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정말! 궁금한 질문

대어 낚시할때 보통10대 편성 합니다 낚시대는 항상 같은 메이커로 셋팅 합니다 만약 각2대씩 다른 메이커로 10대를 편성 하면은 낚시할때 불편 할까요? 가만히 생각 하니까 괜히 궁금 하네요! 일단 제 생각은 약간 불편 할것 같읍니다 요새 낚시대 마다 탄성,무게,경질,중경질,연질,또 뭐,뭐,뭐 하며 각기 틀린데 대어 낚시라는게 보통 그림좋은 수초대나 부들,글고 여러 그림좋은 포인트 에서 하는데 밤에 수초나 부들,갈대 이런 사이 사이 원하는 포인트에 잘넣을수 있을까요! 아마 제 생각은 32대 서부터는 좀 힘들지 않을까요? 월님들의 고견을 듣고 싶읍니다

저같은 경우 드림과 Q를 병행해서 쓰다가 지금은 드림은 다 정리하고 Q로 다 맞췄습니다~^^

드림도 훌룡한 대인데~저는 Q가 맞더군요~

같이 사용하니 많이 불편하진 않은데~한가지로 쓰는게 훨씬 났습니다~^^
별상관없습니다
대보다는 찌에 더 신경써야할듯합니다
찌맞춤이 무겁거나 가벼운게 들쑥날쑥하면 입질에도 믿음이 안갑니다
찌톱길이가 길고 짧아도 입질패턴잡기힘들죠
낚싯대야 연질경질에따라 제압이나 투척에 차이가 있겠지만
고기만 바늘에 걸려준다면 연질이든 경질이든 끌어내지못하지않을것이고 ..
또 목줄이나 원줄 바늘등도 믿음이 가야죠
미리 원줄점검하고 바늘도보고 손으로맨 바늘은 매듭부분이 갑자기 풀려버려
허망할때도잇죠
고기다나왔는데 바늘매듭이 풀어져 풍덩 해버리면 아주 미칩니다
전혀 상관은 없습니다만..

다만 캐스팅에과 챔질시 조금 혼동은 옵니다. 윗분 말씀처럼 오히려 찌만 같은 종류로 맞춘다며 좋습니다.

저는 일부러 10대를 다른 회사제품으로 사용한적 있었구요 지금도 4-5개 회사제품이 섞여있습니다.
은둔자님 글에 한표 꾸욱~~
낚싯대는 칸수마다 맞는 대가 있는듯 합니다..
짧은대는 무거워도 별문제 없지만 긴대는 이왕이면 좀 가볍고 앞치기 잘 되는 걸로 하시면 좋지 않을까요..
낚싯대 통일하면 보기는 좋지만 주로 밤에 하는 대물낚시..밤중에 누가 후레쉬 비추면서 쳐다보겠습니까??
붕어가 낚수대 골라가며 입질주지는 않는다고 봅니다.

백화점식 낚수대 편성이 더욱 멋져보일때도 있더군요.
위 월이님들 말씀이 맞씀니다
중요한것은 붕어.......
두 어 가지 문제가 있답니다.

사람의 몸이란 것이~
별안간의 상황이 닥쳐지면..
숙달되어져 몸에 익은대로 반응하게 됩니다.

이전의 주력대가 초경질대나 경질대였다면~..

입질에 반응해서 챔질하고 끌어내는 ..
모든 과정은 스스로 몸에 익은 대로 반응하게 된답니다.

그런데~
숙달 되어지지 않은 대를 들어 챔질하는 경우에는~
뜻밖의 실수를 하는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챔질이후 붕어가 빠진다거나.~.

뜻밖의 대물이 연질대에 걸어지게 되는 경우에~

익숙했던 챔질로는 붕어가 띄워지지 않아..수초를 감게 되어~
오랬만의 대물을 놓치거나 끌어내는데 애를 먹는 경우가 생기는 일이 일반적 입니다.

해결책은 한 가지..

연질대의 챔질을 보다 강하게 하고~
원줄도 조금 짧게 매어서 극복해야 합니다.

모처럼의 대물찬스를 ~
하찮은 실수로 잃게 되는 경우를 방지해야 될 것 같습니다.
짬뽕대도 좋지만 같은 회사 제품 같은칸수도 조금씩 기장차이가 나던데요..

예로들면 연질 3칸대 앞치기할려면 실기장이랑 초릿대 절단해야 날아간다면

경질 2.8대 걍던지는거랑 비교함 경질 2.8대가 조금 더날라가지 싶은데요.,
예지인님 한방 쏩니다

작년 9월중순경 옥수수내림채비 한대를 입질도 없고 해서,,,

얼마지나지 않은 시각 갑자기 찌가 사라져 챔질(그냥들어주면됩니다) 했더니
중형월척이...
별생각없이 대물낚시처럼 발앞에서 그냥 들었더니만
붕어녀석 오빠안녕하고는
지 갈길 가버리데요

후회해도 때는 늦어버려 속만 탔지요
내용이 엉뚱한 쪽으로...

같은 성질의 낚시대를 사용하심이 헷갈리지 않고 낚시할수 지름길이지 싶습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저는 낚시를 참으로 편하게(?) 하는 스타일입니다.

여러가지 대를 편성하면 아무래도 짜증이 납니다^^

그냥 낚시하기 편한 조건이면 상관이 없지만....

환경이 힘든 상황에서는 케스팅 차체도 좀 신경써야 하고요...

하물며 수초지대에서 챔질해서 땡기는 것 자체도 대 의 특성을 생각하고 땡겨야 하니 ......

