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님들께 대물초보자가 어도보는 방법을 알고싶어서
이렇게 염치없이 물어봅니다!!
한마디로 요약할수는 없겠지만 알고싶네요!
그리고 어도역시 계절별로 달라지는 것인지도
궁굼함니다!!!
고수님들의 경험에서 얻은 알짜배기를
쉽게 가러쳐 달라고 하니 조금 쑥서럽네요!!!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반야월님 안녕하세요.
너무 광범위한 질문을 하셨네요.
붕어의 회유로를 말로설명하기에는 굉장히 어렵고 장황합니다.
일단 저수지의 지형(평지형, 계곡형, 준계곡형, 늪지형, 각지형 등)
과 계절별, 낮과 밤포인트, 갈수기, 배수기, 장마, 수온, 자생수초, 물골,
그저수지의 먹이사슬, 바닥여건 그지방의 특성등등
기타 여러가지 여건등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해야한는
노련함을 배재하지 않을수 없습니다.
저도 아직 그러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조력이므로
끊임없이 선배조사님들의 조언과 여러정보들을 숙지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님께서도 너무성급하게 생각하지 마시고 스텝바이스텝하다보면
어느새인가 님도모르게 미소를머금고 낚시대를 펼날이 오실것이라고 믿습니다.
도움주지못해서 죄송합니다.
반야월님 안녕하세요..
대구시 반야월에 사시나요? 저도 반야월 근처에 살다가
열흘전 조금 안쪽으로 이사를 했읍니다.
아참 질문과는 상관없는 이야길 했네요. 반가운 마음에...
어도라 하심은 낚시도(圖)가 아니라 물고기의 다니는 길(道)을
말씀하시는 거라 생각되는데요. 맞는가요?.
참으로 어려운 질문이라 님의 말씀처럼 한마디로 요약을
할수 가 없고요. 제 경험 및 일반적으로 이야기하는 물고기의
이동통로에 대해서 몇자 적어볼까 합니다.
붕어는 대체로 자신의 몸을 숨길 수 있는 곳과 먹이사냥이 용이한 곳을
따라(찾아) 움직이게 됩니다.
각지형 저수지(평지형)는 수초가 밀생한 지역과
그렇지 않은 곳의 경계지점을 타고 이동하는 경우가 많고요
또 듬성듬성 자란 수초사이의 골을 타고 이동을 합니다.
눈으로 확인하기 힘듭니다만 물골자리(물이 빠졌을때 보면 물이
흘러 들어 골이 파진자리)는 아주 좋은 이동통로 입니다.
물골이 확인된 저수지의 골자리를 잘 봐뒀다가 공략하시면 좋은 조과를
거둘 수 있읍니다.
연안의 수초가 밀생한 곳에서는 수초 가장자리를 타고 붕어가 회유를
많이 하므로 집중공략할 포인트 입니다.
수심이 다소 깊은 준계곡지 이상의 저수지도 수초가 잘 자란 곳에서는
위의 경우과 같은 이동경로를 보이구요.
수초가 거의 없은 지역은 물이 들고 나는 물골자리와 수몰된 논밭등이
있다면 아래위 둔덕 아래부분을 따라 이동을 잘하구요.
저수지의 경사면과 완만한 평지가 만나는 지점도 붕어의 좋은 이동 경로가
됩니다. 수면과 주변지형을 보고 물속을 짐작해 내는 능력을 빨리 길러내는
것도 중요한 일이라 생각됩니다.
사실 일반적인 사항이지 절대적이지 않습니다.
또 위의 경로는 외부적인 조건에 의하여 쉬 바뀌기도 합니다.
붕어의 뒤를 추적하여 이동 통로를 확인하지 않는 한 결론 내릴수
없는 질문이구요, 다만 선배조사님들과 저의 경험에 의한 일반론
정도로만 알아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많은 낚시를 통하여 물고기의 이동통로를 짐작하는안목을 키우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인데 저의 답변이 작은 도움이라도 되길 기원해 봅니다.
또 선배조사님들과 다른 고수분들의 좋은 의견도 기대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한 낚시생활 이어가시기 바랍니다....
반야월님 안녕하세요.
너무 광범위한 질문을 하셨네요.
