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울 회원님들 새해 복많이 받으시고
올 한해 하시는 일마다 대박 나시길 기원 드림니다
작년까지 풍덩체비 대물낚시만 했습니다
올해는 체비를 좀 바꿔볼까 해서요
제가 고민 하는것은 지금 사용하는 체비에
찌 4.5g(고리추5호),원줄 카본4호,목줄 모노3호(10cm),바늘 감성돔4호 입니다
위 체비에 본봉돌3.7g, 분할봉돌0.8g 정도 분할체비로 하고
수조에서 모두 다 달고(바늘만 빼고),캐미고무 하단에 맞춘 다음
현장에서 (현장 찌마춤 하지않는 조건) 한목 노출 하면
물속 체비 상태가 어찌 될까요?(본봉돌과 분할봉돌의 단차는 10cm)
1. 본봉돌까지 바닥에 닿는다.......이경우 그냥 풍덩으로 가야겠죠
2. 분할봉돌만 바닥에 닿는다.......이경우가 제일 좋겠죠
3. 본봉돌은 뜨고 분할봉돌은 바닥에 안착.그러나 당줄이 휘어진다.......이경우라도 풍덩보단 나을듯
허접한 질문이라 욕하시지 마시고 고민 해결 좀 부탁 드림니다.....감사
체비변형 고민중입니다..
-
- Hit : 10273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7
찌맞춤은 분할봉돌만 바닥에 닿는 찌맞춤이고요..
그리고 당줄은 휘어지지 않습니다..
한목에 맞추고 3목내놓고 낚시하는경우도 있지만
바닦채비인샘이죠~~
한목이나 캐미밑에 맞추시면 약간 마이너스채비격인데~~~
입질시 찌가 약간 가라앉았다가 찌올림이 조금빨리 상승하죠
입질이 오면 예신이 잘 파악돼서 챔질에 유리하죠
봉돌을 달아서 2단입수와 3단 입수가 가능합니다~~
저는 찌맞춤을~~~투척시 찌가 가만히 누웠다가 천천히 서면서
입수할때까지 봉돌맞춤을 하는데~~
적극추천하고 싶은채비임에 틀림없답니다~~
찌는 50전 짜리만 쓰는데..부력도 비슷하구요
채비고민에 도움이 됐음 합니다~~~
그것이 귀찮으면 그냥 풍덩채비로 가야하고요
굳이 한마디 더 노출할 필요가 없겠네요.
원줄이 카본4호라면 줄무게만으로도 한마디 이상 내려갈겁니다.
한번이라도 현장 마춤을 해서 봉돌의 가감을 확인하시는게 좋을듯합니다.
수조마춤뒤에 현장에서 확인해서 봉돌 깍은적이 많아서요.
그럼 올해는 위 체비로 해보겠습니다
참고로 현장 맞춤을 하지않는 이유는
게으르다가 맞습니다.....^^
아주 예민한 스위벨 체비는 자신이 없어서
위 체비 정도면 약간 둔한 분할체비정도 일꺼라 생각합니다
이정도면 풍덩 보다는 나을것으로 생각 합니다
다시한번 답변 주신 회원님들께 감사드림니다....
수심이 4~5미터권이라면 4호 원줄무게가 찌톱 3~4목(칸)정도 잠기는 무게가 되겠지만
미터권 내외의 수심에서는 줄무게는 크게 작용하지 않을 듯 싶습니다.
그래서 제 생각에도 찌맞춤은 당연히 2번의 경우로 유지하고 있을 듯 싶습니다.
사초호님 혹시 강진에 사세요?
이번 명절연휴에 강진인근으로 물낚시 출조를 생각하고 있는데...
혹시 괜찮은 곳 있으면 살짝 귀뜸 좀 부탁드립니다.^^
그런데 카본 4호줄이라면 스위벨채비와 동일한것같은데 예민할지는모르겟읍니다
물론 풍덩채비인 원봉돌보다야 예민은 하겠지요
목줄 역시 휘지않고 스위벨만 바닥에 닿는채비가 되겠네요
즐~ 안출하시고
감기도 조심조심 하세요....
