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연주찌 채비에 대한 의문...

정말 바늘만 뜨는가? 정말 외봉 대물 낚시인가, 아니면 일종의 인찌기 낚시인가? 실험 한번 들이 대 봐야 할듯 하네요

자료 출처는 찌스토리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채비를 하시고 마카의 위치와 바늘의 크기 그리고 미끼의 종류에 따라서..
바늘만 뜨고...아니면 봉돌 전체가 뜨고...그것이 결정되지 않을까요..

물론 봉돌 자체의 홋수 역시 영향을 미치겠지만요...

한 번쯤은 사용해 보려고..생각하는 채비인데....실험 해보시면 결과 좀 올려주세요~~
즐거운 낚시 하세요..
찌락님 댓글에 추천 쏩니다.

반드시 여러가지로 실험해 보셔야 합니다.

욕조 또는 고무다라이도 좋습니다.

카본4호줄 길이 15cm정도(기본)하시고 연주찌를 움직여 가면서 바늘이 들리는 지점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옥수수도 달아보시고, 있다면 새우도 달아보시고, 콩도 달아보시고~~~~~~~~

그리고 연주찌가 좁살봉돌 얼마의 부력인지도 아셔야 합니다,

그만큼의 좁살봉돌을 원줄에 추가하셔야 합니다.
바늘을 띄운다기보다는...뻘에 묻히지 않도록 사알~짝 안착시킨다는 느낌으로 사용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그저께 낚시다녀왔을때...바닥에 말풀이 자라서 채비 안착이 잘 안되는 상황에서..

염주찌채비만이 유독 입질을 받아냈습니다.
제가 할말을 전부 다 해주시니... 추천 한방 다쏩니다.

인찌기라니 무슨 말씀을 하시는지 통~~

혹시 잘못아신거 아니신가요?

당연히 외봉낚시이고 큰바늘 무식한 채비 그대롭니다.
물트림님 역시 마음이 상하셨다면 죄송한 마음입니다.
그러나 의문이 완전히 해소되지는 않았습니다.
입질의 형태나 이러한 모든것은 해보지 않고는
말씀 드릴수 없으나... 가지고 있는 경험과 지식으로는
분명 봉돌이 뜨거나 찌의 부력보다 엄청 무거운 봉돌에
바늘만 떠있는 채비로 여겨지니 과연 제물 걸림으로
인한 입질표현에 그치는가 하는 생각에 머물게 되어
쓴글입니다.

다시한번 정확한 실험이나 님의 노고에대한 이해 없는
글을 올려 사죄드립니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이 조금더 보완과 수정을 거쳐 완벽한
채비로의 한발짝이 될수 있다고 여겨져 써본 글입니다.
연주찌채비에서 미끼를 띄우는것 보다는 깨끗하지 못한 바닥상태에서

미끼함몰을 방지하고 대상어의 눈에 미끼가 잘보이도록 하기위함이 아닐까합니다.

실제로 떡밥이나 지렁이낱마리를 바늘에달아 바늘가까이 연주찌를 위치한다면 띄울수 있을것 같긴합니다만,

새우나 참붕어, 콩이나 옥수수여러알은 띄우기보다는 바닥에 살포시 내려앉아있는 개념이 아닐까합니다.

참고로 FTV 피싱캠에서도 미끼와 붕어입질을 보다 잘 촬영할수 있도록 연주찌 비슷한걸 사용하는것 같습니다

입질시 찌올림은 연주찌의 상승과는 무관하다고 생각되며 본봉돌에 어신이 전달된 이후에 찌의상승이 나타나는것 같습니다.

그만큼 평소보다 긴 목줄에의한 사각은 있을것이며, 긴 목줄에의한 부드럽고 여유로운 찌놀림이 있지않을까 생각합니다.

아직은 저도 확신은 없지만 기존채비와 병행해서 사용하면서 느낀점들입니다.

.
대단 합니다...
역시 낚수는 열심히 공부하는 사람에게는
못당합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