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유동채비의 의문점외.....

  • Hit : 2972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2
안녕들 하십니까..^^ 여러 조사님들게 궁금한점이 있어 노크해봅니다. 유동채비시의 1 - 수조통에 줄에 바늘과 케미를달구 하는 찌맞춤은 덜 좋은지요? 2 - 3호원줄에 찌멈춤고무의 사이즈는? 3 - 3호원줄이면 수초낚시에서는 약한지요? 다이아낚수대 1 - 해마한마리는 대물낚시로는 안되는지요? 아님 초릿대를 잘라야 하는지요? 2 - 손잡이 부분을 테이핑( 수축고무) 하면 도움이 되는지? 유동채비의 처음입문자 이며 중고다이아를 몇대 구입하니 의문점이 생겨서 조사님들께 한수배우고자 합니다.. 부탁드리며 올한해 무탈하십시요..

안녕하세요. ^^

제 경험상으로 몇가지 적습니다.


<유동채비>

1. 크게 문제는 없을듯 합니다만,

노리는 대상어의 성격에 따라 봉돌을 얼마나 깍아 주는지?
챔질의 어떤 타이밍을 노리는지?

이 두가지에 따라 찌 맞춤이 달라질것 같네요.

저 개인적으로는,,
일차적으로 수조에서 맞춘후, 현장에 가서 찌맞춤을 한번 더 합니다.


2. 3호원줄이면 모노필라멘트든, 카본이든,, M(미디움)- L(라지) 사이즈면
무난 합니다.

개인적으로,,, 시판되는것중 생고무형 찌멈춤 고무가 좀 나은것 같더군요.
저는 직접 만들어 씁니다.


3. 3호줄이 카본줄인지 모노줄인지 PE라인인지 명시하지 않으셔서 어떨지
모르겠지만,,,

보통 수초대 생미끼 낚시에서는 카본이나 플루오르카본 4-5호를 쓰거나
PE라인을 쓰는분들도 계십니다.

하지만, 모노 3호나 그 이하의 원줄로도 실력(?)에 따라 충분히 수초낚시를
할수 있다는 분들도 많이 계시는걸로 압니다.

하지만, 모노라인은 여러모로 불편해서 수초대 낚시에는 맞지 않습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일단, 낚시에 지장을 주지않는한 튼튼한 채비를 선호 하기에
플로르카본 5호원줄에 합사 4-5호 목줄을 씁니다.


<다이아 플렉스 신수향>

1. 지금은 제가 다른 대를 주로 쓰고 있고,,,
주위 조우들에게 모두 주고 이제 몇대 안 남았지만,
한때 20여대정도 가지고 있었고 구형 해마 한마리부터 요즘 두마리까지
사용해 보았던 경험담 입니다.

구형 해마 한마리짜리와 신형 해마 두마리짜리를 두고 의견이 분분 합니다.

해마 한마리짜리가 좀더 빳빳하고 낭창거림이 덜하다고요,,,

하지만 제 경험상으로는,,

크게 별차이 없었던거 같습니다.

다만, 신수향 자체가 경질대가 아니고 중경질대라서요..
경질대를 원하시는 분들 한테는 낭창거림이 심하게 느껴지겠지요.
보통, 그런분 들이 초릿대를 약 10cm정도 자른후 사용하시지요.
아무래도 낭창거림이 좀 덜하니까요.

초릿대를 자르지 않아도 신수향은 충분히 수초대 생미끼 낚시를 할수 있다고
생각 됩니다.


2. 수축고무

저는 줄감개는 안하지만 수축고무는 제 모든 낚시대에 해 놓았습니다.

장점과 편리함이 많기 때문입니다.

1) 일단, 잡았을때 대의 그립감(감촉)이 좋습니다.
2) 쉽게 더러워지거나 오염되지 않습니다. - 뭔가 묻었어도 부담없이
젖은 낚시타올로 한번 쓱싹하면 됩니다.
3) 보통, 슬라이드 방지형 뒷꽂이를 쓰는 분들한테는 2중 안전장치가 됩니다.
- 뒷꽂이에 꽉 끼어서 안전고리(총알)을 안해도 대를 차고 나갈일은
거의 없습니다.
4) 비오는 날이나, 눈 , 특히 차가운 새벽 낚시대에 살얼음이 앉았을때도
미끄럽지 않게 챔질을 할수 있습니다.
5) 줄감개나 기타 악세사리와 다르게, 낚시대에 변형이나 잔기스등의
손상을 주지 않고 언제든 제거가 가능 합니다.


이상 허접한 답변이었습니다.

그저,, 참고만 하시길 바라고요...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바랍니다. 더불어서 어복도 함께 하시길 ^^
turne 분 너무 상세한 설명 고개숙여 감사드립니다.
잠시나마 올해두 행운이 함께하길 기원합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