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유동채비 사선현상???

수심이 3칸대 2미터 4칸대 3미터인 맨바닥 소류지에서 수심을 맞춘 후 미끼(참붕어)를 달고 나서 다시 투척시 약 1~2마디 정도 지톱이 올라와 있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수심이 깊을 수록(긴대) 원래 맞춘 위치보다 올라오는 정도가 컸습니다. 채비는 원줄 5호(후로로 카본사)에 8-9호 봉돌 무거운 찌 맞춤이고 찌고리는 구멍이 아주큰 대물용이라서 상하 운동에는 문제가 없는 채비입니다... (참고 야간 채비 회수를 위해 아래 스토퍼는 봉돌에서 40cm정도 위에 놓고 사용합니다.) 아주 가끔가는 충주호에서 약시 4미터 수심에서도 고정채비(3호줄 사용)시 전혀 이런 현상을 보지 못했는데 주위 분들이 유동채비가 좋다고 워낙 성화(?)를 하셔서 이번에 채비를 유동으로 바꾸고 이런 황당한 현상을 목격했습니다.(참고로 당연히 이번에 바꾼 유동채비로도 1미터 권에서는 전혀 이런 현상이 없었습니다. ) 결국 이런 현상은 깊은 수심에서 빈바늘 투척시 보다 미끼를 달아서 투척시 낚시대쪽으로 봉돌이 좀더 가까이 오는 현상이라고 생각되는데 .... 유동채비 오래 사용하신 고수님들 답면 부탁드립니다....

일단 투척하시고 낚시대를 뒷쪽으로 30cm정도 빼 두었다가

찌가 안착되면 밀어주세요.

수심이 깊을수록 더 많이 뒤로 당겨야 합니다.
붕어와춤을님말씀대로 하시면 될것 같은데..위분의 말씀에서 몇가지를 더 하면...
찌의 길이와 수심의 차이에서 만이 일어나는 현상 입니다... 참고로 어분낚시를 하시면 빈바늘로 수심첵크 후 어분을 달고 던지면 찌가 30대 정도 길이에서 5센지까지 차이가 납니다.. 유동의 넓이에서도 많은 차이도 날겁니다.. 저 역시 유동채비에서 3~5센지 유동만 사용하며 길면 길수록 낮은 수심에서 방해가 되더군요.. 대물찌의찌(허리) 부분을 첵크하시고 대물찌에서 그런현상은 투척때에 원줄의 여유의 줄을 조금 주시는것도 괜찮을것 같습니다.. 타자를 잘 치지 못해 이해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붕어와춤을님 데스나이트드림님 답변감사드립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