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찌맞춤에 대해서 문의 드립니다

안녕 하십니까? 초보 낚시인 입니다. 다름이 아니옵고 집에서 수조통에 예민하게 영점 찌맞춤을 해서 노지에 가서 확인 하면 너무 맞지 않는것 같아서요 혹시 수조통 부력이량 노지 부력이 차이가 많이 나는 편인가요? 선배 조사님들은 어떻게 생각 하시는 지요 정말 궁금 해서요^_^ㅎㅎㅎㅎㅎㅎ 한수 배우고 싶어요

1등이네요,,,,

수조에서 염점으로 하시고

노지에 가면 무거운 찌맞춤이됩니다,,,,,

저수지마다 조금씩 차이나죠,,,

노지에서 수면 약간 및에 맞추면 낚수에는 큰 영향 없습니다
원줄 무게작용할것 같네요
댓글 달아주신 후이님,가마머해만날허탕님, 감사드리며

저의 짥은 소견은 물의 온도차이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가 아닐런지 의문이 갑니다.
제 생각은 다릅니다 여기는 떡밥낚시가 아니고 대물낚시방 입니다

노지에서는 생미끼 낚시를 주로 합니다 그래서 무거워도 어종불문 하고

입에만 들어가면 찌를 쭈욱쭈욱 잘도 올려 줍니다 손가락 만한 불루길도

올리는데 월척대물이 그깐 찌올리는건 일도 아니쬬 그리고 원줄 무게도

따질 필요도 없고 현장찌 맞춤도 대물낚시에서는 필요없습니다 찌맞춤은

어렵게 가면 한도 끝도 없습니다 무조건 단순하고 강하고 무겁게가 최고라

생각 합니다
파수꾼님이 적으신 글을 보니깐...
주로 떡밥을 사용하시는 것 같은데요...
거먼맨날허탕님이 말씀하신 것 처럼...
원줄 무게와 추가적으로 케미 및 찌고무 무게가 작용해서...
영점이 안 맞은 것 같습니다....

완벽한 영점을 맞추고 싶으시다면...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찌맞춤을 하여야 하는데...
뽕돌만 달았을때...찌 톱이 2매듭 정도 수면 위로 올라왔을때...
노지에 가서도 완벽한 영점 채비가 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자건님이 말씀하신 것 처럼 대물낚시에서는...
봉돌을 아무리 무겁게 달더라도...
7치 이상 붕어가 입집을 한다면....
왠만해서는 찌를 올린다고 보면 됩니다...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네요...^^

파수꾼님 항상 안출 하시고...
즐거운 낚시 하세요....
저는 현장에서 찌맞춤합니다~~!!!.......천천히 찌가 내려가면 오케이입니다...^^
아마 현장에서 찌맞춤하고나서 다시 수조통에 담궈보시면 가벼운 찌맞춤이 되어있을겁니다

많은경험과 계절의 기온변화나 물흐름등 이에따르는 현장학습이 도움이되리라봅니다

나만의 찌맞춤을 연구하시어 언제나 어복 충만하세요^^
저수지상황에 따라 많이 차이나죠 물에 부유물 유무따라도
차이나구요 수온에 따라 차이도 나구요
여러가지 이유가 많아요
다따지면 머리 깨집니다
대물 낚시에서는 무거운게 좋죠
너무 찌마춤에 목숨걸지 마시길
저 같은 경우는 너무 찌마춤에 매달리지 않아요
단 자기만의 기준은 세워야 겟죠
마지막으로 "카더라"는 말에 현혹 돼지마시길
단지 그건 참고 사항이죠
수조찌맞춤시 찌와 봉돌만 달아 서서히 내려가도록 마춤니다...

수조통이없어 세탁기에 물받아 마추든 때가 생각납니다.....

워낚 꽝조사라 찌맞추고 한번 멋진 찌올림을 봐야 될낀데

제마음 같진 않네요....ㅎㅎㅎ
수조와 현장의 찌의 부력차이는 항상 있습니다

제일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물의 탁도 입니다
맑은 물과 탁한물에서는 비중의 차이가 큽니다

그외..
수온과 수심차이 에서도 부력에 영향을 미칩니다
떡밥낚시에 비해 생미끼 낚시가 찌맞춤이 단순하구요

제생각에는 떡밥이든 생미끼든 현장찌맞춤이 제일 좋다고 생각 합니다
포인트에 따라 바닥의 상태는 제각각 입니다

특히 떡밥낚시는 더 중요 합니다
미끼의 특성상 붕어가 먹이를 흡입시 원줄과 봉돌의 무게가 찌올림을 둔화시키거나
대상어에게 많은 부담을 주거든요

찌의 상승은 붕어에 의해 전부 다 올리는 것은 아닙니다
붕어가 봉돌을 드는 높이는 생각보다 적습니다
제가 알기론 10cm 내외입니다
나머진 관성의 법칙에 의해 부력이 깨지면서 찌 스스로 올라가는 것입니다

그러기에 찌올림의 방해 요인을 최대한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대물낚시도 마찬가지 입니다
생미끼의 특성상 어느정도의 무거운 찌맞춤도 무리는 없습니다

그렇다고 모조건 무겁게 맞추는 방법은 반대 합니다
생미끼로 콩이나 새우 참붕어를 많이 사용하는데 바닥의 상태에 따라 무거운 찌맞춤이
단점으로 작용할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생미끼를 흡입하는 모든붕어가 찌를 다 올리지는 않습니다
그날의 활성도에 따라 반마디나 한마디의 입질도 있을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의 생각은, 모든 낚시의 채비는 붕어가 먹이를 흡입시, 최대한
그 부담감을 덜어 주어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어느분이 말씀하시더군요...
찌 맞춤에는 정답이 없다고........

맞습니다 개인의 노하우와 경험과 그날의 포인트와 일기에 따라 많은 다양한 찌맞춤이
존재하는것이 낚시 입니다

그것을 최소화하여 개인적인 기법이 완성 되겠지만
기본은 충실히 하시라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
예 좋은 글 감사 드리며 댓글 달아주신 분들께는 기분좋게 추천 쏘고 갑니다.

좋은 정보 감사 합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