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유동채비 관련 고수님들 의견 바랍니다.

여러모로 '월척'에서 많이 공부하지만 아직 초보에 그칩니다. 유동채비를 공부하고 있습니다만, 의문이 있어 여쭤봅니다. 초보라 말 안될지도 모릅니다. 수심이 얕은 곳은 찌고무 사이가 멀지 않아 채비를 던져도 찌의 전후(낚시인쪽으로의) 이동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만, 예를 들어 수심이 약 3-4미터인 경우 채비의 침강중에 찌가 낚시인쪽으로 이동하는 중에 혹시나 수초나 부유물들이 많은 경우 찌가 걸리게 되어 채비를 안착시키지 못하거나 매번 달라지는 것 아닐까 우려되는데 제 생각에 문제가 뭘까요?? 즉, 수초나 부유물이 많은 깊은 수심에서도 유동채비는 유효한가요?? 고견 부탁드립니다.

아닙니다..매번 달라 질수도 있습니다......거기서 관건은 얼마나 바닦층을 잘 공략하는냐가 중요합니다....특공대나 수초제거기를 이용해서 충분한 바닦작업이 필요 합니다...
수초가 많더라도 어느정도 작업을 하면....수심이 50~1미터씩 변화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님의 생각은 줄이 쫙 펼쳐 질대까지.......낚시대를 던지시는데요......수초대물낚시는....일자로 쫙 펼게 던지는것 보다...
공중에서 날라 가다가 뽕 떨어지는효과를 봐야합니다..원줄의 여유를 생각해야한다는거죠...
수초 많은데서......일자로 원줄을 하게되면...매번 수초에 찌가 걸리게되고 찌맞춤이 어려울뿐더러....팔아프도록 던져야합니다...포인트를 선정후 50센티 반경내에 넣은다고 생각하시고 여러번 던지면.....밤에도 빵방 잘들어 갑니다...^^
수고하세요.///
유동의 폭을 조절하셔서 쓰시면 됩니다.

수초에걸려 찌세우기 어려운곳에서는 고정채비가 훨좋습니다.

현장상황에 맞게 간단하게 채비변형을 하시면서 능률적인 낚시를 구사하시면 됩니다.

수초등 장애물이 빡빡하여 스윙낚시가 불가능할땐 소품등을 이용하여 직공채비로 포인트바닥을 공략할수 있습니다.
미끼머스꼬님이 잘 설명 하셨습니다

모두들 채비를 멀리 투척 하려고 힘차게 던지는데

맨바닥이라면 제자리에 찌가 서겠지만

수초나 부유물이 있는곳에서는 찌가 서는곳에 봉돌이 떨어진다싶게

투척 하신다면 (물론 수초 작업을 마친 후에)효과를 볼수 잇을겁니다

멀리 던진다면 찌가 서는곳까지 오는동안 바늘이

수초나 부유물에 걸려서 찌가 제자리에 서지를 않게 되겠지요

몇번 시험 삼아 맹탕 지역에서라도 연습 해 보심 이해가 빠르시겠지요

안출 하시구요^^
유동채비의 장점중의 하나가 수초나 장애물이 많을시 포인트에 투척이 쉽다는 걸로 압니다.

봉돌과 찌의 케미부분을 잡고 투척하면 포인트에 잘 들어가죠.

미끼머스꼬님 글 처럼 포인트를 정하고 그자리에 봉돌과 찌가 같이 떨어지도록 해야합니다.

다시말해서 님 처럼 수심때문에 찌가 끌려오고 중간에 수초나 장애물이 있다면

끌려와서 찌가 세워지는 시점을 포인트로 잡고 그지점에 투척을 해야합니다.

그지점 보다 더 먼곳에 포인트를 정하고 싶다면 더 긴대를 사용해야겠지요.

그래야 유동찌의 장점을 최대한 살릴수 있을것 같네요.....
여러 고수님들이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꾸벅..
저같은 경우에는 원줄을 묶고나서 고정용 찌고무를 먼저 넣고 유동 채비를 합니다.

그래서 때에 따라서 날라리있는 찌를 사용하면 편하죠.

찌또한 다른 분들처럼 낚시대에 고정으로 넣지 않고 유동찌, 날라리달린찌, 긴거 짧은거 30여개를

찌통에 따로 넣어서 다니면서 낚시터 상황에따라 찌를 선택해서 사용 합니다.

긴대라도 수심이 낮은 곳에서는 짧은찌를 써야 하고 발앞을 노릴때는 짧은대 라도 긴찌를 필요로 할수 있으니까요.

단지 각 찌를 찌통에 넣다보니 부피가 좀 큰 불편은 있죠.

여튼 채비를 할때 맨위에 고정용 고무를 넣어 놓으면 요긴합니다.
정확한 예신부터 확실히 간파하시기엔,, 유동채비를 쓰더라도..
멈춤고무를 위,아래를 수심층에 맞게끔 고정하여 사용하시는것이
예신파악이나, 본신이 한결 깔끔합니다!!
글구,, 채비엉킴은..
날라리채 사용하나, 날라리를 제거후 사용하나..
제거된것을 사용하는것이 엉킴현상은 한결 줄어들지만,,
확률은 적을뿐.. 엉킴현상은 간혹 생깁니다!!

걘적이지만,, 수심이 깊은 계곡지경우..
줄잡기가 수월할정도까지만,, 멈춤고무를 내려 사용하는경우를 제외하곤..
유동채비라도 수심이 완만한포인트나.. 1.5m권이하의 수심층에선,,
위아래 멈춤고무를 0.5~1cm간격만을 두고 항상 낚시를 하지요.. ^^
이유인즉,, 멈춤고무 위아래 거리를 멀리두면 둘수록..(수중장에물 땜시, 맨바닥 입수또한 불편함)
예신이나, 본신이 깔끔하지가 않기 때문이죠..!! ^^

=============## 이상~~ 몇일전 제 답글이니.. 비슷한내용이 될성싶어 다시금 올려봅니다
참고만 하시길~~ 꾸벅^^
저도 예전에 오래된일입니다
밤새도록 찌가 섯다가 안섯다가 미치는줄 알았습니다 ㅋㅋ
그때 경험으로 알게 됐습니다

멈춤고무가 너무 멀어도 안되는구나... 수심 3미터 이상인곳에서
오로지 밤에 채비 잡기 편하자고 채비쪽으로 너무 많이 내린결과였죠
수심이 얗은곳은 상관없지만 깊은곳에서는 상당히 차이가 많이나더군요

거기다가 비라도 많이 내려서 부유물이 많을땐 더더욱 차이가 심해집니다
적당한 간격이 필요하더군요 그때 월척을 알았다면 그고민을 하지안았을텐데.
십년이상 지난일인데 그때도 월척이 있었나요???
유동폭을 조절하심이 좋을듯하네요~~~
관심 갖고 고견 주신 고수님들께 감사드립니다. 꾸벅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