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벨로 고부력대물낚시를하자니 채비에믿음이안가고해서 .. 이런생각을해봅니다 고부력찌8호봉돌짜리를 같은고리봉돌로분할해보는건데요 4호봉돌2개나 5호3호봉돌이나..이런식으로 스위벨처럼작은채비보다 밑봉돌이어느정도 무게감있게 저런식의 채비는어떨까요
입질시 찌가 예민하게 반응하고, 이물감을 줄여준다는 점에 착안한 채비들이니 정도의 차이일뿐 같은 원리입니다.
2분할, 다분할 봉돌 채비에서 응용하여 찌톱정도의 부력에 대비한 채비가 요즘 유행채비라고 하면
님이 말씀 하시는 채비는 예전에 선배조사님들이 다들 그런식으로 써 오셨던 전통분할채비라 보시면 됩니다.
담출조때써봐야겠네요
원봉돌보다는 훨씬 붕어에 부담을 덜줍니다.
굳이 아랫봉돌을 너무적은것으로 사용않하셔도 됩니다.
채비의 원리는 하나
조과의 차이는 그날의 운과 활성도,포인트,집중력 이라 봅니다.
제경우 앞치기가좀 서툴러서그런지 봉돌이 무거우니 좀 긴대로갈수록 앞치기가 힘드네요;;ㅠㅠ
바꿔서 벨런스를 맞추면 앞치기가 조금 수월해지더라구요.
특히 44대 이상에서는요...
노지에서는 바람이 변수일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나 맞바람의 경우~~~~
제자리에 투척하기가 넘 힘들지요. 또한 꾼에 특성상 꼭 넣고자 하는 자리에 넣어야 낚시할 맘도 나구요.
그럴경우 너무 저부력이다 보면 투척이 무척이나 힘들지요.
저는 최소 6호 봉돌정도는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역시 주로 7호 이상 봉돌을 사용합니다. 떡밥이던 대물이던)
단 분할봉돌을 사용합니다. 조과 괜찮습니다.
분할봉돌을 사용하시더라도 찌 맞춤( 가장중요함 )에 따라 표현이 다릅니다. 표준, 영점, 등등...
분할비율은 크게 지장이 없구요. ( 9대1, 8대2, 7대3, 5대5, 반대로 3대7,)
비율보다는 찌맞춤이 중요 합니다.
또한 긴대일수록 부력이 좀 덜나가야 압치기가 잘됩니다.
8호봉돌로 압치기가 힘이드시면 원줄을 좀 조정하시면 편하실겁니다. 현장에서 10센티씩 자르면서 투척해보시면
바로 감이 옵니다.
원봉돌보단 분할봉돌이 좋습니다. 5호 봉돌 이상에서는요.
그럼 안출하시고 498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