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호가 가장 대중적입니다.
짧은대는 크게 영향이 없지만
장대의 경우 봉돌이 너무 가벼우면(5호이하) 투척이 잘되지 않습니다.
너무 무거울(10호이상) 경우에도 봉돌의 무게로 인해 채비가 날아가다 중간에 떨어집니다.
물론 무거울 경우 힘으로 던지면 가능하지만 엄청난 착수음은 감수해야됩니다.
6~9호정도의 봉돌이 가장 많이 쓰입니다.
저도 큐를 사용하고 있는데 수초밭을 공략하는 36대이하는 8~9호정도 쓰고
40대 이상은 7호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짧은대는 크게 영향이 없지만
장대의 경우 봉돌이 너무 가벼우면(5호이하) 투척이 잘되지 않습니다.
너무 무거울(10호이상) 경우에도 봉돌의 무게로 인해 채비가 날아가다 중간에 떨어집니다.
물론 무거울 경우 힘으로 던지면 가능하지만 엄청난 착수음은 감수해야됩니다.
6~9호정도의 봉돌이 가장 많이 쓰입니다.
저도 큐를 사용하고 있는데 수초밭을 공략하는 36대이하는 8~9호정도 쓰고
40대 이상은 7호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칸수별로 나누어 사용하지않고 걍 7~8호로 드리댑니다
언제나 안출하시고 즐낚하십시요
경산의 일체유심조입니다.
제 채비운용의 가장 중점은 앞치기시 나의 찌를 가지고 놀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31대까지는 7호 ,31대 이상은 6호 입니다.
적정 발란스와 끝없는 연습...잦은 출조로 낚시대의 습성과 탄성 파악
3박자를 바탕으로 최상의 앞치기가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해보시면 장대일수록 가벼운 채비가 투척이 용이합니다.
또한 과도한 짧은 원줄 길이는 줄길이로 인한 채비운영에 제약이 있습니다.
필드에서 직접 경험해보심이 가장 빠르고 정확합니다.
간혹 부력이 많이나가는 찌 일경우 8호 중간대 사용
모든 낚싯대에......
경험상 이게 저에게는 제일 적절하더군요.
짧은대는 봉돌의 무게가 별 영향이 없으나 긴 대는 던질때 봉돌의 무게를 신경 쓴 것이 편하더군요.
즐기는 낚시 하십시요