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문한지 얼마안되고 평범하게 낚시하다가 문득 이런생각이 들어서 글을 남겨봅니다. 봉돌이 무거우면 혹시 붕어들이 먹고 뱉어 내는 경우가 있는지요? 미끼를 물다가 무게감이 있으면, 제가 물고기라면 뱉어 버릴것 같거던요~ 그냥 문득 궁굼해서 글을 남겨봅니다. 여름 날씨에 건강들 챙기셔요~~
미끼자체를 흡입하다가 자기가 취해온미끼라도 무엇인가 이물감이있으면 삼키지않고 뱃는거로 알고 있습니다
즉 봉돌의 무게감이 아니고 미끼의 이물감이라 생각합니다
답변 감사 드리구요~~~무게보다는 이물감이라구 하셨는데 그럼 또한가지 궁굼한게 있는데요!
미끼의 이물감을 줄일려면 바늘은 최대한 숨기는게 좋은 것인가요??
저승은 경기가 좋으신가요 ㅋㅋ
사장님이라서 물어 봤어요 ㅋㅋ
농담이구요
봉돌 때문에 미끼를 뱉어 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찌의 부력에 맞지 않게 너무 무거운 찌맞춤을 하면
먹이를 흡입후 몸을 일으키는 동작에서 봉돌의 무게를 느끼고 뱉어 버리지요
하지만 0점보다 조금 무겁게 봉돌이 맞혀졌다고 해서 다 뱉는것은 아니구요
이물감은 사람이 느끼는 것이 아니라 붕어가 느끼는 것이라
정확하게 무엇이 원인이라고 설명할수 있는 사람은 없습니다.
대충 생각해서 목줄의 길이, 바늘의 크기, 미끼의 크기, 봉돌의 무게, 기타등이 있겠지요
목줄의 길이를 너무 짧게 묶어서 서면 입질은 빠를지 모르나 붕어가 봉돌의 무게를
더 빨리 느껴서 미끼를 뱉어 버릴 확률도 더 놓겠지요
그래서 옥수수내림에서는 유동 홀드에 편납을 달고 목줄을 30cm정도로 길게 사용하여
붕어가 최대한 봉돌의 무게를 느끼지 못하게 하여 입속 깊이 미끼를 흡입하도록 유도하는 것이구요
바늘의 크기는 미끼에 맞는 바늘을 사용하는 것인데요
손가락 만한 새우에 떡밥바늘이나 붕어바늘 5호정도를 쓴다고 가정하면
아무래도 제걸림이 안될것이고
너무 작은 새우에 감성돔 6호이상 사용한다면 미끼보다 바늘을 더 먼저 느껴서
이물감을 빨리 느끼겠죠
이또한 옥수수내림에서는 옥수수 한 알을 사용하는 관계로 바늘을 아주 작게 사용하는 것입니다.
봉돌의 무게는 위에서도 말씀드렸지만 너무 무거운 찌맞춤은 분명이 이물감을 줍니다.
그렇다고 0점으로 맞추고 대물낚시를 하면 대물낚시 특성상 찌들은 수초속에서
채비안착이 상당히 힘든 관계로 낚시자체가 힘들어 지겠지요
그래서 대물 낚시는 고부력 찌에 적당히 살짝 무겁게 맞춤 찌맞춤에
미끼에 걸 맞는 바늘과 적당한 목줄(약 9cm~10cm) 을 사용하는 것이라 생각하네요
낚시는 하면 할수록 또 알면 알아 갈수록 어려운게 낚시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공부하시고 건강한 낚시하시길 바랍니다.
장마기 건강 주의 하세요
미끼는 주로 무엇을 사용하시는지요?
저는 봉돌 7~8호를 사용중입니다.. 대물낚시를 하면서 이물감 글쎄요?
별루 생각안해봤는데 제 경험상은 입질을 하다가 이유도모르게 끊기는
입질이 이물감때문인것도 같습니다... 붕어? 우리가 생각하는것보다
먹이에대한 집착이 강하다고 생각됩니다... 먹이를 취할려고 마음먹은
붕어는 이물감에 상관없이 먹이를 취합니다...
바늘에 미끼를 끼우는건 모든미끼는 바늘끝이 살짝보여야합니다...
