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 할 때 손님 고기로 오는 잉어는~
수심이 얕아서 의외로 쉽게 제압 되던데요...
씨알도 두자 못 미치는 녀석들이 대부분 인 듯 싶고요.
제 생각에는 잉어가 붙는 때는 약간의 예신 후 쑥~ 끌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니
그 터에서는 무 뽑듯 들어채서 챔질과 제압이 동시에 이루도록 습관을 들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붕어 입질이건 잉어 입질이건 구별없이 그리하면 조금 도움이 되실 듯 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자연지 잉어 대낚을 오래 했던지라~
위와 같은 챔질이 습관이 되어 있답니다.
그리고,대의 갯수도 4~6대로 최소화 하는 것도 도움이 되실 듯 싶고요...
그럼 돌아가는 방향의 한두대만 들어주면 밖으로 빼네~
우렁찬 파이팅을 즐기시면 되고요..
수로 잉어야 간혹 지렁이에 입질하기도 하지만~
특이한 터가 아니라면~
대부분 의 경우에는 지렁이가 빈도를 줄여 줄 것으로 생각됩니다.
잉어도 생미끼를 먹지요... 시기별로 더 잘먹느냐 아니면 생미끼보다는 곡물성 미끼를 잘먹느냐가 있다고 봅니다...
제 경험상으로는 늦봄에서 초가을까지는 잉어도 붕어와 마찬가지로 생미끼를 잘 먹습니다....
아마도 산란 전후에 잘 먹는 것으로 알고요.... 새우 참붕어를 붕어보다 잘 먹는것으로 압니다....
아무래도 잉어는 곡물성미끼를 선호하기 때문에
특히 옥수수 무지좋아합니다....
생미끼를 쓰는게 좋을겁니다...
거의보면 잉어가 많은곳엔 붕어가 같이 다니곤 하지요...
그곳에 자주 많이 가는방법밖엔 없는것 같네요...
손맛, 몸맛 다보면서... ㅎㅎㅎ... 사구팔 하세요...
그래서 다음부터는 떡밥을 쓰니깐..그나마 덜 하더군요...
잉어가 대를 차고 나가서 겨우 겨우 잡아낸적이 있는데,
어쩔수 없더라구요..
수심이 얕아서 의외로 쉽게 제압 되던데요...
씨알도 두자 못 미치는 녀석들이 대부분 인 듯 싶고요.
제 생각에는 잉어가 붙는 때는 약간의 예신 후 쑥~ 끌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니
그 터에서는 무 뽑듯 들어채서 챔질과 제압이 동시에 이루도록 습관을 들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붕어 입질이건 잉어 입질이건 구별없이 그리하면 조금 도움이 되실 듯 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자연지 잉어 대낚을 오래 했던지라~
위와 같은 챔질이 습관이 되어 있답니다.
그리고,대의 갯수도 4~6대로 최소화 하는 것도 도움이 되실 듯 싶고요...
그럼 돌아가는 방향의 한두대만 들어주면 밖으로 빼네~
우렁찬 파이팅을 즐기시면 되고요..
수로 잉어야 간혹 지렁이에 입질하기도 하지만~
특이한 터가 아니라면~
대부분 의 경우에는 지렁이가 빈도를 줄여 줄 것으로 생각됩니다.
잉어를 좋아하는 저로서는 가보고 싶은 곳 입니다^^
새우에 잉어 50짜리 올라오고 10분있다 참붕어에 50짜리 또올라오고 ㅋㅋ
두손 두발 다들었습니다~
예전엔 수심 3미터권에다 콩미끼 좀큰거 달아놓고 기다리다 미끼 잘붙어있나 확인할려고 잡아당겼더니
잉어 40짜리가 물고 있더군요..... 첨엔 바닥에 걸린줄알았어요..
지렁이로도 잡아봤고요~ 지렁이로 향어도 잡아봤네요..
월척캠페인: 오분만 청소합시다
웃자고 올린글이니 오해 없으시길...^^
저도 잉어 무지 싫어합니다. ㅋㅋ
여러번 당했걸랑요~~
전 아직 초보라 잉어 걸려본적이 없어서리 ㅎㅎ;;;
안걸리길...바라는 수 밖에..
새우는 물론이고.. 참붕어, 징거미에도 잉어 올라옵니다..--;
당신은! 행복한 고민 입니다.
잉어 85 센치 되는넘이 올라오더라네요..
다른 잉어낚시하던분들 어이상실...
제 경험상으로는 늦봄에서 초가을까지는 잉어도 붕어와 마찬가지로 생미끼를 잘 먹습니다....
아마도 산란 전후에 잘 먹는 것으로 알고요.... 새우 참붕어를 붕어보다 잘 먹는것으로 압니다....
귀신인줄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