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과에 대한 욕심에 좁쌀 봉돌채비로 낚시를 하고 있습니다. 예민함에 신경을 쓰다보니 원줄을 가볍게 써 보기도 하고 찌맞춤에도 변화를 줘보기도 하는데 조과의 차이는 잘 모르겠습니다. 좁쌀봉돌채비로 대물낚시 해보신 분들의 조언을 구합니다. 그럼 안출하십시오.
대물낚시를 해보신 분이라면 누구든 한번은 겪어봤을 내용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분할채비로 바꾸고나서는 그런 현상 겪어본적 없어졌습니다
35cm길이에 6g정도 부력의 찌를 사용하는데요 성동스위벨 6호(0.8g)로 분할봉돌채비 합니다
원봉돌채비에서 한마디정도의 표현력이 두마디반이상 찌올림을 보여주네요
다른분은 어떻게 생각하실지는 몰라도 저는 앞으로도 쭈욱 만족할것 같습니다
노지가면귀찮아걍씀니다
묵직한찌맛은포기하셔야되구요
조과면에선좋을지모르나
거친환경이라면그닥추천해드리고싶진않습니다
맹탕이라면몰라두요
밑걸림,미끼안착등득보다실이많을수도있구요
역시 다른 분들도 똑 같은 문제로 고민을 하셨군요.
예민함과 간편성이 양립할 순 없나봅니다.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카본 5호 원줄에 대물찌 2마디 정도 나오게 부력을 잰 후
클립도래에 좁쌀봉돌을 종류별로 물린것을 여러개 만든다음에
저수지나 바닥 상황 따라서 부력을 달리하는 채비를 쓰고 있습니다.
상당히 엉터리 채비라고 볼 수 있지요..;
최근에는 비가 잦아서 입질이 예민한 곳이 많아 합사목줄 20~25센티 정도에
중간에 좁쌀봉돌을 물려서 영점맞춤하여 대물채비를 사용중입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동물성 미끼를 사용할때는 부적합한 채비이나
옥수수 한두알 낚시를 하실때는 상당히 좋은 채비입니다.
동물성 미끼를 사용하면 찌가 너무 까불거나
순식간에 찌를 올린후 끌고 나가서 대를 차는 경우가 좀 잦더군요..
대신 옥수수 미끼 사용시에는 상당히괜찮은 채비였습니다.
조과 차이요...?
카본 5호 정도의 둔한 목줄에도 채비를 좁쌀봉돌 채비로 적용하면
조과 차이는 당연히 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