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돌만 달고 영점 마춤 후 8호 쌍바늘을 이용하여 떡밥+지렁이 미끼에 맹탕에서 자주 이런 현상이 있는데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입질시 2-3마디 올리고 5분 정도 가만히 있다가 찌가 다시 원위치로.....
다시 2-3마디 올리고 가만히 있다가 원위치하는데 이유가 무엇인지
찌가 상승 후 가만히 있을때 챔질을 하면 떡밥은 풀어지고, 지렁이는 그대로 있는데....
어떤 경우에는 물속에 들어가 보고 싶은 마음까지 생깁니다.
고견을 구합니다.
찌의 움직임이 이상한데 이유가 무엇인지 고견을 구합니다.
-
- Hit : 3724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4
오르락 내리락후 미끼가 전혀 상하지 않았으면 대류현상을 일종이라 생각하시고,
미끼가 뜯겼으면 다양한녀석들이 범인입니다. 곤충부터 새우류, 각종 피라미류, 붕어 잉어 치어류...
대류현상이라 판단되면 봉돌를 조금 무겁게 조절하시면 찌의 움직임이 조금 적어지리라 생각합니다.
그런짓은 징거미 놈들이 잘 하는 짓이지요``
앞에서 말씀하신 회원님들 의견처럼 대류현상이나 징거미 소행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바늘빼고 영정맞춤 하였다면 꽤 무거운 채비이기 때문에 수온변화에 의한 현상은 아닌것 같고
혹시 지렁이가 끌고 다니는 것은 아닐런지요
너무 신경쓰지마시고 즐낚하시길요..
찌 올려줄 붕어는 머찌게 쭈욱 올려줍니다.. ^^
폭염에 건강 유의하시고
즐기는 낚시하시기 바랍니다.
저도 그런경험이있는데 끝내 잡아냈지요. 원인은 새우드라고요. 새우가 바늘에 걸려나오긴 처음이지만
봉돌을 무겁게 하시면 될듯하고요. 새우가아니라면 대류현상일텐데 제가 아는 대류현상은 찌가 서서히 이동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처음 던진 위치와 들어올릴때 찌의 위치를 확인해보세요.
어제저두 징거미한테 시달리다 붕어얼굴 구경두 못하구 가물이 두수만 했었네요..ㅜ.ㅜ
들었다 놨다,살짝들기만하거나 질질 끌고가면 거의 징거미죠..
미끼도 다따먹고..
제 예상은 먼저 투척시 약간의 사선입수가 일어납니다. 거기에 작은 고기들 2~3치급붕어 나 작은 잡식성 어류등이 입질을 한다면 찌는 미쳐 다올리지 못하고 깜빡깜빡하다가 입질이 멈추면 사선입수의 영향으로 봉돌은 바닥에 닿아 있는데 찌는 두마디정도 상승하여 멈춰있게 됩니다. 그리고 세월아 님께서 짝밥낚시를 하신다니 바늘에서 이탈하지 않은 미끼를 다른넘들이 끌고 간다면 찌는 다시 사선입수 형태로 원위치되어 처음 투척하였던 찌높이에 원상복귀가 되는걸로 예상됩니다. 이는 외봉낚시에서도 잔챙이및 잡식성 어류에 인하여 미끼가 이탈되지 않으면 자주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대류현상에 한표`~!!
물속이라 알수 없지만 .....
카메라로 버면 금방 답이 나올텐데요...
아쉽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