붕어의 회유로를 말로설명하기에는 굉장히 어렵고 장황합니다.
일단 저수지의 지형(평지형, 계곡형, 준계곡형, 늪지형, 각지형 등)
과 계절별, 낮과 밤포인트, 갈수기, 배수기, 장마, 수온, 자생수초, 물골,
그저수지의 먹이사슬, 바닥여건 그지방의 특성등등
기타 여러가지 여건등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해야한는
노련함을 배재하지 않을수 없습니다.
저도 아직 그러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조력이므로
끊임없이 선배조사님들의 조언과 여러정보들을 숙지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님께서도 너무성급하게 생각하지 마시고 스텝바이스텝하다보면
어느새인가 님도모르게 미소를머금고 낚시대를 펼날이 오실것이라고 믿습니다.
도움주지못해서 죄송합니다.
대구시 반야월에 사시나요? 저도 반야월 근처에 살다가
열흘전 조금 안쪽으로 이사를 했읍니다.
아참 질문과는 상관없는 이야길 했네요. 반가운 마음에...
어도라 하심은 낚시도(圖)가 아니라 물고기의 다니는 길(道)을
말씀하시는 거라 생각되는데요. 맞는가요?.
참으로 어려운 질문이라 님의 말씀처럼 한마디로 요약을
할수 가 없고요. 제 경험 및 일반적으로 이야기하는 물고기의
이동통로에 대해서 몇자 적어볼까 합니다.
붕어는 대체로 자신의 몸을 숨길 수 있는 곳과 먹이사냥이 용이한 곳을
따라(찾아) 움직이게 됩니다.
각지형 저수지(평지형)는 수초가 밀생한 지역과
그렇지 않은 곳의 경계지점을 타고 이동하는 경우가 많고요
또 듬성듬성 자란 수초사이의 골을 타고 이동을 합니다.
눈으로 확인하기 힘듭니다만 물골자리(물이 빠졌을때 보면 물이
흘러 들어 골이 파진자리)는 아주 좋은 이동통로 입니다.
물골이 확인된 저수지의 골자리를 잘 봐뒀다가 공략하시면 좋은 조과를
거둘 수 있읍니다.
연안의 수초가 밀생한 곳에서는 수초 가장자리를 타고 붕어가 회유를
많이 하므로 집중공략할 포인트 입니다.
수심이 다소 깊은 준계곡지 이상의 저수지도 수초가 잘 자란 곳에서는
위의 경우과 같은 이동경로를 보이구요.
수초가 거의 없은 지역은 물이 들고 나는 물골자리와 수몰된 논밭등이
있다면 아래위 둔덕 아래부분을 따라 이동을 잘하구요.
저수지의 경사면과 완만한 평지가 만나는 지점도 붕어의 좋은 이동 경로가
됩니다. 수면과 주변지형을 보고 물속을 짐작해 내는 능력을 빨리 길러내는
것도 중요한 일이라 생각됩니다.
사실 일반적인 사항이지 절대적이지 않습니다.
또 위의 경로는 외부적인 조건에 의하여 쉬 바뀌기도 합니다.
붕어의 뒤를 추적하여 이동 통로를 확인하지 않는 한 결론 내릴수
없는 질문이구요, 다만 선배조사님들과 저의 경험에 의한 일반론
정도로만 알아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많은 낚시를 통하여 물고기의 이동통로를 짐작하는안목을 키우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인데 저의 답변이 작은 도움이라도 되길 기원해 봅니다.
또 선배조사님들과 다른 고수분들의 좋은 의견도 기대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한 낚시생활 이어가시기 바랍니다....
낚시초보인 저로서는 항상 어디에 어떻게 낚시대를
펴야하는지가 최대의 고민 거리이며 숙제였읍니다,
님들의 말씀 , 초보인 저에게 많은 도움이될것같읍니다.
하면할수록 어려운 대물낚시 그러기에 이래도 해보고 저래도 해보고
이렇게 월척에서 도움도받고 주위 분들에게 자주 질문도하고
이러함속에서 저의 낚시도 조금씩 발전하는것 같읍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리며 앞으로 허접한질문이 이어지더라도
이뿌게 바주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