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역시 갓낚시의 명인 서찬수님..ㅋㅋ

오늘 첫방송인데 역시나 월척특급에서 보기힘든 월척을 연달아 낚아내시는군요 많이 보고싶어습니다 앞으로 멋진 장면 마니 기대할게요..화팅...!!!!!!!!!!!!!!!!!!!!!!!!!!1

저도 봤는데요 목줄채비가 궁금하네요
안내병 채비라고 했나?
아시는분은 한수 부탁드립니다
저도 몬봤어요 하지만 찬수아제 낚시잘하죠 명인이라해도 과언아니죠

근데 우리끼리 얘기지만 FS tv 에 나오시는분들..

거의다 고수지만 낚시꾼 이라기보다 장사꾼 이랄수 있는분도 많죠.....

누구라고 말할수는 없지만 아시는분은 다알겁니다 ㅎㅎㅎ
전 찌도 궁금하던데요??

일반적인 대물찌 모양은 아닌것 같고...

찌내림도 조금 느리고, 찌 톱이 조금 높더군요...

목절 채비도 궁금하고요...
찌는 서찬수 안테나찌라고 저두 2개잇는데 아직 사용하지못햇어요...플라스틱같은데 재질이 뭔지는 저두 모름..ㅋㅋ
서진이나 붕어하늘 등에 가면 보실수 있구요
아마도 F303 모델이 구형이구 F300 모델이 신형일겁니다
찌재료는 발포우레탄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부력이 좋은 재료입니다
붕어안테나 제질은 우레탄 제질데요.

저도 작년에 서찬수님께 반해서 10개 써봤는데 낚시대케이스가 작으면 찌를 분리하지않고 케이스에

넣을경우 찌몸통이 눌려서 파손되는 경우가 있습니다.저도 3개나 가방안에서 지들끼리 눌려서 해먹었네요.

저도 목줄채비 궁금합니다.여기저기 뒤져봐야겠습니다.
fs-tv가 안나와서...인터넷으로 다시보기 있나요?
기대보다는...
갓낚시의 전통 올림낚시도 아니고 내림인듯
찌가 오르지 않고 내려가는 입질이던데
계절이 겨울이라서 채비의 변형인지....
아시는 분 코멘트 부탁드립니다.
욕심인지 모르겠지만

요즘은 협찬을 받으시는지 예전만큼 자연과 융화되는 모습은 조금 퇴색된듯 한...
어제 못봐서 오늘 재방송하는거볼려구요 ,,
어제 꿈에 중후한찌올림을 봣는데 ,,, 너무흥분해서 잠에서깬...
아~,, 겨울이라 낚시하러도몬가고 ,,, 서러워 죽것네여 ,,ㅋ
부산두 fs-tv는 안나오는데~~

한번 보구 싶네!!!
제가 이사가고 가장 마음에 든점이

지역 케이블에 F-tv가 나온다는 점이였죠 ㅎ

어젠 야근하느라 티비도 못봤는데 찌올림 함 봐야쓰겄네요
어제 마지막부분에만 봤네요.

월척급과 준월척...함양권은 저수지에 얼지를 않았나보네요.

부럽습니다.

서찬수님 가신곳에 초토화 되지않기를 바랄뿐입니다.
서찬수님이 사용하는 채비가 아마도 옥수수내림일겁니다...
언젠가부터 옥내림에 푸~욱 빠지셨다고 하더라구요...
운영술은 조금 틀릴지 몰라도 채비는 아마 똑같을겁니다...
찌가 빨려들어가면 거의 내림 채비 아니겠읍니까....ㅋㅋ
암튼 내림이든 뭐든 월척하셨다니....대단하신분 맞는듯 합니다....
목줄길이가 한 30cm정도는 되어 보이던데........

채비의 다양함과 조과는 분명하지만

월척특급 같은 찌맛을 잡아주지 못해 아쉽더군요`
절대 갓낚시는 내림이 아닙니다...ㅋㅋ

말그대로 갓낚시일뿐이죠

첫번째가 턱사골취 입니다
이것을 잘해석하면 찌의 움직임이 틀리다는것을 알수있습니다

두번째가 원천근심인데요 초저녁 얕은수심(60cm)이하를 노리는거죠...
물론 시간대별 수심공략층은 달라집니다.

세번째로 주만부취라 할수있는데요
곶부리보다는 만입부를 노리는 포인트선정이라 할수있습니다

더많이 있습니다만 찌의 움직임만을 해석한 주관적인 해석입니다.

일반 조사님들이 생각지도 못하는곳에 찌를세우고
오로지 생자리와 오지만을 찾는그에게 찬사를 보내며
저에게 또다른낚시를 가르쳐준님에게 항상 감사드립니다^^









일반 낚시꾼들이 노리는 지형과는 틀리기 때문에
제가 볼때는 내림의 일종인 슬루프같던데요..
찌의 입수과정이나 입질시 찌의 움직임으로볼때 분명 고부력찌로 슬루프낙시를 하는것같은데요..
제가 보기에는 안내병 채비라고 하신거 같은데...안내병 채비가 뭔지는 모르겠구요

목줄을 길게 쓰고(옥내림같이) 윗바늘은 바늘다셨고, 아랫바늘에는 뭔지 모르겠지만 부력이 나가는거라고 말씀하셨던거 같습니다.

