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조언 좀...

  • Hit : 3178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7
여러 선배 조사님들 안녕들 하신지요... 저는 대전에서 교편을 잡고있는 초보 조사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새우 미끼의 입질과 챔질순간은 알겠는데 메주콩과 옥수수 그리고 참붕어의 입질과 챔질순간을 모르겠어 이렇게 조언을 구합니다. 선배님들의 지도편달 부타드리겠습니다. 쉬는시간이라 지금 좀 가르켜 주셨으면 좋겠네요...^^

물면땡기여
안녕 하세요 이경민님
메주콩과 참붕어 미끼는 일반적으로 챔질 시기를 새우보다는
늦추어 하는것이 정설 입니다 하지만 예외인 경우도 있습니다
예전에 진도 지방으로 섬낚시를 갔었는데 참붕어를 미끼로 사용 하던중에
평상시 처럼 챔질 타이밍을 늦추는 도중에 수심이 미터권인데도
찌를 오리는 도중에 대를 차더군요
이것은 그 저수지의 특징적 특성이라고 생각 하는데 어떤 저수지를
꾸준히 다니시면 그 저수지의 입질 패턴이 나오고 그에 따라 챔질을
정하면 되겠지요
옥수수(스위트콘)는 콩보다는 쉽게 삼키고 낮에도 왕성한 입질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거의 새우와 챔질을 동일 방법을 하시면
큰 무리가 없을듯 하구요 사용시 옥수수를 손으로 꾹 눌러서 씨눈이
튀어 나올 정도로 해서 사용 하시면 입질 유도에 유리 합니다
이상 허접한 답이었습니다 즐낚 하세요
이경민님~! 반갑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에 미력한 소견을 올립니다.
대물낚시에 있어서 메주콩,캔 옥수수,참붕어,새우는 무엇보다 중요한
미끼이지요. 또한 헛챔질을 줄이고 정확한 챔질로 초기에 제압치 못하면
대물의 얼굴은 보지 못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찌를 끝까지 보는 정확한 눈이
필요합니다.예신의 포착과 포착된 예신이 본신으로 연결되는 순간부터
찌끝을 계속 살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메주콩과 캔옥수수는 고형의 식물성미끼로서 대물이 좋아하는 먹이입니다.
특히 연밭이 있는 곳,저수지 상류에 농작물의 밭(콩,팥 등의 경작지),억센
줄기의 수초밭등의 대머리 포인트로서 고형의 식물성 미끼에 길들여 진곳은
더욱 좋은 포인트입니다. 상황에 따른 차이점 도 있읍니다.미끼의 효과는
극대화입니다.
참붕어는 대형급이좋아하는 먹이로서 주변에 먹이자원이많지 않거나,바닥에
어느 정도 침전물이 깔려있고, 뻘로 형성된 간척지나 해안가에 위치한 각지형
의 평지형의 저수지가 참붕어의 먹이빨이 좋습니다.통상적으로 초봄에는
참붕어의 먹이빨이 떨어집니다. 5월중순에서 6월 말 까지가 참붕어의 효과가
가장 높다고 봅니다. 시간대는 새벽부터 아침까지와 초저녁시간이 입질의
빈도가 피크입니다.
메주콩,캔옥수수의 입질은 찌올림에 단락(끊어짐)이 거의 없으며 매끄러운 찌올림으로 밤낚시에는 거의 환상적입니다. 준척급의 이하는 몸통까지 올리지요.
그러나 대물의 찌놀림은 찌톱 반마디 나 한마디 정도의 묵직하며 육중한 찌
놀림이 계속되며 옆으로 기울거나,잠겨들거나,끌고가는(수심이 얕을때)
찌놀림을 볼수 있읍니다.대물의 먹이 습성과 바닥의 상황이 이런 현상을
나타나게 합니다.대물은 경계심이 많아 바로 입질이없으며 끈질긴 시간동안
관찰하여 흡입하기 때문에 긴장된 시간의 연속이지요.
입질중 스물스물 물속으로 잠기는 입질 또한 주요 경계대상으로 바로 챔질
하여야(들어채기,가급적 두손사용)합니다.
챔질의 순간은 환경에 따라 다르겠지만 찌올림이 순간적으로 멈칫하거나
정지된 그 순간(찰나)에 신속하고 확실하게 들어 올려야합니다.반대로
찌올림이 진행되는 순간에 채면 헛챔질의 확률이 높지요.
참붕어는 새우대물낚시에 준하여 챔질 하시면 거의 챔질이 되리라 봅니다.
단, 툭툭하는 찌톱의 예신으로 대물이 왔다는 것을 짐작합니다.
찌올림은 새우와 반대로 시원한 올림이 옵니다. 대물은 콩과 비슷합니다.
예신의 시간이 상당히 길어질 수 있으니 꾸준한 인내력으로 많은 워리의 상면
을 염원합니다. 늘 자연과 대화 하시면서 보살펴 주세요.
특히찌의 미세한 움직임도그냥 스쳐보지 마시고 확실히 주시하세요.
항상 건강과행복이 함께하시길 기원합니다.
예 잘알겠습니다...
소류지님과 늘사랑님의 상세한 고견의 말씀 잘 인지하여 좀더 숙련된 대물 조사로 거듭나길 기원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이경민님 어서 오십시오.
대물낚시에서는 '늦챔질에 부가 있다.'고 하는데요
늦챔질만 할수 있다면 이미 상당한 실력 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느릿하고 묵직하게 올라오는 캐미를 보고도 조급해지는
마음을 참고 늦챔질을 하기가 어렵기 때문 입니다.

큰 바늘에 크고 딱딱한 미끼를 사용하므로
챔질순간 큰 미끼가 으스러지면서 바늘만 빠져버리는
경우가 많아서 대물낚시에서는 헛챔질이 많습니다.
붕어가 미끼를 꾸역꾸역 완전히 삼킨 후에 챔질을
해야만이 끌어내기 과정에서 대물이 빠져버리는
낭패를 면할수 있답니다.

새우, 참붕어, 콩 모두 늦게 챔질을 해야 합니다.
낚시도중 헛챔질이 생긴다면 챔질을 늦게 하는 노력을
계속 하십시오.
그러면 어느순간 대물낚시의 특이한 챔질이 몸에 배이게 될것 입니다.
즐낚 하세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