이리저리 생각이 많아져서~ 한가지 낚시대를 사용하는 것이 좋긴 좋습니다.

하지만 무게감이나 타요건으로 어쩔수 없이 계속 사용하다보면.... 그리 큰 불편은 없더군요^^~*
연질이던 경질이던 뭐 큰넘이 잡혀줘야 좋은줄 알죠??

맨날 꽝이나 기껏해봐야 준척급이니 ............

값비싼 경질대로 all 통일 해도 마찬가지 ,,

잡혀줘야 뭐 경질이 좋은지 알등가 하는디 .. ?? 에구 ㅜㅜ


제 생각엔 큰 차이는 없다봅니다.

홈플 수준인 많은 낚시대 쓰봤지만 잡다가 떨군 경우는 희박합니다.

연질을 제외한 중경질대는 경질과 섞어 사용해도 아무~~~ 상관없다보구,,

단지 채비의 all 일관성을 두시면 된다고 봅니다.

물론 낚시대 통일되면 좋지만 ....................................... ♥ ^^헤헤 ♥
다른 대 사용시 문제점... 아닐 수도 있겠지만, 제가 사용 후 결과입니다..

첫번째 ; 수초를 근거로 낚시할 때 생기는 현상입니다..
낮에는 상관이 없지만,주로 밤낚시를 하는 편이라서
종종 투척에 문제점 아닌 문제점이 종종 발생을 합니다..

두번째 ; 수초 안쪽 공략 時 입질과 더불이 챔질과 동시에 제어가 이루어져야
하는 가끔 혼동이 와 수초를 감는 현상이 나올 수 있습니다..

세번째 ; 손맛의 차이로 인해 7치급 붕어가 월급이로 오인 되는 경우 발생..
확인 했을 경우 허탈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타 여러가지가 있지만,대충 가장 많이 느꼈던 부분입니다..

경질성이 비슷한 낚시대라면 모를까 그렇질 않을 시엔

윗 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더군요??
극단적으로 초 경질대와 아주 연질대의 혼용이 아니라면
큰 어려움은 없다고 봅니다.
다만 사용하는 낚시대가 한 종류면
모든 낚시대에 수릿대를 공유할수 있으니
그런점에서나 좋다고 생각합니다.
저같은 경우 많이 불편했습니다.

밤새 6-7 개의 포인트에 낚싯대를 던졌는대 보통 5대 정도 각기 다른 탄성의 대였습니다.

그러다 보니 눈에 보이는 좋은 포인트 다버려두고 가까운곳으로 할수밖에 없었죠.

왜냐하면 투척 잘못돼서 몇번 첨부덩 첨부덩하면 입질 뚝!!!! 그래서 몇달전 모제품으로 17-34까지 업글하고는

넣고싶은 포인트 다넣어가며 낚시하고 있습니다.

물론 민감도는 사람마다 틀린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는 이렇습니다 ^^
자기 손에만 맞으면 같은대 같은찌 같은낚시줄이 가장 좋은것같읍니다.

저는 그렇게 사용하고 있읍니다.
땅꽁의 생각을 적어봅니다.저는 낙시대가 긴대로 갈수록 좀경질성을 강화해서 원줄 줄여 매는 일이 ㅁ없어으면하는 바램입니다.
그리고 긴대로갈수록 낭창대는 현상이 극복되어쓰면 하는 바램이 있습니다.ㅎㅎ
허접 의견 날립니다..ㅎㅎ
저 같은 경우에는 같은 메이커대로 셋트가 있지만...
포인트 마다 많이 틀려지곤 합니다..
뭐...쉽게 생각을 해 보니...
제 손에 맞는 대로 편성을 한다고 봐야 할거 같네요..^^
구색이 좋으면야 일명"뽀다구"도 나고 하겠지만 낚시여건에 맞는 편성을 적극 추천하는 소견이었습니다..ㅎ
낚시는 취미 생활입니다.
자신에게 맞게 행하는 것.
자기 만족입니다.
기왕이면 멋있게 보여지면 좋은것 아닙니까?
고기가 낚싯대보고 물진 않습니다 만, 제어력 투척성 가벼움 정렬된 아름다움 등등

형편에 맞게 자기만족을 찾으시기 바랍니다.
고기를 낚고 않낚고는 나중문제라 생각 됩니다.

낚시가 재미있으려면 장비또한 중요한 요소가 되리라 생각됩니다.
자신의 장비가 마음을 흡족하게 하는것 또한 낚시의 재미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낚시는 자기만족이 더클테니가요.
연질이냐 경질이냐 별 중요치 않다고 봅니다.

앞치기 잘되면 별 문제 없다고 보고요.

저는 이것 저것 썩어 많이 사용 합니다. 중요한건 역시

붕어의 입질이 아니겠습니까. 입질 잘오는 낙수대가

좋은 낙수대가 아닌가 생각 합니다.
다대편성시 썩여있을 경우 앞치기라든가 낚시대의 특성에

적응할려면 시간이 조금더 오래걸릴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여러가지로 불편함이 따를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무래도 같은대를 쓰는게 낫지 않을까요?
일단 보기에도 좋을뿐더러 낚시하다보면 손에 맞는 대가 있을텐데..
여러대의 낚시대로 적응하기가 오래 걸릴듯 합니다.
저같은 경우엔 낚시를 시작한지 얼마되지않아 잘은 모르지만 자수정 드림이 아주 괜찮은것 같아서
조금씩 모을까 생각중입니다.ㅋㅋㅋ
암튼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저는 연합대입니다...!!
왠만한 브랜드의 낚시대는 다 갖고 있습니다...!!
^^"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