때문에 머리를 돌릴때는 강한저항
으로 수초대로 돌진하는 경향이 아주 많습니다..
그리고 향어나 잉어는 걸면 무조건 깊은쪽으로 돌진하기때문에 대를 세우는게
우선입니다. 붕어는 걸면 옆으로 째고 잉어나향어는 곧바로 깊은수심대로 돌진
하는 습성이 있기때문에 깊은수심대로 고기가 짼다면 잉어고 옆으로 줄을 짼다면
붕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음엔 두마디,아니면 세마디의 입질이 있을때 멈칫하고 멈출때 강하게 챔질하시
면 틀림없이 대물의 얼굴을 볼수 있을겁니다.,좋은 조행 되시길.. ^*^
먼저 대물사랑님의 좋은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보통 붕어는 챔질이 되면 안전한 수초대나 은신처가 될 수 있는 곳으로
신속히 이동합니다. 주변에 장애물이 많은 곳의 낚시에서는 챔질과 동시에
수직으로 들어올려야 주변의 장애물에 홀딩되지 않습니다. 강력하고 빠른
동작으로 들어올리는 방법 밖에 없습니다. 느긋함을 주다가는 대물붕어는
그대로 장애물로 파고 들어가므로 채비의 손실을 감당해야합니다.
그리고 뒤로 물러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강하게 수직으로 들어올려
수초대위에 올려 놓는 것과 공기를 두어번 마시게 하면 붕어는 항복을 하게
되어 있습니다. 모든 챔질에 신속함이 요구됩니다.
경질의 낚시대와 강한 줄과 강한 바늘의 사용으로 먼저 장비에 대한 자신감을
부여하시어 항상 빠르고 강한 수직의 챔질과 들어올리기를 권합니다.
미력한 답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올해 498의 낚음을 바랍니다. 늘 조행에 무탈과 즐거움을 함께 누리십시요.
저같은경우에 대물입질을 기다리다가
이거다싶으면 챔질할때 챔질과 끌어냄을 따로하지않고
어릴때 자치기하듯 번쩍들어올려서 뒤로넘긴다는 생각으로
한동작에 끝을내려고 노력합니다.
잔챙이 붕어는 당연히 주둥이가 터지거나 뒤로넘어가지만
여덟치이상의 붕어는 내앞에 떨어지는것을 몇번보았습니다.
수초가 빽빽한곳일수록 챔질의 타이밍과 강제집행이 중요한데요,
요행으로 수초를피해서 끌어냈다고해도 바로앞의 땟장속으로 파고드는경우가
많습니다.
제경험인데, 4.0칸대의 긴대에서 요행으로 수초를피해 바로앞까지
잘끌어왔는데 발밑의 땟장속으로 감는바람에 놓친경우가 허다했습니다.
이럴때는 뜰채도 별도움이 되질않습니다.
가장좋은방법은 앞에조사님이 말씀하신것처럼 원줄을 한뼘이상 짧게메시고
챔질과 집행동작을 크게하여 뒤로넘긴다는생각으로 들어올리면
괞찬을것 같습니다.
멋진봄날을 기대하시면서 안전조행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