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얼레채비 문의

일반적으로 얼레채비는 한목찌맞춤에 영점잡고 한목-두목 내놓고 낚시하면 봉돌은 떠있고 바늘만 닿아있는 상태가 되고..

반얼레채비는 케미고무하단에 영점을 잡고 한목 내놓으면 봉돌이 바닥에 닿는다고 보았는데요

얼레든 반얼레든 똑같이 한목씩만 추가로 내놓았는데 얼레는 봉돌이 떠있고

반얼레는 봉돌이 닿아있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영점을 잡은건데 왜 차이가 나는지 당최 모르겠네요


어느 분이 하신 말씀인지는 모르지만, 낚시의 찌밎춤은 비레한다고 합니다.

물은 유체로써
찌톱을 많이 올릴수록 수중의 봉돌도 가벼워지며,
찌톱을 많이 내릴수록 수중의 봉돌도 무거워지는 원리입니다.

일목찌맞춤과 케미꽂이하단찌맞춤을

2목과 1목을 수면에 노출하여도 목줄의 슬로프각도는 각각 봉돌의 무게로 인하여 달라지는 것입니다.

즉, 찌맞춤을 무겁게하면 목줄의 슬로프는 직각에 감가워지는 것입니다. 물이라는 유체의 특성을 잊으신 듯 합니다.
얼레채비는 케미고무 상단에서 영점을 잡아 봉돌이 떠 있게 하고
반얼레채비는 케미고무 하단에서 영점을 잡아 봉돌이 바닥에 닿게 하여 서로 다른 입질 특성을 갖습니다.
유튜브보니까 얼레채비는 찌목1마디에 영점잡더라구요..
영점을 어느위치에 잡느냐에 따라서 봉돌위치가 왜 변하는지 궁금합니다.. 찌맞춤한 위치에서 한목내놓는건 똑같은데 말입니다..
지나다 보니, 갑자기 어떤 낚시방송 진행자가 상품을 홍보하면서 했던 말이 떠오르네요.

ㅇㅇㅇ : "좋은 신제품(자기가 독점으로 파는 제품)이 나왔는데요."
ㅇㅇㅇ : "이게 왜 좋은 거냐?고 많은 분들이 묻는데요! 어쨌든 좋은 겁니다."
ㅇㅇㅇ : "써보시면 압니다!" "그래도 모르시면 어쩔 수 없구요!"

이런 말...아무런 설득력이 없지 않나요?
근거가 명확하지 않으면 믿지 않는 게 좋은 편이죠.
하지만, 이런 말에 현혹되는 분들도 상당히 많습니다.

지금도 세상에는
지구는 평편하고, 온 우주가 지구를 중심으로 돌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죠.
지금 이 글에도 괜히 말했다가, 갈릴레오처럼 공격 당하는 일이 생기지 않을까? 하여, 댓글 쓰기를 주저하는 사람들이 많을 겁니다.

수조통에서 왜곡되어 관찰된 그림이,
실전에서도 똑같이 나올 거라고 생각하는 함정에 많은 낚시인들이 빠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도 "채비 연구는 수조통으로 하지 말고, 채비 설명도 하지 말아라!!" 자주 언급하는 편입니다만.
의구심을 품으시는 내용에 대해서 명확한 분석을 하려면,
설명 받는 분도 어느 정도 물리, 수리학적인 이론이 정립되어 계신 분이어야 하며,
설명해주는 사람도 수치적으로 계산하여, 계산된 결과 값으로 증명해줘야 할 겁니다만.
하지만, 그게 쉬운 일은 아니죠.

전에 제가 간단한 바닥낚시채비와 분납채비에 대해 기초 영상(1편과 2편)을 만든 적이 있는 데.
두 영상을 합쳐서 3시간이 훌쩍 넘더군요.
단지 기초 영상이고, 가이드 라인일 뿐인데.
"왜 이렇게 복잡하고, 어렵냐?" 고 하시는 분들도 많더군요.
이미 잘 아는 경지의 사람이 보면, "알아듣기 쉽게 조목조목 계산된 결과 값을 보여주면서 설명을 잘 해 놨구나!"라고 생각한 분들도 계실 겁니다.
"수십년 낚시하면서 미쳐 생각조차 해보지 않았던 부분인데. 새로운 것들 몇가지 알고 갑니다." 하시는 분들도 계시더군요.

수십년 낚시를 해도, 어디 고기 잘 나오는 데 없나 수소문 하며, 쫒아 다니기 바쁜 낚시로 그 세월을 다 쓴 낚시인이 있을 수도 있고,
단. 1~2년을 낚시했어도, 의문과 의구심을 품고 깊이 고찰하는 낚시인도 있을 겁니다.
아무쪼록 좋은 탐구생활 되시길 바랍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