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저수지, 같은 포인트에서 이틀 간격을 두고 낚시를 했습니다.
----------------------------------------------------------------
1. 음력 13일.
달이 거의 보름달에 가까움.
겉보리 뿌리지 않았음.
새우, 참붕어 미끼에 밤새 여러번의 붕어 입질 있었음.
2 .음력 15일
보름달
겉보리 한봉지 뿌림.
새우, 참붕어 미끼에 찌에 움직임이 거의 없이, 투척후 10~20분 사이에 미끼를 뜯어 먹힘.
밤새 한번도 입질 없다가 아침에 해뜨고 나서야 입질 시작.
---------------------------------------------------------------
두 번의 경우에 차이가 뭔가요? 제 생각에는 달빛은 거의 차이가 없었던 것 같구요.
겉보리 뿌린 것이, 징거미나 황소개구리 올챙이 같은 것들을 불러들여서 새우, 참붕어를 뜯어먹힌게 아닌가 싶습니다.
왜 차이가 났는지, 선배 조사님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뜯어먹은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원인이 뭔지 알고 싶습니다.
-
- Hit : 3306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7
무분별하게 겉보리를 뿌리는것을보면 참 한심스럽습니다
잔챙이 잔치를 원한다면 앞으로도 쭉 뿌리싶시요..
dnsclf, 붕어마음......
올리신분은 뭔가 답답하고 궁금하기 때문에 글을 올리셨을겁니다
아예 모르면 글을 달지 말고
달려면 좀 성의 있게 다십시요
가끔씩 보면 그런 할일 없는 분들 더러 있던데...
여기가 당신들 놀이터 입니까?
낚시를 좋아하는 모두들의 정보를 공유하는 곳입니다
할일 업으면 아파트 놀이터에가서 애들하고나 같이 노세요
여기서 물 흐리지 말고...
비싼 밥 먹고 힘 남아 돌아서 쓸데 없이 자판 두들기는 사람들입죠.
아아...답변을 드려야죠.
저 같은 경우는 사람들이 많이 않는 자리는 겉보리를 잘 안뿌립니다.
한여름의 깊은 수심의 맹탕자리에서는 반봉지 정도만 뿌려줍니다.
출조당일에 황토+겉보리 투여는 지양하는 편입니다.
왜냐면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저수지는 주중에 그자리에 출조 한분이
분명히 있습니다.(사람들이 많이 찾지 않는 소류지는 제외죠.)
황토와 겉보리는 생자리를 닦아서 포인트를 만들어 내었을 때
붕어를 빨리 불러들이기 위해서 던져주는게 정석이라고 보여집니다.
겉보리도 미끼 역할을 충실히하는데 너무 팍팍 뿌리는 것도 그렇게 좋을 것 없다고
보는 제 짧은 소견입니다.
오만 잡고기가 다 달겨드니깐요...
그럴 경우엔 오히려 징거미를 채집망으로 잡아서 그놈을 껍질까서 생짜 알맹이로 도전해보십시요. 굵직한 놈으로요...
1번과2번의차이는 1번날과 2번날의 모든 조건(달,바람.기압...)이 조금은 틀린곳이 있을겁니다.
그리고 아마 최고의 관건은 "수온의 차이"가 아니었나봅니다.
개인적으로 판단해 봅니다.
근데 제가 연구를 많이 했는데요. 물방개와미꾸라지를 직접싸다가 어항에
넣고,콩새우을 2개넣었는데요.10분만에 콩이 미끼로써 역할을 못할정도로
심하게 손상 되었어요.그걸 봐써는 잡어들 성하에 그날은 낚시를
졸업해야 합니다.밤세도록 짜증나서 낚시하기 싫을 겁니다.
그런 포인트는 분명히 대물은 있읍니다.
찬바람 불때 가시면 좋을것 같네요.
겉보리는 안뿌려도 무방할겁니다. 분명 올챙,물방개.미꾸래이,징거미
여러 잡어성하 안당해 본사람은 모르지요!!!
수온이 마니 오른날은 잡어들 땝에 돕니다.
찬바람 불때가시면 덜합니다.그못은 겉보리 안뿌리면 조과가 더 좋을겁니다!!
잡어나 잔챙이의 성화가 없던 저수지에서 어느날부터
잡어나 잔챙이의 성화가 시작 되었다면 앞으로도 계속
그러게 될 가능성이 큽니다.
겉보리를 뿌리고 안뿌림으로써 피해갈 정도가 아닐겁니다.
미끼도둑질이 없던 저수지가 심한 미끼도둑질로 낚시가 어려울 정도로
바뀌는 이유를 정확히 다 알수는 없지만
떡밥낚시를 하지 않던 포인트에 떡밥낚시를 자주 하여도 그런 현상이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기존의 낚시법으로 심한 미끼도둑질로부터 완전하게 해방 되기는 어렵습니다.
미끼를 바꾸어 보는것은 좋은 효과를 보기도 하지요.
예컨대 콩이 잘 듣던 저수지에 미끼도둑질 때문에 콩을 사용못할
정도의 상황이 되었을때 굵은 새우를 미끼로 사용하면 미끼도둑질을
피해서 좋은 입질을 골라서 만날수 있습니다.
새우조차 뜯김이 심해진다면 새우틀을 넣어서 현장의 미끼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논고둥을 주워서 크기에 따라서 2-3등분 해서 사용할수도 있고요
미꾸라지가 많이 든다면 새끼손가락 길이 정도의 새끼미꾸라지를
미끼로 써도 좋습니다.
현장미끼의 채집이 어려울때는 시장에 파는 삶은 옥수수를 미끼로 써보면
잘 뜯기지 않고 견디며 월척샵의 알이굵은옥수수도 유용한 미끼가
될것 입니다.
항상 안전조행 하시고 좋은밤 낚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