바늘을 감추는건 떡밥낚시때나.... 생미끼이용시 바늘을 감춰도 상관은 없지만
후킹률이 떨어진다고 알고있습니다.... 제 생각이니 참고만 부탁합니다..
물고기가 바늘있고없고 여부에따라 입질하는것이 아니고
먹이보고 입질을 합니다 먹이흡입과 동시에 이물감을
느끼게대는대 그건바로 바늘입니다 떡밥인경우
흡입과동시 떡밥이풀어지므로 뱉어내도 대부분 걸려듭니다 찌올림과 동시에
챔질을 하니까요
가령 찌가올라왔다 내려갈시는 이미 뱉어버란 상태로보시면
조을것 같구요 봉돌무게는 고기먹이흡입 과정 하고는 전혀별개지요
다반 고부력 찌에 작은붕어 입질시 찌올림이 시원하지 않읍니다
떡밥낚시는 5-6푼 정도의 찌를 권하고 싶어요
댐이나 저수지 양어장수심2M권 밑으로일때
수심3m이상이면 고부력 9-10푼 정도로 공약
올릴넘은 올리고..삼킬놈은 삼킨다..ㅋ ^.^
답변 감사드립니다 ㅜㅜ 궁굼증이 확~~~풀리는것 같네요!
근데 낚시는 하면할수록 더 궁굼해 지는 이유는 먼지 ^^
저는 근데 제가하는게 대물낚시인지 먼지 잘 모르겠어요!
그냥 짧은 대를 물가쪽으로 붙여서 낚시하는 편이구요, 미끼도 지렁이 옥수수 떡밥 생각나는건 다 달아서 하구 있습니다.
낚시하다가 저는 그냥 내가 붕어라면 이걸 먹을까 하는 생각을 자주 하는 편인데요 ㅋㅋ
답변을 보다가 한가지 의문점이 또 생기네요~
귀찮ㄱ ㅔ 해드려서 죄송하구요~
찌랑 봉돌이랑 저는 1:1로 마추는 편이거던요! (배울때 요렇게 배움^^)
돌팽이님 말씀대로 라면~봉돌이 무거워도 부력이 그만큼 높기때문에 물밑에서 살짝만 위로 올려도 쉽게 올라갈수 있다는 말씀
맞나요??
즉 고부 력10푼찌에 12푼봉돌이 달릴경우 밑에서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괘힘이듣다고
말할수있지요 무중력이란 찌무게와 봉돌의무게가 일치하다는걸 얘기합니다
흔히말하는 대물낙시는 고부력찌10푼이상 새우미끼로 수초대에 대편성함을
말하는것입니다 대도한두대 편성이아니고 10대가까이 펴지요
부력이란 떠오르는 힘을 애기하는것이지요
간단히 수조통에 찌에봉돌을 달아서 내려쓸대 가라앚은건 봉돌이 찌보다
무거운것이고 찌톱이 수면과 잉치하면 곳 무중력 상태 라고하지요
가라앚은 찌와 수면과 일치한 찌중 어너것이 들어올리기가 수월까요
본인의 판단에 맡기겠어요
붕어(모든고기?)들의 먹이 습성이 먹이라고 생각되는 것들을 흡입한 후 아닌 것들은 뱉어버리는 동작을 반복합니다.
붕어들이 뱉어버리는 동작이 이물감 때문인지 습관인지는 정확히는 알 수 없겠지요.
언젠가 보았던 떡붕어의 먹이 취이과정을 보았더니 떡밥을 흡입했다가 배어버리기도 하더군요. 순식간에..... 이런거 보면 이물감 때문인 것도 같은데......
하여간 흡입하고 뱉는 행동은 취이습관입니다. 그중 일부는 이물감이나 무게감등 가른 이유도 있겠지만......
즐기는 낚시 하십시요.
먼이먹는방식이 틀립니다 떡붕어는
갈아먹지만 토종붕어는 통째로흡입 합니다
그러기에 찌올림 부분에도 상당한 차이를 보내지요
저승사장님 올린글이 불쾌했다면 미안해요
용서해주세요
오히려 많ㅇ ㅣ배워서 감사드려욤~!!!!
초짜에게 지식을 나누어 주셔서 감사합니당^^
이것저것 지식좀 더 쌓고 궁굼한거 있으면 많이 물어 봐도 되죠?
그럼 건강들 하시고~~안출하셔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