찌를 길게 내어 놓은거 또는 1목 내어놓은거 등등....

대물찌로 영점맞춤해서

슬로프 또는 바늘 띄우신거, 또는 바늘이 바닥에 닿을락말락한 채비 등등..(찌톱의 길이가 전부 틀려서)이 아닐까

조심스럽게 예측해 봅니다......

근데 긴 목줄끝에 단게 뭔지 모르겠네요....생김새는 꼭 실리콘 찌고무같이 생겼던데.....부력이 나간다고 했는데....

저도 궁금하네요..^^
서찬수님의 매력은 소탈함이겠지요
꾸밈없는 자연그대로의 소탈함이 늘 좋아보입니다

안내병채비는
채비의 함몰을 우려해 바닥에 봉돌을 달고 그위에 바늘을 따로단 형태로 보이던데
고부력채비를 쓰면서도 입질의 예민함을 볼수있는 장점이 있는것 같습니다
어찌보면 덧바늘 형태와도 유사한 면이 있을것같고
좁쌀봉돌채비처럼 바늘을 띠워주는 역할을 해 둔한 입질을 예방해주는것 같습니다
서찬수님의 낚시

열정에 찬사를 보냅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화이팅 하세요~
서찬수님 아주 대단한 분인 것은 확실한 것 같습니다.
갓낚시를 고한하여 월척의 특성 파악으로 출조시 월척은 꼭하시는 것 같습니다.
조금 아쉽다면 서찬수씨 출연 프로그램은 입질 장면이나 찌 반응 장면이 항상 아쉽네요...
안테나찌를 사용해도 조금 입질 반응을 자주 챔질이후에 보여 주는 것 같은 느낌입니다.
일종의 슬로프 낙시 비슷한거 같은대
한쪽은 바늘대신 좁쌀봉돌이나 도르레 를 달아서 바닥에안착시키고
한쪽은 바늘을달아서 바닥에 살짝 얹히도록 하는거 같네요..
자갈밭이나 마사토 등 멩탕에는 확실한 조과가 있죠...
새벽4시에 우연찮게 방송봤는데....

월척특급 시즌3 첫방송이었던걸로 기억됩니다

바닥 채비에서 내림(찌)이된 이유는 봄/가을 청태때문에

청태가 쌓여있는 만큼 위쪽에 8자 매듭을 하고 그기에 바늘을 다시더라고요(가지바늘 채비...?)

그러니 입질이 당연히 끌고 들어가고... 일종의 지형여건에 따른 채비변형 인듯.

말그대로 바로 입질이 왔으니까요. 찬수아재 역시 대단!
낚시티브안나와서요,,수년지난 프로그램.케이블로 보고잇읍니다
님 쫌 짱인듯..
대물채비에 내림을 쫌 접목하신듯..
김태우씨도 그렇고,대세를 따르는듯..
그래서 올림보다 가져가는 입질형태가 많은듯..
소탈한 서찬수님 쵝오^^
재방송이라도 보고 싶은데.. 볼수가 없네요...
허송님의 갓낚시 기법은...

무식하리만큼 원줄과 목줄은 같은 굵기로 5~6호정도를 사용하여
바늘은 감성돔 7호를 사용하여 수중의 덕을 최고의 포인트로 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연안 수심 낮을곳을 찾아 초저녁을 노리를 낚시를 구하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입질을 받기 어려운 동절기에는 환경에 맞는 채비변화를 주는 현실파의 낚시를 하고 있답니다



안내병 채비는 ...

목적 : 수초지대나 바닥이 지저분한 곳에서 채비 내림을 용이하게 하고 미끼의 함몰을 예방
봉돌 : 고리봉돌이나 편납을 사용하여 내림처럼 바닥에서 띄움
목줄 : 일반 대물낚시보다 조금 길게하여 외바늘을 사용함
안내병 : 바늘을 맨 목줄보다 길게하여 찌꼬무를 연결하고 찌고무에 좁쌀봉돌이나 조개볼돌을 삽입합니다
부력 : 안내병을 제외하고 예민한 찌맞춤
미끼 : 낮에는 지렁이를 사용하고 밤에는 새우미끼를 사용하여 옥수수 사용을 보지를 못하였습니다
투척후 상황 : 볼동은 떠있고 바늘은 바닥에 닿고 안내병은 파뭍히거나 슬로프 상태로 안내병만 제외하면 외바늘 내림채비와 유사함
그리고 찌는 저부력의 찌를 원줄과 목줄은 2호 정도를 사용하며 안내병의 길이는 찌의 길이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차후에 기회가 되면 현장경험을 통하여 학습 후 조행기로 안내하도록 하겠습니다


하수인 제가 지켜본 정도만 나열하였으며 허송님이 생각하는 바와 다를 수도 있습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