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가 입질에 대해서 질문좀 드릴께요ㅎ
제 경우에는 입질이오면 위아래 오르락내리락 거리는게 없는것같애요 ...(제 채비가 잘못된건지몰라도)
왜그럴까요 ?? 저의 찌맞춤은 서서히 내려가는 무거운찌맞춤입니다
그리고 제가 젤많이 느끼는건 찌가 오른쪽왼쪽 이렇게 엄청 조금씩 이동하면서 움직인다는거에요
음 ..그러니깐 찌가오른쪽으로 진짜 조금 갔다가 다시 왼쪽으로 조금간다해야되나??이런게 반복되다가 찌가 말둑박은것처럼 가만이 있습니다
이것도 입질의 한가지인가요 ?? 조사님들도 이런적 있으십니까 ??
왜그런지 모르겠네요 ㅠㅠ 오르락내라락 거리는 입질을 보고싶은데 ...
왜 저런지 정말...모르겠어요 ..
답변 부탁드릴께요^^
이건먼가요 ??
-
- Hit : 2320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0
입질 일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바늘 대비 및 미끼 대비해서 작은 어종이
입질인 경우도 있습니다.. 바늘을 먹고 나올 정도의 어종이라면 찌 올림이나
찌 내림의 경우가 발생을 합니다..
너무 급하게 생각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그리고,떡밥 낚시시라면 떡밥이 너무 딱딱해도 그런 입질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생미끼나 아니면 곡물류를 사용하신다라고 하시면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하거나
아니면 그 소류지엔 그 바늘을 먹고 나올 수 없는 어종만 있을 수 있습니다.
이건먼가요??@.@;
이건뭔가요??
제경험 상으론 징거미가 집게발로 ,,,,장난을 치는거같네요..
그래서 찌가 문제인가? 고민많이했습니다.. 그리고 밤낚시할때 새우나 참붕어끼워놓으면 조금씩 움직이거나 가라안는 경우가 거의
많더라구요(대물낚시초보입니다).. 윗분처럼 징거미 아니면 붕어가아닌 먼가가 건드는경우인거같구요..
몃달동안 말뚝이어서 찌탓인지 의심했었는데 저번주에 의심했던 그찌들이 멋찌게 올라가더라구요^^
밤낚시에 도움이 많이 되는편이라고 생각합니다.
입질형태는 징거미일 확률에 한표! 하지만 체집에 없다면 참붕어가 맞다고 생각합니다.
가시는 물가마다 좋은일만 가득하시길...
님의 채비가 대물낚시 채비라고 가정하에
위에서 말씀하신 찌맟춤이 님의 생각(찌맞춤은 서서히 내려가는 무거운찌맞춤입니다)과는 반대로 조금 가벼워서 거럴겁니다.
그렇타고 잘못된 찌맟춤은 아니구요. 즉 바늘에 꿰어진 살아있는 생미끼(새우&참붕어)의 움직임이 찌의 표현으로 나타난겁니다.
이런경우 찌가 까분다고 하지요. 지저분하고, 눈에 피로도 심하고, 등등등
따라서 붕어의 먹이취이 활성도가 좋은 요즘같은 시기에는 봉돌을 조금더 무겁게 맞추거나 좁쌀봉돌을 물려서 사용하시면 요런현상이 많이 해소될겁니다.
[낚시로 인하여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그런데 철수시 찌에 알이 전혀 안붙어있다면, 수서곤충이나 작은 새우들이 건든 것으로 의심됩니다.
물론 치어들이 건들었을 경우도 있습니다.
어떤 수서곤충이 서식하는지와 직접 찌움직임을 보질 않아 정확한 답변은 힘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