건강이 최고입니다
청자골님 사초지 필명은
사초호에서 좋은 낚시 기억 때문에 지은 거에요....^^
제 서식지는 경기 광명 입니다....
올해는 울 회원님들께서 확신을 주셔서
위 채비로 쭉 함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수조에서 수위벨만 바닥에 살짝 닿고 목줄이 일직선이 되도록 찌맞춤을 한 후 현장에서는 그대로 한마디만 내놓고 합니다 만.
수초밭 이라서 쌍 바늘을 쓰면 입질시 나오다가 수초에 걸리면 터지기 때문에....
..현장실전에서 몇 번 해보면서..자연스레..다시 찌맞춤 하게 될 것입니다...다른 건 괜찮은데..카본 4호라는 변수때문에..현장상황에 맞출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좀 더 안정적으로 하실려면..분봉을 1g정도이상으로 하고..수조찌맞춤이라면..1ㅡ2목에 맞추는게 좋겠네요...
현장 지맞춤을 안하시겠다는건 대충 하겠다는 말씀인데...글쎄요?
올해에는 월척 한번 잡아보는게 목표입니다.
다른 부분은 위에서 다른 조사님들이 잘 설명해 주신듯 해서 패스하구요
분할 봉돌과 본봉돌의 간격이 10cm이면 본봉돌과 분할봉돌 사이에 슬로프가생깁니다.
찌도 역시 유동채비가 아니라면 슬로프는 더 크게 생기겠죠
직공으로 채비를 내리는게 아니라 캐스팅을 하게되면 당연히 본봉돌이 빠르게 가라앉게 되죠
어느정도 가라앉다가 찌가 부력을 받기시작하면 가라앉는 속도는 떨어지고 분할봉돌의 침력까지 더해져야
본봉돌도 가라앉아 채비가 정렬이 되게 됩니다.
바로 윗분이 해결사 채비를 쓰신다 하셨는데, 저역시 해결사 채비를 약간 변형해서 사용합니다.
본봉돌과 분할 봉돌의 간격을 현장에따라 조정하기가 유리하기때문입니다.
그리고 앞에 말씀드린 슬로프를 확인하시려면 같은 수심에서 본봉돌과 분할봉돌 간격을 조정해 보시면
찌가 잠기는 정도가 약간 차이가 나게 됩니다.
저는 유속이 없고, 입질이 예민한 경우라면 약간의 슬로프를 주는것도 좋을때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어떤 채비이건 분할봉돌을 쓴다면 채비 안착이 상당히 중요한 부분입니다.
수조에서 다양한 각도로 시험해 보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처음에 카본 3호줄로 처음 분할 봉돌채비를 했다가 실패본 경험이 있습니다.
수심이 얕으면 그나마 괜찮지만, 1.5m 이상이면 찌가 줄의 침력으로 서서히 가라앉습니다.
저는 플로팅카본 또는 믹스카본 2.5호를 사용중입니다.
제 생각엔 이렇습니다 분할채비는 영점 찌맞춤이던 케미 맞춤이던 케미 꽂이 맞춤이던 한목 마춤이던 별반 큰 차이는 없는듯합니다.
머 참붕어나 새우만 주구장창 쓰시겟다면 모르지만 옥수수나 지렁이 이런미끼 또한 자주 쓰신다면 미끼의 함몰 위치에 따라 입질의 빈도수가 많이 차이나는게 느껴지더라구요. 특히 옥수수
전 그래서 본봉돌에 바늘을 달어 분할봉돌이 10센티라면 또 하나의 바늘이 달린 목줄의 길이를 9~9.5센티 정도로 하여 외바늘 채비를 합니다(바늘달고 케미 맞춤) 또 활성도가 좋을 시기엔 분할봉돌에 짧은 목줄을 달아서 사용하구요
분명 입질의 차이가 있습니다 옥수수를 예를 들어 바닥의 지저분함을 떠나 바닥에 떡하니 가라앉은 옥시시와 바닥에 닿을듯 말듯한 옥시시의 입질차이가 분명히 나타더라구요(옥내림에 짧은 바늘에 입질이 잘 들어오는것도 그런 이유라 생각되어집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