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부한 사진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영점 찌맞춤을 하고 물에 던지면 ①번 그림과 같이 되는게 맞는거죠?
그런데 만약에 ②번 그림과 같은 상황이 생긴다면.
제 생각에는 저렇게 된다고 생각되는데요. 맞는건가요?
그냥 찌의 부력만으로 떠있는 상태가 찌맞춤한 상태라면
②의 그림 상태라면 저렇게 되는게 맞는거 아닌지요~?
제가 생각하는게 틀리다면...
설명좀해주세요...
저도 한참 고민을 했었던 문제네요. 0점맞춤으로 찌의 부력과 봉돌및 원줄의 무게가 1번처럼 균형을 이룬상태에서 바닥에 홈이 있다면 2번그림처럼 될거란 생각을 했었습니다.
일단 이문제와 관련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2번그림의 경우 수심측정이 잘못된것으로 생각해야겠죠.
전 봉돌을 깎아서 균형을 맞춰놓은 상태라면 일단 수심측정시 찌를 올리면서 측정하지않고 찌의 절반이상이 물위로 나오게 하던지 아예 눕게만든상태에서
찌를 내리면서 수심측정을 합니다. 그렇다면 2번그림처럼 홈이 파여있다해도 일단 찌를 많이 올린상태에서 내리면서 수심을 맞추니
바닥에 봉돌이 닿은상태에서 찌를 내리면서 수심을 맞추면 1번그림처럼 되겠죠. 홈옆 언덕으로 올라오면 찌가 물밖으로 많이 올라오는것등을 보면서 바닥이 평평한지 홈 물골이 있는지 침수수초가 있어서 뜨는지 알수가 있지 않을까요
ShangriLa 님의 생각처럼 2번처럼 되어있다고 생각될때 떡밥을 크게해서 수심을 맞춰보세요...
만약 2번의 찌맞춤이 되어 있다면 떡밥이 다풀리면 찌톱이 수면으로 천천히 올라옵니다...
입질오는것처럼...
저도 예전에 양어장다닐때 그런 경험이 있습니다...
목줄에 좁살봉돌을 달아보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먄약 떠잇다면 작은 좁살봉돌로는 내려가지 않을겁니다...
큰놈으로다가 달아보세요...
1번그림처럼 찌맞춤을하고 1번그림처럼 찌를 내놓고 하신다고 가정을 하에 말씀드리자면
2번바닥상태처럼 홈이있는곳에 던지게 되면 위에 그림처럼 되게됩니다.
그리고 혹시 낚시하실때 미끼없이 그냥 빈바늘로 낚시하시는건 아니시잖아요.
낚시하실때 미끼다시잖아요?^^ 미끼도 무게에 작용이 됩니다.
그러므로 찌는 수면으로 잠기게 됩니다.(미끼가 바닥에 닿기에.. 물론 아주 고부력찌라서 미끼를 띄울수있는정도라면 모르지만)
그리고 중요한건 그렇게 찌맞춤하시고 찌맞춤과 동일하게 찌를 내놓고 낚시하시면 봉돌은 바닥에 닿은 상태가 아닙니다.
즉! 봉돌이 떠있는 상태가 됩니다. 완전한 전통바닥낚시를 구사하시는게 아닙니다.
물론 단순하게 그림과 이론으로만 보자면 ShangriLa님의 말씀이 맞습니다.
어디서부터 설명을 드려야할지 몰라서 장황한 댓글은 어려움이 따르네요.
일단 이문제와 관련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2번그림의 경우 수심측정이 잘못된것으로 생각해야겠죠.
전 봉돌을 깎아서 균형을 맞춰놓은 상태라면 일단 수심측정시 찌를 올리면서 측정하지않고 찌의 절반이상이 물위로 나오게 하던지 아예 눕게만든상태에서
찌를 내리면서 수심측정을 합니다. 그렇다면 2번그림처럼 홈이 파여있다해도 일단 찌를 많이 올린상태에서 내리면서 수심을 맞추니
바닥에 봉돌이 닿은상태에서 찌를 내리면서 수심을 맞추면 1번그림처럼 되겠죠. 홈옆 언덕으로 올라오면 찌가 물밖으로 많이 올라오는것등을 보면서 바닥이 평평한지 홈 물골이 있는지 침수수초가 있어서 뜨는지 알수가 있지 않을까요
2번은 케미가 0점 상태로 될듯 싶네요
현장에서 수심을 맞출때 설명은 아닌것 같고
낚시중에는 미끼 무게에 의해서
캐미가 잠기는게 정답입니다
현장에서 수심을 맞출때라면
케미만 보인다고 그냥 수심이 맞았다고 두지는 말아야겠지요
보통 한마디에서 두마디쯤 내어 놓고 저는 합니다
만약 2번의 찌맞춤이 되어 있다면 떡밥이 다풀리면 찌톱이 수면으로 천천히 올라옵니다...
입질오는것처럼...
저도 예전에 양어장다닐때 그런 경험이 있습니다...
목줄에 좁살봉돌을 달아보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먄약 떠잇다면 작은 좁살봉돌로는 내려가지 않을겁니다...
큰놈으로다가 달아보세요...
약간 무거운 맞춤입니다
0 점 맞춤시 봉돌이 바닥에 누워 있는 것이 아니라
일자로 서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봉돌을 기준으로 0 점 맞춤을 했을시 바늘을 달고 나면
바늘의 무게 덕분에 더 깊은 수심층에 들어 갔을때는 가라 앉습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하지만 찌맞춤전에 수심 측정을 하기때문에 위와같은 현상이 나타난다면 수심 측정이 잘못입니다.
참고로 어분계열은 무거워 영점 찌맞춤후 수심측정이 잘못되면 찌가 수면아래로 내려같다가 떡밥이 풀리면서
2번그림처럼 됩니다. 하지만 글루텐저럼 가벼운 떡밥은 그냥 2번그림처럼 되어있습니다.
참고로 영점찌맞춤후 붕어바늘 7~10호사이는 케미를 수면아래로 내릴수없습니다...
0점 맞춤 하였을시 찌톱 1~2마디 수면에서 나오도록 수심 잡으시면 정확 합니다.
저부력 찌는 미끼 무게에 반응 하지만 고부력 대물찌는 미끼 다나 안다나 크게 작용하지 않아요.
코를 풀려면 손을 써야 합니다.
영점찌맞춤... 마이너스찌맞춤 개념부터 이해하심이...
백번 옮으신 말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